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asses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irrigation reservoirs, climate exposure (EI), sensitivity (SI), and potential impact (PI) were evaluated for 1,651 reservoirs nationwide. Climate exposure and sensitivity by each reservoir were calcula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2011 to 2020 for s...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 농업용 저수지의 가뭄에 대한 기후변화 잠재영향 평가에 사용한 대리변수는 농업용 저수지의 물부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자료의 취득이 가능한 항목만 선정되었다. 중요성이 인정됐음에도 현실적으로 조사가 어려운 부분은 반영되지 못하였고 여건 변화에 따라 새로운 요인들이 발굴되고 가중치가 바뀔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보완이 요구된다.

대상 데이터

  • 4에서 보듯이 경북지역과 전남지역의 일부 저수지에서 가장 높은 민감도를 나타냈다. 대상 저수지 중 민감도가 0.6 이상인 저수지가 312개로 전체의 약 18.9%였고, 이 중 227개가 경북과 전남 소재 저수지로 72%를 넘었다. 기후노출 지수가 높은 경북지역은 관개면적을 제외한 모든 대리변수에서 가뭄에 취약하여 민감도 지수도 높게 산정되었다.
  • 제주도를 제외하고 한국농어촌공사 관할의 총저수량 10만톤 이상인 1,651개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가뭄에 대한 기후노출 7개 항목과 민감도 6개 항목에 대하여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10년 자료를 수집하였다. 시도별로는 전남이 417개로 가장 많고 경북과 경남이 각각 279개소, 254개소, 전북 199개소, 충남과 충북이 각각 172, 121개소, 경기 75개소, 강원 70개소, 기타 광역시에서 64개소가 선정되었다. 대상 저수지 전체의 평균 수혜면적은 215 ha이고, 평균 유역면적은 834.
  • 제주도를 제외하고 한국농어촌공사 관할의 총저수량 10만톤 이상인 1,651개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가뭄에 대한 기후노출 7개 항목과 민감도 6개 항목에 대하여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10년 자료를 수집하였다. 시도별로는 전남이 417개로 가장 많고 경북과 경남이 각각 279개소, 254개소, 전북 199개소, 충남과 충북이 각각 172, 121개소, 경기 75개소, 강원 70개소, 기타 광역시에서 64개소가 선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J. Y., 2014. A study on survey and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fo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Sejong: Ministry of Environment. 

  2. Choi, Y. W., M. W. Jang, S. J. Bae, K. H. Jung, and S. W. Hwang, 2019. Prioritizing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and infra-structures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5(1): 75-87 (in Korean). doi:10.7851/ksrp.2019.25.1.075. 

  3.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4. Jang, M. W., 2006. County-based vulnerability evaluation to agricultural drought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case of Gyeonggi-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2(1): 37-48. 

  5. Jang, M. W., S. J. Kim, S. J. Bae, S. Yoo, K. Jung, and S. Hwang, 2019. Assessing vulnerability to agricultural drought of pumping stations for preparing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1(6): 31-40 (in Korean). doi:10.5389/KSAE.2019.61.6.031. 

  6. Johnson, J. E. and D. J. Welch, 2010. Marine fisheries management in a changing climate: A review of vulnerability and future options. Review in Fisheries Science 18(1): 106-124. doi:10.1080/10641260903434557. 

  7. Kim, H. G., D. K. Lee, H. Jung, S. H. Kil, J. H. Park, C. Park, R. Tanaka, C. Seo, H. Kim, W. Kong, K. Oh, J. Choi, Y. J. Oh, G. Hwang, and C. K. Song, 2016. Finding key vulnerable areas by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Natural Hazards 81(3): 1683-1732. 

  8. Kim, K., B. C. Park, J. Heo, J. Y. Kang, and I. Lee, 2020. Assessment of heat wave vulnerability in Busan using the IPCC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104: 23-38 (in Korean). doi:10.15793/kspr.2020.104..02. 

  9. Kim, S. J., S. J. Bae, J. Y. Choi, S. P. Kim, S. K. Eun, S. H. Yoo, T. I. Jang, N. Y. Goh, S. W. Hwang, S. J. Kim, T. S. Park, K. H. Jeong, and S. H. Song, 2018. Analysis on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survey of rural water district and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0(5): 1-15 (in Korean). doi:10.5389/KSAE.2018.60.5.001. 

  10. Kim, S. J. S. J. Bae, S. Kim, S. H. Yoo, and M. W. Jang. 2016. Assessing sensitivity of paddy rice to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Water 8: 554. doi:10.3390/w8120554. 

  11. Kim, S. M., M. S. Kang, and M. W. Jang, 2018.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t a municipal level in South Korea.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6(4): 699-714 (in Korean). doi:10.1007/s10333-018-0661-z. 

  12.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17. Establishment of survey and management plan for rural water district and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for climate change impact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Naju, Jeonnam. 

  13. Lee, D., 2011. A study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by sectors for local government adaptation implementation planning.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Inche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4. Lee, J. S. and H. I. Choi, 2018. Comparison of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utcomes by classification schemes for vulnerability components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8(3): 221-229 (in Korean). doi:10.9798/KOSHAM.2018.18.3.221. 

  15. Moon, Y. S., W. H. Nam, M. G. Kim, H. J. Kim, K. Kang, J. C. Lee, T. H. Ha, and K. Lee, 2020. Evaluation of regional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agricultural water and reservoi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2(2): 97-109 (in Korean). doi:10.5389/KSAE.2020.62.2.097. 

  16. Moss, R. H., E. L. Brenkert, and A. L. Malone, 2001.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 quantitative approach. Prepared for the U. S. Department of Energy. 

  17. Myeong, S. J., J. Y. Kim, S. H. Shin, and B. O. An, 2010. Assess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of the physical infrastructure and developing adaptation measures in Korea II. Sejo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1, A study on vulnerability assessment of each sector to climate change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Sejong: Ministry of Environment.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2.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maps for loc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ning. Sejong: Ministry of Environment. 

  2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Impact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of agro-biotic community on climate change. Jeonju, Jeonbuk. 

  21. Shin, H. J., J. Y. Lee, S. M. Jo, S. M. Jeon, M. S. Kim, S. S. Cha, and C. G. Park, 2019. Vulnerability evaluation of groundwater well efficiency and capacity in drought vulnerable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1(6): 41-53 (in Korean). doi:10.5389/KSAE.2019.61.6.041. 

  22. Yoo, G. Y. and I. A. Kim,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Sejo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3. Yoon, S. T., Y. H. Lee, S. H. Hong, M. H. Kim, K. K. Kang, Y. E. Na, and Y. J. Oh, 2013.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ultivation facility by abnormal weather of climate chang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264-272 (in Korean). doi : 10.5532/KJAFM.2013.15.4.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