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주문제가 있는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음주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Drinking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Self-Sufficiency Program with Alcohol Problem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723 - 737  

이은희 (가톨릭관동대학교 중독재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음주문제가 있는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음주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지역자활센터에 자활근로사업에 참여중인 문제음주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현상학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6개의 주제, 7개의 주제모음,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음주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직업수행에 대한 성취감과 소속감', '직장생활의 연장', '사회적 관계 유지', '자활참여를 위한 주중 조절음주', '작업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 '과음에서 비롯된 결근에 대한 자책과 반성', '음주문제에 대한 자각'으로 드러났다. 분석을 통해 참여자는 직업수행에 대한 성취감과 소속감으로 음주를 하였고, 술자리는 직장생활의 연장이자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동시에 자활근로사업에 참가하는 평일에는 나름대로 절주를 함으로써 숙취 상태에서 작업환경에 방해가 되는 일이 없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을 한다. 과음에서 비롯된 결근은 자책과 반성을 하게 되고, 더 나아가 자신의 문제음주를 자각하는 과정에 있음을 확인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drinking experience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self-sufficiency program with alcohol problems.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problem drinkers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self-suppor...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음주문제가 있는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음주 경험을 질적으로 들여다봄으로서 참여자의 음주 경험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 ** 구 지역자활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사례관리자에게 음주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자활근로사업 참여자를 의뢰받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판 위험음주자 선별도구(AUDIT-K)를 사용하여 알코올사용 장애 여부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ttp://www.mohw.go.kr/react/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350202&PAGE2&topTitle자활근로사업 

  2. 윤명숙, 김성혜, 채완순, "기초생활수급자들과 일반인의 문제음주와 정신건강 비교연구,"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제9권, 제2호, pp.13-26, 2008. 

  3. 도은영, 홍연란, "기초생활수급자의 문제음주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371-380, 2014. 

  4. 김용석, 이재완, 한명미, 김묘정, 정한샘, 최현정, 이석호, "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 참여기간, 자활의지간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1호, pp.143-163, 2015. 

  5. E. Kenefick and E. Lower-Basch, "TANF policy brief : helping TANF recipients overcome addiction: Alternatives to suspicionless drug testing," CLASP, updated Oct. 2012, http://www.clasp.org/resources -and-publications/files/Helping-TANF-Recipients-OvercomeAddiction.pdf.) 

  6. 배옥란,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 D. Bloom, P. J. Loprest, and S. R. Zedlewski, TANF recipients with barriers to employment(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 Progran-Research Synthesis Brif No. 1.) Washington D.C.: Urban Institute. 2011. 

  8. 이용표, "알코올중독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일반 수급자의 정신건강 특성, 주관적 삶의 질 및 서비스 욕구에 관한 비교 연구-자활사업의 재활프로그램 대상자를 중심으로,"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제2권, 제2호, pp.5-12, 2001. 

  9. 이서원, 장용언, 한지숙,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 음주의 매개효과,"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제12권, 제2호, pp.29-44, 2011. 

  10. 박재민, 유태균, 최수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신건강이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제41권, 제4호, pp.125-146, 2014. 

  11. 황명주, "자활사업참여자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음주량, 음주빈도의 조절효과 검증,"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제19권, 제1호, pp.1-15, 2018. 

  12. 이종례, 장수미, "농촌 지역자활센터 참여자의 우울과 자활성과-음주문제이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70권, pp.51-79, 2019. 

  13. 정우진, 이선미, 김재윤,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서울: 집문당, 2009. 

  14. L. D. Schmidt, J. Dohan, Wiley, and D. Zabkiewicz, "Addiction and Welfare Dependency: Interpretating the Connection," Social Problem, Vol.49, No.2, pp.221-241, 2002. 

  15. 백학영, 한경훈, 이승호, 조성은, "근로빈곤층의 자활근로사업 유인과 걸림돌에 대한 질적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3권, 제2호, pp.241-275, 2016. 

  16. 지규옥, "빈곤 여성 가구주의 자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지역사회연구, 제26권, 제4호, pp.207-231, 2018. 

  17.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사례 분석, 서울: 집문당, 2016. 

  18.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2007.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3판 학지사, 2015. 

  19. 장민희, 근로빈곤 여성가구주의 빈곤경험과 자활근로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0. D. K. Padggett,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1998.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유태균 역, 서울: 나남출판사, 2001 

  21. 최은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효과 관련 요인: 자활패널 1차 wave 자료 활용,"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48권, pp.85-103, 2016. 

  22. 백학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사업에 대한 인식과 노동시장 진입 전망에 관한연구-여성가장의 자활사업참여경험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 제30호, pp.83-114, 2007. 

  23. 최은정, 알코올중독자의 우울과 회복동기이 관계: 사회적지지와 AA몰입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4. 박경은, 장혜량, 김나미,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단주기간에 따른 알코올의존 회복, 삶의 질,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제21권, 제5호, pp.981-995, 2021. 

  25. 조준용, "자활제도 참여자의 자활 경험과 전망에 대한 종단적 질적 연구-근거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3권, 제10호, pp.313-324, 2013. 

  26. G. Kirby and J. Anderson, Addressing Substance Abuse Problems among TANF Recipients: A Guide for Program Administrators, Washington, DC: Mathematica Policy Research, 200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