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 개발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630 - 644  

김화영 (동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류세앙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하이브리드 방법에 따라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고 유효성을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주제와 핵심 질문은 문헌 검토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고, 핵심 질문과 관련된 권고안은 체계적 검색과 선정에 의한 기존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여 수렴하였으며, 미해결 핵심 질문과 관련된 권고안은 체계적고찰과 메타 분석을 통해 새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권고안은 RAND에 의한 유효성 검증과 간호실무지침 초안은 AGREE II에 의한 방법론적 질평가를 수행하였다. 9개 범주의 44개 권고안으로 구성된 최종 간호실무지침의 임상타당성은 중환자실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최종 개발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은 방법론적 타당성과 내용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우리 간호실무 환경에 적합하여 중환자 간호실무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VAP.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to develop guideline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hybrid method of the NECA. Topics and key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 예방을 위하여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실무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곽이경, 최영화, 최준용, 유현미, 이상오, 김홍빈, 한수하, 이미숙, 김효열, 김성란, 김태형, 박선희, 유소연, 최평균, 은병욱, 신명진, 최지연, 구현숙, 어영, 유진홍,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 중환자실 부문 결과보고: 2015년 7월부터 2016년 6월," 의료관련감염관리, 제22권, 제1호, pp.9-20, 2017. 

  2. J. Rello, E. Afonso, T. Lisboa, M. Richart, B. Balsera, and A. Rovira, J. Valles, and E. Diaz, "A care bundle approach for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Vol.19, No.4, pp.363-369, 2013. 

  3. M. H. Kollef, C. W. Hamilton, and F. R. Ernst, "Economic impact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a large matched cohort,"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Vol.33, No.3, pp.250-256, 2012. 

  4. 송의림, 김숙영,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이 폐렴 발생률과 기관내 균집락화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8권, 제6호, pp.628-636, 2016. 

  5. O. C. Tablan, L. J. Anderson, R. Besser, C, Bridges, and R. Hajjeh,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2003," Recommendations of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HICPAC). MMWR. Vol.53, No.03, pp.1-36, 2004. 

  6. 송주현, 김경희, "인공호흡기 회로 교환주기가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임상간호연구, 제16권, 제3호, pp.111-121, 2010. 

  7. 서효경, 최은희, 김진희, "구강간호가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발생률에 미치는 효과," 중환자간호학회지, 제4권, 제2호, pp.39-42, 2011. 

  8. 반금옥, "중환자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55-166, 2009. 

  9. J. S. Eom, Impact of the intervention to prevent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 a multi-center based study, Disease control center Academic research report. Aug. 2011. 

  10. 김재열, 김제형, 김창호, 서지영, 이진화, 임채만, 만성기도폐쇄성질환 인공호흡기법 한국 지침, 만성기도 폐쇄성질환, 임상연구센터 근거창출임상연구국가사업단, 2011. 

  11. M. J. Field and K. No. Loh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directions for a new program,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990, International Standard Book, 1990. 

  12. 구미옥, 조명숙, 조용애, 정재심, 은영, 정인숙, 박정숙, 김헤정, "국내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 주제의 우선순위 결정," 임상간호연구, 제18권, 제1호, pp.39-51, 2012. 

  13. 김수영, 최미영, 신승수, 지선미, 박승희, 유지혜, 류다연, 박지정, 임상진료지침 실무를 위한 핸드북,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1. 

  14. 유성희, 김소선, "연하곤란이 동반된 급성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장관 영양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4권, 제3호, pp.280-293, 2014. 

  15. P. Brendt, M. Schnekenburger, K. Paxton, A. Brown, and K. Mendis, "Endotracheal tube cuff pressure before, during, and after fixed-wing air medical retrieval," Prehospital Emergency Care, Vol.17, No.2, pp.177-180, 2013. 

  16. 김금순, 김복자, 이영희, 최은희, 강지연, 최신 중환자간호학, 수문사, 2014. 

  17. Y. M. Arabi, M. Khedr, SI. Dara, G. Dhar, S. Bhat, H. Tamim, and L. Y. Afesh, "Use of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and not graduated compression stockings is associated with lower incident VTE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multiple propensity scores adjusted analysis," Chest, Vol.144, No.1, pp.152-159, 2013. 

  18. W. Alhazzani, W. Smith, J. Muscedere, J. Medd, and D. Cook, "Toothbrushing for critically ill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evalua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rit Care Med, Vol.41, No.2, pp.646-655, 2003. 

  19. F. Hua, H. Xie, H. V. Worthington, S. Furness, Q. Zhang, and C. Li, "Oral hygiene care for critically ill patients to prevent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Update in: Cochrane Database Syst Rev. Vol.25, No.10, pp.291-298, 2016. 

  20. D. A. Ridling, L. D. Zartin, and S. L. Bratton, "Endotracheal suctioning with or without instillation of isotonic sodium chloride solution in critically ill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12, No.3, pp.212-219, 2003. 

  21. D. David, P. Samuel, T. David, S. N. Keshava, A. Irodi, and J. V. Peter, "An open-labell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costs and clinical outcomes of open endotracheal suctioning with closed endotracheal suctioning in mechanically ventilated medical intensive care patients," Journal of Critical Care, Vol.26, No.5, pp.482-488, 2011. 

  22. A. Kuriyama, N. Umakoshi, J. Fujinaga, and T. Takada, "Impact of closed versus open tracheal suctioning systems for mechanically ventilated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nsive Care Med, Vol.41, No.3, pp.402-411, 2015. 

  23. A. Topeli, A. Harmanci, Y. Cetinkaya, S. Akdeniz, and S. Un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closed versus open endotracheal suction systems on the development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Th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Vol.58, No.1, pp.14-19, 2004. 

  24. S. Z. Sandra, B. L. Alba, B. Lucia, and D. Solange,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patients using a closed vs. open suction system,"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2, No.4, pp.484-489, 2003. 

  25. J. Lippoldt, E. Pernicka, and T. Staudinger, "Interface pressure at different degrees of backrest elevation with various types of pressure-redistribution surfac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23, No.2, pp.119-126, 2014. 

  26. J. P. Kress, A. G. Vinayak, J. Levitt, W. D. Schweickert, B. K. Gehlbach, F. Zimmerman, A. S. Pohlman, and J. B. Hall, "Daily sedative interruption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at risk for coronary artery disease," Crit Care Med, Vol.35, No.2, pp.365-71, 2007. 

  27. B. D. Jonghe, S. Bastuji-Garino, P. Fangio, J. C. Lacherade, J. Jabot, C. Appere-De-Vecchi, N. Rocha, and H. Outin, "Sedation algorithm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out acute brain injury," Crit Care Med, Vol.33, No.1, pp.120-127, 2005. 

  28. L. P. Deval, P. M. Timothy, B. Judyann, and A. John, Prevention and contro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massachusetts, Betsy lehman center and JSI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2008. 

  29. T. D. Girard, J. P. Kress, B. D. Fuchs, J. W. W. Thomason, W. D. Schweickert, B. T. PuNo, D. B. Taichman, J. G. Dunn, A. S. Pohlman, P. A. Kinniry, J. C. Jackson, A. E. Canonico, R. W. Light, A. K. Shintani, J. L. Thompson, S. M. Gordon, J. B. Hall, R. S. Dittus, G. R. Bernard, and E. W. Ely, "Efficacy and safety of a paired sedation and ventilator weaning protocol for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awakening and breathing controlled trial):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Vol.71, No.9607, pp.126-134, 2008. 

  30. M. H. Kollef, S. D. Shapiro, P. Silver, R. E. John, D. Prentice, S. Sauer, T. S. Ahrens, W. Shannon, and D. B. Clinkscal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rotocol-directed versus physician-directed weaning from mechanical ventilation," Crit Care Med, Vol.25, No.4, pp.567-574, 1997. 

  31. P. Dodek, S. Keenan, D. Cook, D. Heyland, M. Jacka, L. Hand, J. Muscedere, D. Foster, N. Mehta, R. Hall, and C. Brun-Buisson,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41, No.4, pp.305-313, 2004. 

  32. W. Crag, T. Ann, T. Stephanie, B. kimberly, J. Lori, W. Sue, and R. Kari, Health care protocol: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CSI(Institute for Clinical Systems Improvement), 2011. 

  33. J. Chastre and J. Y. Fago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Vol.65, No.7, pp.867-903, 2002. 

  34. 조용애, 구미옥, 은영, 김경숙, 이선희, 윤지현, 황정화, 이경윤, 박미정, "간호분야 실무지침의 수용개작 방법론에 따른 정맥혈전색전증예방 간호실무지침의 개발," 임상간호연구, 제22권, 제2호, pp.118-131,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