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현옥 서울시장(1966~1970년)의 공원녹지 정책 경로에서 나타난 하이 모더니즘 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 Modernism in the Path of Policy for Urban Parks and Greenbelts under the Kim Hyeon-Ok's Mayoralty (1966-1970), Seou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5, 2021년, pp.27 - 45  

오창송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김근호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 근대화의 주역인 김현옥 서울시장이 추진한 공원녹지 정책의 경로를 추적하고 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의 공원녹지 정책 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 하이 모더니즘의 관점을 투영하였다. 하이 모더니즘은 전후 도시재건사업에서 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으로 국가 엘리트들에 의한 이상적 사회질서와 합리적 계획에 대한 신념의 형태로 출현하였다. 이것의 특징은 가독성 구축, 권력에 의한 신속성과 편의성, 민간 참여와 이익 창출, 그리고 건설되는 도시의 스펙타클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하이 모더니스트로서 김현옥 서울시장의 도시계획은 폭증하는 인구와 서울 영토의 확장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그의 공원녹지 정책은 서울 외곽으로 공원을 확장시켰고, 도심에 위치한 공원을 전용하는 이원적 태도를 보였다. 한편 공원조성을 위해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였지만 장소성을 소거하고, 관련 제도를 배제하는 근대화의 이면을 보여 주었다. 김현옥 시장의 공원녹지 정책의 경로는 인구증가에 대응하고 공원의 잠식을 해소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도시계획 현실화를 수용하고 비재정방식 실험하는 것이었다. 하이 모더니즘을 반영한 그의 공원녹지 정책의 특성은 첫째, 국토계획학회, HURPI 그리고 장문기로 대표하는 엘리트들이 참여하였고, 둘째, 사방위의 축, 표고 기준 그리고 인구 예측을 반영한 합리적 계획에 의한 공원녹지의 가독성을 구축하였다. 셋째, 급격한 도시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속하게 공원을 해제하였고 넷째, 민간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이벤트와 스펙타클을 과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path of policy for urban parks and greenbelts (PUPG) pursued by Seoul Mayor Kim Hyeon-ok, who was a protagonist of Seoul's modernization and to reveal the policy's characteristics. A high modernism perspective was projected to advance his PUPG discussion. Hi...

주제어

참고문헌 (35)

  1. Bivar, V.(2019) Agricultural high modernism and land reform in postwar france. Agricultural History 93(4): 636-655. 

  2. Cho, S. H., Y. I. Gu and J. H. Oh(2018) The History of the Begining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Light, The Prism amd The Rainbow. Seoul: Kimoondang. 

  3. Choi, B. D.(2007) Shift from developmentalism to neoliberalism and changes in spatial policy in S.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3(1): 82-103. 

  4. Han, S. J.(2012) From Manchukuo to Korea in the sixties, the flow of the Bulldozer State. The Manchurian Studies Association 13: 161-178. 

  5. Harvey, D.(1989)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Oxford: Blackwell. Gu, D. H. and Y. M. Park, trans.,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Seoul: Hanul. 1994. pp.57-61. 

  6. Hashim, S. M.(2017) "High modernism" and its limits-assesing state incapacity in Putin's Russia, 2000-2008. Communist and Post-Communist Studies 50: 195-205. 

  7. Jin, J. H.(2016) Green mountain' as symbolic landscape of development -critical approach on forest greening policy-.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50(4): 539-548. 

  8. Kang, N. H.(2020) A study on the 1960's seoul pilot projects - based on archives from the Asia foundation records 1951-1996 -.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78: 39-84. 

  9. Kang, S. Y. and H. Y. Jhang(2004) Modern Urban Parks, Korea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Seoul: Deawangsa. 

  10. Kim, D. S.(1990) A Study on the Change of Public Park in Korea.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Korea. 

  11. Kim, D. W.(2017) The re-organization of territory and the birth of Sudogwon (Capital Region) in the South Korean Developmental State, 1960s. Space and Environment 27(4): 218-251. 

  12. Kim, H. J.(1987) A Study on the Change of Urban Park in Seou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Kim, S. J.(2020) The meaning of conflict over development and the discourse on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urrounding the Sajik Dan and Sajik Park construction. The Korean Cultural Studies 38: 137-170. 

  14. Kwon, Y. D., J. S. Ko and Y. J. Park(2012) The issues and policies in urban planning of Seoul in the 1960s. Research Report to Seoul Institute. pp. 61-74. 

  15. Lee, J. Y. and T. Y. Jung(2013) An interpretation of a social implication on the transition of the urban park in Deag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3): 72-82. 

  16. Lhee, D. W.(1976) A Study on the Park Policy in Terms of Control of Open Space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Historic Perspectiv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7. Li, T. M.(2005) Beyond the State and Failed Schemes, American Anthropologist 107(3): 383-394. 

  18. Loo, T.(2016) High modernism, conflict, and the nature of change in Canada: A look at seeing like a state. Canadian Historical Review 97(1): 34-58. 

  19. Oh, C. S.(2018) Legal issues of urban parks as a reservation area in the initial legislation on urban parks In Korea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k act (1967~1980).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3): 103-116. 

  20. Pae, J. H.(2003) Park Chung-Hee's thoughts on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4): 13-24. 

  21. Pae, J. H.(2011) Restrain of Modernity, Behind the Green [근대의 굴레, 녹색의 이면: 한국 조경의 근대성과 박정희의 조경관]. In I. J. Jung, H. M. Pae, M. R. Cho, B. S. Min, J. H. Pae and K. J. Zho, eds. Topography of Discourse: Architecture, Urbanism and Landscape Architecture. Goyang: Namudosi. pp.152-181. 

  22. Park, B. G. and D. W. Kim(2013) The Region of Korea from a Multiscale Perspective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 Seoul: Alt. 

  23. Park, H. G.(2015) Urban modernization of seoul in late 1960s - reorganization of the urban space for the segregation between the poor and the middle class -. Journal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15(2): 237-276. 

  24. Park, I. J.(2002) A Study of the History of Parks System Transformantion of Seoul, Korea.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Korea. 

  25. Scott, J. C.(1998) Seeing Like a State: How Certain Schemes to Improve the human Condition have Failed. New Heaven: Yale University. S. I. Jun, trans., 국가처럼 보기: 왜 국가는 계획에 실패하는가. Seoul: Ecolivres. 2010. pp.19-279. 

  26. Seoul Museum of History(2016) The City is a Line; Mayor Kim Hyeon Ok. [도시는 선이다 불도저 시장 김현옥 1966-1970]. 

  27. Seoul(1965a) History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서울특별시사]. Research Report to Seoul. p. 344-345. 

  28. Seoul(1965b) Urban Planning of Seoul [서울도시계획]. Research Report to Seoul. p. 259-333. 

  29. Seoul(1966) The Basic Plan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서울도시기본계획]. Research Report to Seoul. p. 259-296. 

  30. Seoul(1968) The Basic Plan of Urban Planning Park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서울도시계획공원 기본계획보고서]. Research Report to Seoul. p. v. 

  31. Son, J. M.(2002) 1966 and Appearence of Bulldozer Mayor Kim Hyeon-Ok: 50 Years of Urban History ⑦. Urban Affair Monthly Magazine 406: 94-105. 

  32. Um, W. J. and I. J. Jung(2020) Park Byung-Joo's 'New Seoul Blank Plan(1966)'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s urban design during 1960-1970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6(2): 97-108. 

  33. Whitehead, M., J. Rhys and J. Martin(2007) The Nature of the State: Excavating the Political Ecologies of the Modern Stat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4. Youn, E. J. and I. H. Jung(2009) A study on the formation of urban space in Gangnam area and the urban discourse in the 1960s. Journal of th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5): 231-238. 

  35. Yum, B. K.(2014) Collapsed myth, continuing myth: Remains of the municipal administration of construction of mayor Kim Hyun Ok and the collapse of a Wawoo apartment complex building. Critical Review of History 108: 12-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