$\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가정신, 사회적 지지 및 창업 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trepreneurship,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Mentoring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444 - 456  

한미경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벤처경영학과) ,  하규수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벤처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제 풍요와 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평균수명이 100세에 달하는 고령화 사회가 도래했으나 현재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현실은 65세에 은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의 제2의 경력개발로 창업의도를 제고하기 위해 창업의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지원방법으로서 기업가정신, 사회적 지원, 창업멘토링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21명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어 319명만 선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신뢰도 검정,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기업가정신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업가정신 중에서 혁신성과 진취성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족지지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역할모델멘토는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효능감매개효과는 혁신성→창업효능감→창업의도, 롤모델→창업효능감→ 창업의도, 멘토→ 창업효능감→ 창업의도에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onomic abundance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led to an aging society with an average life expectancy of 100 years, but retiring from the labor market at the age of 65 has become more difficul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social support, and entrep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차별성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사회적지지, 학교 내의 멘토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기업가정신, 사회적 지지로 가족과 동료 이외에 멘토의 역할을 중심으로 창업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사회적 지지는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사회적 지지는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멘토링기능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창업멘토링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창업효능감은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매개 할 것이다.
  • 가설 4; 창업효능감은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매개 할 것이다.
  • 가설 5; 창업효능감은 사회적지지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매개 할 것이다.
  • 가설 5; 창업효능감은 사회적지지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매개 할 것이다.
  • 가설 6; 창업효능감은 멘토기능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매개 할 것이다.
  • 가설 6; 창업효능감은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매개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T. Ahn, "The employment dynamics of less-educated men in the United States: Therole of self-employment,"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Revue canadienne d'economique, Vol. 481, pp.110-133, 2015. 

  2. P. Vogel, Entrepreneurship: Turning job seekers into job creators, In P, Vogel Ed,, Generation jobless?, pp.77-103, London, England: Palgrave Macmillan, 2015. 

  3. J. Wolff and A. Nivorozhkin, "Start me up: The effectiveness of a self-employment programme for needy unemployed people in Germany," Journal of Small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Vol.254, pp.499-518, 2012. 

  4.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Organizational Behaviou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pp.179-211, 1991. 

  5. J. Timmons and W. Bygrave, "Venture Capital's Role in Financing Innovation for Economic Growth,"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1, pp.161-176, 1986. 

  6. A. Bullough, M. Renko, and T. Myatt, "Danger Zone Entrepreneurs: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and Self Efficacy for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38 No.3, pp.473-499, 2014. 

  7. S. M. Southwick, L. Sippel, J. Krystal, D. Charney, L. Mayes, and R. Pietrzak, "Why are Some Individuals More Resilient Than Others: The Role of Social Support," World Psychiatry, Vol.15, No.1, pp.77-79, 2016. 

  8. D. H. Welsh, B. G. Kim, E. Memili, and E. Kaciak, "The Influence of Family Moral Support and Personal Problems on Firm Performance: The Case of Korean Female Entrepreneurs," Journal of Developmental Entrepreneurship, Vol.19 No.3, pp.1-17, 2014. 

  9. L. Xiao and D. North, "The graduation performance of technology business incubators in China's three tier cities: the role of incubator funding, technic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mentoring,"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Springer, Vol.42, No.3, pp.615-634, 2017. 

  10. L. A. Renzulli, H. Aldrich, and J. Moody, "Family matters: gender, networks, and entrepreneurial outcomes," Social Forces, Vol.79, No.2, pp.523-546, 2000. 

  11. H. Landstrom, G. Harirchi, and F. Astrom, "Entrepreneurship Exploring the Knowledge Base," DIME Final Conference, 2005. 

  12. D. Miller,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Management Science, Vol.297, pp.770-791, 1983. 

  13. J. Covin and D. Slevin, "A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as a Firm Behavi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6, pp.7-25, 1989. 

  14. R. Frey, "Need for Achievement, Entrepreneurship and Economic Growth," The Social Science Journal, Vol.21, pp.125-134, 1984. 

  15. F. Lina'n and Y. W. Chen, "Development and cross-cultural application of a specific instrument to measure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333, pp.593-617, 2009. 

  16. N. Peterman and J. Kennedy, "Enterprise education: Influencing students' perceptions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282, pp.129-144, 2003. 

  17. 최양림, 하규수, "직장인들의 은퇴후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09, pp.195-212, 2012. 

  18. 하규수, 윤백중, "대학생의 창업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8, pp.85-99, 2011. 

  19. 김정곤, 양동우,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4, pp.477-487, 2016. 

  20. M. A. Sahban, M. D. Kumar, and S. Sri Ramalu, "Model Confirma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ocial Support System Toward Entrepreneurial Desire," Asian Social Science, Vol.10, No.22, pp.17-28, 2014. 

  21. J. A. Starr and N. Fondas, "A model of entrepreneurial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 forma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7, No.1, pp.67-77, 1992. 

  22. R. Nanda and J. Sorensen, "Workplace peers and entrepreneurship," Manage, Sci, Vol.56, No.7, pp.1116-1126, 2010. 

  23. R. J. R. Levesque, Encyclopedia of Adolescence Edited, Indiana University, USA: Springer, 2014. 

  24. T. Dunn and D. Holtz-Eakin, "Financial capital, human capital, and the transition to self-employment: evidence from intergenerational links," J, Lab, Econ, Vol.18, pp.282-305, 2000. 

  25. N. A. Buang and Y. M. Yusof, "Motivating Factors That Influence Class F Contractors to Become Entrepreneurs," Journal Pendidikan, Vol.31, pp.107-121, 2006. 

  26. D. Turker and S. Sonmez Selcuk, "Which factors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Vol.332, pp.142-159, 2009. 

  27. M. V. Molino, Dolce, C. G. Cortese, and C. Ghislieri,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as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Gender Differences in Italy," PLoS ONE Vol.13, No.6, pp.1-19, 2018. 

  28. 조한준, 최대수, 성창수,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벤처창업연구, Vol.152, pp.81-96, 2020. 

  29. 허미영, 중국대학생의 역할모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0. R. A. Noe, "An investigation of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assigned mentoring relationships," Personnel Psychology, Vol.413, pp.457-479, 1988. 

  31. B. J. Beckett, "Mentorship is key to career success," Strategic Finance, Vol.92, No.4, pp.21-22, 2010. 

  32. J. Audet and P. Couteret, "Coaching the entrepreneur: features and success factors," Journal of Small Business and Enterprise Development, Vol.19, No.3, pp.515-531, 2012. 

  33. G. Nabi and F. Linan, "Considering business start-up in recession time: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economic context in shaping the entrepreneurial int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ial Behaviour & Research, Vol.19, No.6, pp.633-655, 2013. 

  34. K. E. Kram, "Phases of the mentor relation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64, pp.608-625, 1983. 

  35. R. J. Burke, "Mentors in organizations," Group & Organization Studies, Vol.93, pp.353-372, 1984. 

  36. 이상호, 이만기, "멘토역량과 멘토링기능에 관한 모델연구," 전문경영인연구, Vol.91, pp.229-264, 2006. 

  37. 박수용, 서상혁, 서준혁, 오재우, 이동형, "창업 멘토의 기능이 기업가 정신에 미치는 요인간 구조분석," 한국창업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pp.394-415, 2013. 

  38. 유병준, 전성민, 석민성, "멘토역량과 멘토링기능이 창업멘토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Vol.136, pp.15-25, 2018. 

  39. C. C. Chen, P. G. Greene, and A. Crick, "Do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distinguish entrepreneurs from manager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134, pp.295-316, 1998. 

  40. G. D. Markman, R. A. Baron, and D. B. Balkin, "Are perseverance and self efficacy costless? Assessing entrepreneurs' regretful think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Vol.261, pp.1-19, 2005. 

  41. H. Zhao, S. Seibert, and G. E. Hills,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06, pp.1265-1272, 2005. 

  42. 강재학,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서대학교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3. 이은진, 진현철, 안시연, "기업가정신이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공과 자기효능감 을 중심으로," 유통물류연구, Vol.7, pp.1-15, 2020. 

  44. 기홍석, 기업가정신 및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45. 정신박, 중국 청년창업가의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사회적지지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6. 김명숙, 박태경, "창업교육만족도와 가족지지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34, No.3, pp.103-123, 2019. 

  47. H. A. Colley, " 'Rough Guide' to the History of Mentoring from a Marxist Feminist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International research and pedagogy, Vol.28, No.3, pp.257-723, 2002. 

  48. N. F. Krueger and D. V. Brazeal, "Entrepreneurial potential and potential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83, pp.91-104, 1994. 

  49. J. Veciana, M. Aponte, and D. Urbano,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trepreneurship: A two countries comparison," The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Vol.12, pp.165-182, 2005. 

  5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51. M. J. Austin and M. M. Nauta, "Entrepreneurial role-model exposure, self-efficacy, and women's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43, No.3, pp.260-27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