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공원특례사업의 추진에 따른 사업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s Following the Promotion of Private Park Special Project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5, 2021년, pp.112 - 124  

권영달 ((주)한성개발공사) ,  박현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공원 일몰의 대응수단으로 추진 중인 전국의 민간공원특례사업을 대상으로 지자체 및 공원현황, 사업특성과 시행 등에 관련된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류 후 비교·분석하여 제도시행 후 진행되어진 지자체별 사업을 점검하고, 그 가운데 제도의 의미와 보완점을 구축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첫째, 전국에서 시행 중인 민간공원특례사업은 주로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에서 시행되어 군 지역이나 지방소도시의 적용에는 한계성이 있었다. 이에 특례제도를 일괄적으로 적용하기보다 지자체의 특성과 규모를 고려한 제도 적용의 유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둘째, 공원조성 기부채납 방식에 의한 현재의 특례사업은 공동주택 위주의 단조로운 개발유형을 나타내고 있어, 이의 개선을 위해 공원부지만 매입하여 기부 채납하는 공원 보전형 방식 등을 도입하여 개발의 다양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원의 유형과 면적이 한정되어 사업대상에 한계를 보이고 있어, 대도시 도심지내 이용도가 높고 접근성이 좋은 공원들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면적기준을 5만m2 이하까지 완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례사업의 대상지가 대부분 산지형 공원으로 자연지형 및 스카이라인의 훼손 우려가 있어 공원별 입지특성을 고려한 건폐율과 용적률을 별도 조례를 설정하여 적용하는 것과 비공원시설 유형별 건축 가이드라인을 세부적으로 설정하여 공원과 공존할 수 있는 개발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과제로는 첫째, 전국의 민간공원특례사업이 완료된 후, 각 사업별 수익률을 데이터화 하여 향후 유사사업의 적정수익률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초과이익분의 환수 등 제도적 기준을 마련하며, 둘째, 사업기간의 단축을 위해 지자체별 TF팀 구성, 통합심의 전환, 제안단계에서 환경성 검토 도입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자체는 민간협의체를 구성을 제도화하여 협치시스템을 통한 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도모하고, 넷째, 특례공원의 기부채납 이후 유지관리에 대한 로드맵을 수립하여, 시민이 함께 하는 시민 참여형 공원 운영·관리방안 모델의 도입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d analyze local governments, park status, project characteristics, and the implementation in detail for private park special projects across the country as a means of responding to the sunsetting of urban par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rivate pa...

주제어

참고문헌 (19)

  1. Choi, H. S., J. G. Choi, J. Y. Shin, H. U. Hong, C. G. Park, J. E. Kang and G. S. Lee(2018) Environmental impacts and countermeasures due to the automatic effective system for long-term non-execution of urban parks. KEI. 

  2. Choi, M. U.(2019) A study of the residents consciousness on the special project for the private park development.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7(2): 183-196. 

  3. Choi, Y. M.(2014)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Privately-Invested Park Development Law for Small Unexecuted Neighborhood Parks in Seou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4. Jang, N. J. and J. Kim(2013) A simulation to estimate the applicability of special use permit policy to Seoul park system.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4): 169-186. 

  5. Jung, G. R.(2015) The Study on Building of Unexecuted Urban Park for a Loing Time using Development Activity Exception.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6. Kim, H. G.(2017a) The Guide Book of Urban-Parks Construction Utilizing Private Capital. Kyowoo Media. 

  7. Kim, H. G.(2017b) A Study on the Promotion Plan of Special Exception Business in lOng-Term Non-Executed Urban Parks through the Simulation Analysis. Docto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8. Kim, J. M.(2020) A Case Study on the Special Project for Private Park and the Method of Resolving the Conflict in the Project.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9. Kim, S. Y.(2010) A Study on the Acquisition System of the Urban Parks Unexecuted in Long-term under the Special Use Permit. Docto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10.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20) A Notification of Standard Facility Cost and Standard Composition Cost Per Unit in 2020. Notice No. 2020-433. 

  11.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9)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ct No. 16492. 

  12. Lee, D. S.(2019) A Study of the Revitalization Plan for the Exceptional Business in Private Parks. Master's Thesis. Hong Ik University. 

  13. Lee, J. H.(2018) The Private-Initiated Park Development Project Implementation Strategies through Conflict Cause Analysis. Master's Thesis. Kwang Woon University. 

  14. Lee, J. J., S. C. Park and H. Kim(2009) A study on the effective plans to increase urban parks through activating private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plans to improve park facilities at the balance point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3(4): 675-684. 

  15. Lee, J. Y.(2018)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Urban Park.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6. Park, S. J.(2018) A Study on the Floor Area Ratio by Development Type for the Development of Private Park in Pyeongtaek.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17. Shin, D. H.(2020) A Study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Rational Promotion of Special Projects for the Consruction of Private Parks. Doctor's Thesis. Dong-Eui University. 

  18. https://www.eiass.go.kr 

  19. https://www.eli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