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및 장애중증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
Moderated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everity Level of a Disability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ec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of the Disabled Wage Worker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Their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679 - 689  

정형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금근로장애인의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그리고 장애중증여부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SPSS 25ver,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은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안정성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즉 임금근로장애인이 경험하는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 수준이 고용안전성을 통해 생활만족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장애중증 여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은 장애 정도와 무관하게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안정성, 생활만족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 임금근로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고용안정성 증진을 위한 제도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severity level of a disability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ec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of the disabled wage worker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their 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 목적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장애인 일자리정책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의 검토를 토대로 모형을 도출하고 이에 근거해서 코로나19 이후 장애인 사업장 내에서의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검토하는데 있다. 특히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용환경으로서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 변인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것이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는 고용안정성이라는 매개 변인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장 내 어려움, 고용안정성,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주요 변인들 간 관계에서 중증 여부에 따른 인과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 본 연구 목적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장애인 일자리정책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의 검토를 토대로 모형을 도출하고 이에 근거해서 코로나19 이후 장애인 사업장 내에서의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검토하는데 있다. 특히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용환경으로서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 변인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것이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는 고용안정성이라는 매개 변인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eck, Ulrich, 위험사회, 서울: 새물결, 1997. 

  2. https://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210715020230842014 

  3. 박준성, 허성호, 정태연,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근로조건이 직업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1호, pp.167-186, 2011. 

  4. 변경희.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의 질'개념 및 결정요인,"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2호, pp.189-212, 2010. 

  5.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백서, 2020. 

  6. 안효상, 서정희, "코로나 19 이후 불확실성 시대의 새로운 소득보장," 산업노동연구, 제26권, 제3호 pp.63-118, 2020. 

  7.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21816000000210 

  8. 김을식, 김재신, "코로나19 고용 충격, 위기 대응과 뉴노멀의 모색," 이슈&진단, pp.1-26, 2020. 

  9. 전근배, "국가의 거리 : 코로나19와 장애인의 삶, 그 현황과 대책," 비판사회정책, 제68호, pp.173-207, 2020. 

  10. 유병선, 전희정,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에 대한 주관적 인식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39호, pp.31-54, 2021. 

  11. 최일섭,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출판, 1996. 

  12. 한국갤럽, 코로나19 전후 직장생활 변화, 2021. 

  13. 노정옥, 최선아, "전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원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무환경 및 직업만족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9권, 제4호, pp.733-744, 2010. 

  14. Anand, Priyanka and Purvi Sevak, "The role of workplace accommodations in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ZA Journal of Labor Policy, Vol.6, No.1, pp.1-20, 2017. 

  15. 이경준, 양희택, "자립생활센터 근무 장애인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연구," 재활복지, 제13권, 제3호, pp.19-45, 2009. 

  16.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직업 안정성의 노동시장 효과 연구, 2018. 

  17. 조한진, "임금근로 장애인의 고용 안정성의 예측 요인,"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2호, pp.213-234, 2010 

  18. 송진영, "임금근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직무만족도간 장애수용과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4호, pp.329-346, 2012. 

  19. 김세연, 구인순, 박자경,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 및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318-329, 2012. 

  20. William G. Johnson and Marjorie Baldwin,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Will it make a difference?," Policy Studies Journal, Vol.21, No.4, pp.775-788, 1993. 

  21. Richard T. Roessler, "Improving job tenure outcom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3M model,"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Vol.45, No.4, pp.207-212, 2002. 

  22. 오동록, "국내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314-324, 2019. 

  23. 하경해, "임금근로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별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305-316, 2017. 

  24. 임예직, 문영민,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변화를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제31권, 제1호, pp.123-148, 2021. 

  25. 이용관, "코로나-19가 임금근로자의 노동조건에 미친 영향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제44권, 제2호, pp.71-90, 2021. 

  26. 박민자, "임금근로장애인의 정규직과 임금수준의 상태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종단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34호, pp.5-21, 2020. 

  27. 박용순, 송진영, "중장년층 장애인의 정규직 상태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성별과 장애정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4호. pp.113-137, 2012. 

  28. 최지선,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매개효과와 직장 내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4호, pp.343-36, 2009. 

  29. 양희택, 서대석, "임금근로 장애노인의 고용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제3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pp.247-277, 2011. 

  30. 김미경, 고정훈, "근로 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권, 제7호, pp.546-557, 2021. 

  31. 박중석,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의 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직업능력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32. Richard V. Burkhauser, J. S. Butler, and Y. W. Kim, "The importance of employer accommodation on the job dura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A hazard model approach," Labour Economics, Vol.2, No.2, pp.109-130, 1995. 

  33. 고민석, 김동주, "중증장애근로자의 장애로 인한 차별경험과 일상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제8권, 제2호, pp.105-114, 2013. 

  34.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0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2020. 

  35. 심진예,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탈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4호, pp.31-50, 2015. 

  3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18. 

  37. 변용찬, 이은정, 이계철, "경기도 취업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직업재활연구, 제14권, 제1호, pp.105-132, 2004. 

  38. 이순희, 박석용, "중증장애인의 근로욕구 및 실태조사를 통한 고용확대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권, 제9호, pp.304-312, 2009. 

  39. 전명숙, 정원철,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업능력이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83-94, 20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