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농도 예측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별 성능 비교
Comparative Study of Performance of Deep Learning Algorithms in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Prediction 원문보기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25 no.5, 2021년, pp.409 - 414  

조경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AI시험검증팀) ,  정용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과) ,  오창헌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세먼지에 대한 심각성이 사회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대중들은 미세먼지 예보에 대한 정보의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예측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세먼지 예측을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으로 연구되고 있는 신경망 알고리즘들 중 대표적인 알고리즘들의 예측 성능 비교를 진행하였다. 신경망 알고리즘 중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하였으며, 하이퍼 파라미터 탐색을 이용하여 최적의 예측 모델을 설계하였다. 각 모델의 예측 성능 비교 분석 결과, 실제 값과 예측 값의 변화 추이는 전반적으로 좋은 성능을 보였다. RMSE와 정확도를 기준으로 한 분석에서는 DNN 예측 모델이 다른 예측 모델에 비해 예측 오차에 대한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ing concerns on the emission of particulate matter has prompted a demand for highly reliable particulate matter forecasting. Currently, several studies on particulate matter prediction use various deep learning algorithm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redictive performances of typical neu...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많은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 예측에 적합한 알고리즘 선정을 위해 모델 별 성능 분석 및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천안 지역에서 10년 간 측정한 기상 및 대기오염 물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신경망 알고리즘을 통한 미세먼지 예측 모델을 구축한 후 알고리즘 별 성능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DNN, RNN, LST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미세먼지 농도 예측을 위한 3가지 신경망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해 전체 정확도, AQI(air quality index) 기준의 세부 정확도,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이용하여 진행한다.
  •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축된 예측 모델들의 성능 비교를 위해 실제 값과 예측 값의 추세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RMSE와 AQI 기준으로 구분하여 세부 예측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 하이퍼 파라미터 탐색을 통해 도출된 최적의 값을 적용하여 각 모델의 설계를 진행하였으며, training set을 이용하여 각 모델의 학습을 진행하였다. 이후 test set을 이용하여 각 모델의 학습 결과인 예측 값을 통해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예측 모델 설계 및 실험을 위해 사전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구성하였다. 데이터의 경우 천안시에서 2009년부터 2018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데이터 중 표 1과 같이 주요 데이터를 선정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중 환경 및 장비에 따라 측정이 되지 않은 데이터들이 존재였으며,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동일 시간의 모든 데이터를 제거하여 구성하였다.
  • 데이터의 경우 천안시에서 2009년부터 2018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데이터 중 표 1과 같이 주요 데이터를 선정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중 환경 및 장비에 따라 측정이 되지 않은 데이터들이 존재였으며,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동일 시간의 모든 데이터를 제거하여 구성하였다.
  • 이를 위해 천안 지역에서 10년 간 측정한 기상 및 대기오염 물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예측 모델의 학습에 사용하기 위해 training set, validation set, test set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데이터의 특성이 서로 다를 경우 발생하는 학습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처리를 진행하였다.
  • 예측 모델 설계 및 실험을 위해 사전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구성하였다. 데이터의 경우 천안시에서 2009년부터 2018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데이터 중 표 1과 같이 주요 데이터를 선정하여 수집하였다.
  •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많은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 예측에 적합한 알고리즘 선정을 위해 모델 별 성능 분석 및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천안 지역에서 10년 간 측정한 기상 및 대기오염 물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예측 모델의 학습에 사용하기 위해 training set, validation set, test set으로 구성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신경망 알고리즘을 통한 미세먼지 예측 모델을 구축한 후 알고리즘 별 성능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DNN, RNN, LST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미세먼지 농도 예측을 위한 3가지 신경망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해 전체 정확도, AQI(air quality index) 기준의 세부 정확도,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이용하여 진행한다.
  •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축된 예측 모델들의 성능 비교를 위해 실제 값과 예측 값의 추세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RMSE와 AQI 기준으로 구분하여 세부 예측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각 모델을 통해 도출된 추세 변화의 경우 모델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이후 test set을 이용하여 각 모델의 학습 결과인 예측 값을 통해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성능 평가의 기준으로 RMSE를 사용하였으며, 세부 예측 정확도 파악을 위해 AQI 지수 별 정확도를 이용하였다.
  • 하이퍼 파라미터 탐색을 통해 도출된 최적의 값을 적용하여 각 모델의 설계를 진행하였으며, training set을 이용하여 각 모델의 학습을 진행하였다. 이후 test set을 이용하여 각 모델의 학습 결과인 예측 값을 통해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성능 평가의 기준으로 RMSE를 사용하였으며, 세부 예측 정확도 파악을 위해 AQI 지수 별 정확도를 이용하였다.
  • 예측 모델의 경우, 학습 강도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이게 되며,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학습 강도와 관련된 여러 파라미터들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파라미터 최적화를 위해 하이퍼 파라미터 그리드를 사용하였으며 표 2는 상위 3순위에 해당하는 하이퍼 파라미터 탐색 결과이다. 이에 따라 1순위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DNN 기반 예측 모델의 설계를 진행하였다.

이론/모형

  • 풍향의 경우 16방위로 표현되는 범주형 데이터임에 따라 one-hot encoding을 통해 0과 1의 벡터형으로 변환하였으며, 그 외의 데이터는 각기 다른 스케일을 min max scaling을 이용하여 수치 표현의 범위를 0부터 1사이 값으로 변환하였다. 예측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해 사용될 신경망 알고리즘은 DNN, RNN, LSTM으로 최적의 예측 성능을 위해 각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파라미터의 최적 값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하이퍼 파라미터 탐색을 통해 도출된 최적의 값을 적용하여 모델을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 A. Pope III, and D. W. Dockery, "Health effects of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line that connect,"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Vol. 56, No. 6, pp. 709-742, Jun. 2006. 

  2. A. Valavanidis, K. Fiotakis, and T. Vlachogianni,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nd human health: toxicological assessment and importance of size and composition of particles for oxidative damage and carcinogenic mechanism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Part C, Vol. 26, No. 4, pp. 339-362, Sep. 2008. 

  3. J. O. Anderson, J. G. Thundiyil, and A. Stolbach, "Clearing the air: a review of the effects of particulate metter air pollution on human health," Journal of Medical Toxicology, Vol. 8, No. 2, pp. 166-175, Dec. 2012. 

  4. K. H. Kim, E. Kabir, and S. Kabir, "A review on the human health impact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 74, pp. 136-143, Jan. 2015. 

  5. N. J. Hime, G. B. Marks, and C. T. Cowie, "A comparison of the health effects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from five emission sourc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 15, No. 6, Jun. 2018. 

  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policy implications for countries in eastern europe, caucasus and central asia,"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13. 

  7. K. H. Jeon, J. H. Lee, J. H. Park, H. J. Park, Y. H. Lee, M. S. Jung, H. S. Lee, K. P. Nam, J. S. Myoung, K. C. Choi, and T. H. Kim, "A study of data accuracy improvement for national air quality forecasting(I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Dec. 2016. 

  8. Board of Adit and Inspection (BAI), "Weather forecast and earthquake notification system operation," International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Jul. 2017. 

  9. M. M. Dedovic, S. Avdakovic, I. Turkovic, N. Dautbasic, and T. Konjic, "Forecasting PM10 concentrations using neural networks and system for improving air quality," 2016 XI International Symposium on Telecommunications(BIHTEL), pp. 1-6, Oct. 2016. 

  10. Y. B. Lim, I. Aliyu, and C. G. Lim, "Air pollution matter predic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with sequential data," Proceedings of the 2019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Systems, Metaheuristics & Swarm Intelligence, pp. 40-44, Mar. 2019. 

  11. S. W. Kang, N. G. Kim, and B. D. Lee, "Fine dust forecast based on recurrent neural networks," 2019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y (ICACT), pp. 456-459, Feb. 2019 

  12. J. B. Ahn, and Y. M. Cha, "A comparison study of correction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dynamically downscaled winter temperature over south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41, pp. 401-413, Jun. 2005. 

  13. J. W. Oh, J. H. Song, K. H. Kim, and S. H. Jung, "Automatic composition using training capability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chord progression,"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8, No. 11, pp. 1358-1366, Nov. 2015. 

  14. W. Yahaya, K. Zaman, and A. Latip, "Prediction of energy consump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RNN) and nonlinear autoregressive neural network with external input (NARX)," Indonesian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Vol. 17, No. 3, pp. 1215-1223, Mar. 2020. 

  15. S. Y. Yoo, J. C. Lee, J. H. Lee, H. J. Hwang, and S. S. Lee, "A study on time series data filtering of spar platform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43, No. 1, pp. 8-17, Jan. 2019. 

  16. X. Wang, and H. C. Kim, "Text categorization with improved deep learning methods,"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Vol. 16, No. 2, pp. 106-113, Jun. 2018. 

  17. C. H. Hwang, H. S. Kim, and H. K. Jung,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of erroneous data using quantile pattern and LSTM",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Vol. 16, No. 4, pp. 242-247, Dec.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