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문경 조령 주흘관(제 1관문)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the Wooden Elements Used in Juheulgwan of Joryeong (Gate No.1), Mungyeong, Korea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6, 2021년, pp.550 - 565  

LEE, Kwang Hee (Research Institute of Wooden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PARK, Chang Hyun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KIM, Soo Chul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문경 조령 주흘관(제 1관문) 목부재에 대해 수종과 연륜연대분석을 진행하여 재질과 건축역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주흘관 목부재(84점)의 수종은 소나무류 76점, 잣나무류 5점, 전나무속 3점으로 확인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코어링법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TSAP프로그램으로 크로스데이팅을 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소나무류 목부재 59점에 대한 최외각 연도는 1708년 여름-1709년 늦가을, 1792년 여름-1794년 초봄, 1838년 늦가을-1840년 초봄, 1867년과 1872년 초봄-늦가을로 총 4개의 벌채시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벌채시기들은 조선왕족실록, 주흘관중수기, 주흘관 성벽 각기의 수리기록과 일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일부 부재들은 수리기록과 벌채시기간의 약 10년 정도 차이가 나타나 당시 벌채한 목재를 저장하여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s objective was to conduct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wooden elements used in Mungyeong Juheulgwan of Joryeong (Gate No. 1). Of the 84 wooden elements evaluated, 76 were confirmed to be hard pines, 5 were soft pines, and 3 belonged to Abies spp. For tree-ring dating, c...

Keyword

표/그림 (14)

참고문헌 (20)

  1. Eom, Y.J., Park, B.D. 2018. Wood Species Identification of Documentary Woodblocks of Songok Clan of the Milseong Park, Gyeongju,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6(3): 270-277. 

  2. Kim, Y.J., Park, W.K. 2005. Tree-ring dating of Korean woodcraft of the late Joseon and the Modern era: A case study.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46(8) :247-274. 

  3. Koog, W.S. 2000. Geoecology on the Subalpine Vegetation and Landscape of Mt. Sorak.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5(2): 177-187. 

  4. Lee, K.H., Lee, U.C., Kang, P.W., Kim, S.C. 2021. Analysis and Tree-Ring Dating of Wooden Coffins Excavated from Incheon Sipjeong-Dong Site.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9(1): 67-81. 

  5. Lee, K.H., Park, C.H., Kim, S.C. 2020.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en Elements in Daewoong-jeon of Hwagye-temple, Seoul,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6(5): 326-332. 

  6. Lee, K.H., Seo, J.W., Han, G.S. 2018. Dating Wooden Artifacts Excavated at Imdang-dong Site, Gyeongsan, Korea and Interpreting the Paleoenvironment according to the Wood Ident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6(3): 241-252. 

  7. Lee, P.W. 1997. Properties and Uses of Korean wood (I).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8. Mungyeong city, 2020. Mungyeong Joryeong (Gate No.1): Dismantling Precision Survey Report. Mungyeong city, Gyeongsangbuk-do, Korea. 

  9. Norrgard, S., Helama, S. 2021. Dendroclimatic investigations and cross-dating in the 1700s: The tree-ring investigations of Johan Leche (1704-1764) in southwestern Finland.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51(2): 267-273. 

  10. Park, J.H., Oh, J.E., Hwang, I.S., Jang, H.U., Choi, J.W., Kim, S.C. 2018. Study on Species Identification for Pungnammun Gate (Treasure 308) in Jeonju,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6(3): 278-284. 

  11. Park, W.K., Kim, Y.J., Han, S.H. 2014. Dendrochronological Dating for the Gwanghanru Pavilion, Namwon, Korea.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47(1): 152-163. 

  12. Park, W.K., Lee, K.H. 2007. Changes in the Species of Woods used for Korean Ancient and Historic Architecture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6(1): 9-28. 

  13. Park, W.K., Son, B.H., Han, S.H. 2003.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Used for Tongmyungjeon Hall of Changkyung Palac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2(3): 53-63. 

  14. Schweingruber, F.H. 1988. Tree Rings: Basics and Applications of dendrochro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Holland. 

  15. Seo, J.W., Jeong, H.M., Sano, M., Choi, E.B., Park, J.H., Lee, K.H., Kim, Y.J., Park, H.C. 2017. Establishing Tree Ring δ18O Chronologies for Principle Tree Species (T. cuspidata, P. koraiensis, A. koreana, Q. mongolica) at Subalpine Zone in Mt. Jiri National Park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Corresponding Climate.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5(5): 661-670. 

  16. Soltani, M., Pourtahmasi, K., Mohammadi, M. 2021. Checking the Originality of Tar Musical Instrument by Using Dendrochronology. Scientific Culture 7(3): 1-12. 

  17. Son, B.H., Kim, J.H., Nam, T.K., Lee, K.H., Park, W.K. 2011.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 Elements in Daesungjeon of Jipyeong Hyanggyo, Yangpyeong,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9(3): 213-220. 

  18. Son, B.H., Park, W.K., Yoon, D.H. 2006. Analysis of Species and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Used for the Daewoongjeon Hall of Youngguksa Templ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5(2): 23-38. 

  19. Speer, J.H. 2010. The Fundamentals of Tree-ring Research.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cson, USA. 

  20. Teskey, R.O., Bongarten, B.C., Cregg, B.M., Dougherty, P.M., Hennessey, T.C. 1987. Physiology and genetics of tree growth response to moisture and temperature stress: A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oblolly pine (Pinus taeda L.). Tree Physiology 3(1): 41-61.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