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부모의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10대에 첫 자녀를 임신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Exploratory study on developing a support policy for adolescent parents: focusing on single mothers who become pregnant for the first time as teenage years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5 no.1, 2021년, pp.113 - 132  

이영호 (서울특별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 ,  박지윤 (부산대학교 저출산문제센터)

초록

지금까지의 한부모가족에 대한 연구들의 대다수는 미혼 한부모가족의 형성사유를 구분하지 않아, 청소년한부모를 특정하여 직접 자료조사를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부모의 임신, 출산, 양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기 위한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청소년부모의 양육과 관련한 실태조사를 통해 얻고자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청소년부모를 대상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동일한 문제를 내포한 10대에 첫 자녀를 출산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이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임신에서 양육 초기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자녀 양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자립의 가능성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부모의 지원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10대에 첫 자녀를 출산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임신에서 출산, 양육초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직접 조사를 통해 탐색한 연구로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고 있으며, 비양육자인 자녀의 생부의 역동을 함께 추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저출산의 극복이라는 중차대한 국가의 과업에서 청소년 산모의 건강권을 바탕으로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함께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일은 개인, 사회가 함께 고민하여야 하며, 그 과정에서 아이 생부에 관한 사회의 무관심을 환기시키고 아이 생부를 양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부모와 미혼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들을 다양한 가족의 하나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청소년복지지원법과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에서 청소년부모에 대한 지원의 근거가 명시되어야 하며, 10대의 청소년으로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부모, 한부모들에 대해서는 가정의 형태에 관계없이 이용가능한 시스템의 도입과 10대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자녀양육과 관련한 정보 및 양육프로그램이 전문가에 의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포괄하는 가족정책의 수립과 가족자원과 지역자원을 적용할 수 있는 더욱 구체적인 후속 연구들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diverse system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itiatives that have been created to improve the environments of child birth and nurturing, the birth rate in Korean society remains low. Some minor teenage single parents give birth and raise children. Teenage single parents are supported by t...

주제어

참고문헌 (53)

  1. 강기정.박수선(2013).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족 사례관리 실천 경험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39-61. 

  2. 고선강(2014). 한부모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93-114. 

  3. 고선강(2015). 부모의 성별에 따른 한부모가계의 계제 자원 차인 영향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95-120. 

  4. 고선강(2018). 한부모가족의 가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모자가족과 부자가족의 지출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1), 99-118. 

  5. 고선강.구혜령(2012). 한부모가계의 자산상태: 가구주의 성에 따른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0-61. 

  6. 김명희.변규란(2012). 한부모가족 대상의 사례관리 운영 현황-취약 한부모가족 역량강화 서비스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19-133. 

  7. 김상훈.이재진.강승묵.김수아.박선영.박유리(2010). 여성 한부모 가정의 경제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0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60-260. 

  8. 김성연(2015). 미혼모의 시간빈곤 문제와 해결방안 모색.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28-132. 

  9. 김소영.정지영(2012). 한부모가족의 인적자원관리: 부모 자녀관계 및 심리.정서적 적응.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86-97. 

  10. 김외숙.박은정(2018).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의 성차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1-19. 

  11. 김은지.장혜경.이미정.최인희.김혜영.여유진(2011). 청소년한부모 생활실태조사 및 자립지원 방안 등 연구. 여성가족부. 

  12. 김지현.권미경.최윤경(2018). 돌봄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IV). 육아정책연구소, 2018(2), 78-79. 

  13. 김헤영.이미정.이택면.김은지.선보영.장연진(2010). 미혼모의 양육 및 자립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4. 노정자.강기정(2012). 한부모 이혼 남성이 홀로서기과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45-163. 

  15. 대한민국국회 (2021) 백혜련의원 대표발의, 청소년복지지원법 개정안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I2Y0R0W8Y1K8V1Q3S5L4M5E2Z3Y9Z4에서 2021.02.02. 인출 

  16. 대한민국국회 (2021) 최연숙의원 대표발의, 청소년복지지원법 개정안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M2D0Y0H9Z1D8D1E3D4G3B4P8J8F4V2에서 2021.02.02. 인출 

  17. 박단비(2016). 다문화.한부모여성의 사회자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6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78-178. 

  18. 박수선.강기정.손서희(2012). 한부모가족 사례관리 실천 경험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48-168. 

  19. 박정윤.원아름(2014). 한부모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 개인자원, 가족자원, 발달환경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21-141. 

  20. 박주희 (2016). 한부모가정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 태도 및 정서적 문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1-22. 

  21. 박지윤(2020). 10대에 출산한 여성의 양육과 자립에 관한 연구: 아동권리협약에 근거한 한.일 비교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제21대 국회의 젠더입법과제 다양성이 존중되는 가족 포럼 자료집, 61-75. 

  22. 베이비뉴스(2020.09.11) 작년 국외입양 100% '미혼모 아동'.. 국가는 어디 있나.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8592. 

  23. 변수정(2020). "미성년 미혼모의 건강과 양육지원" 자녀양육 청소년 부모 지원을 위한 국회 정책 세미나 자료집, 41-53. 

  24. 보건복지부(2020a). 2019년 아동학대 연차보고서. 

  25. 보건복지부(2020b) 보호대상 아동현황보고. 보호조치 아동의 발생원인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21에서 2020.11.20. 인출 

  26. 보건복지부(2020c) 보호대상 아동현황보고, 입양아 수 및 입양비율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08에서 2020.11.20. 인출 

  27. 서지원(2013).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자원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03-124. 

  28. 서지원.차성란(2012).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자원관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62-85. 

  29. 시사위크(2020), 어린이 행복권 톺아보기⑨ 사망으로 치달은 아동학대 ... 이렇게 달랐다. http://www.sisaweek.com/news/curationView.html?idxno137895에서 2020.10.02. 인출 

  30. 신윤정.이상림.김윤희(2013).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 대책 연구I(2),청소년 한부모가족 지원정책 국가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신정희(2011). 청소년임신에 따른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문제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심영란(2002). 미혼모의 욕구와 복지적 서비스에 관한 연구: 시설내의 미혼모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안경천.이영호.박단비(2017).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이용자요구 및 평가체계 개선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7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85-285. 

  34. 여성가족부(2020). 2020년 한부모가족지원사업 안내. 여성가족부. 

  35. 윤소영(2013).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여가실태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18. 

  36. 윤소영.이현아(2012). 한부모가족의 시간배분과 여가활동 실태분석-한부모가족의 행복한생활을 위한 생활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1-49. 

  37. 이복실(2012). 한부모가족지원 정책현황 및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10. 

  38. 이영호(2012). 한부모가족의 이슈와 가족자원경영학에서의 연구, 교육 및 실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3-27. 

  39. 이영호(2014). 청소년 한부모 양육 지원 서비스 실천사례 - 생활자립을 위한 사각지대의 해소 방안 모색. 서울시한부모지원센터 청소년 한부모양육 지원을 위한 국제포럼 자료집, 27-54. 

  40. 이영호(2015). 한부모가족의 시간빈곤 해결을 위한 전략과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57-168. 

  41. 이영호(2020). 청소년 (한)부모의 자립지원. 국회입법조사처. 자녀양육 청소년부모 지원을 위한 국회 정책 세미나 자료집, 13-33. 

  42. 이영호.김성연.이예슬(2020). 주거대출 연게사업을 통해 본 저수득 한부모가정의 주거실태와 생활변화.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0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8-208. 

  43. 이영호.장명선(2019). 중노년기 여성한부모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9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77-82. 

  44. 이윤정 (2019). 청소년한부모의 일과 삶의 실태와 현실 :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직업교육 경험과 아이돌봄서비스 지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3), 89-107. 

  45. 장명선.이영호(2016). 한부모가족의 자녀양육에 대한 정책요구와 방안 모색.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2), 141-163. 

  46. 장명선.이창순(2012). 서울시 한부모가족지원 정책 및 개선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98-115. 

  47. 통계청(2019). 인구동향조사. 통계청. 

  48.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2019). 청소년부모 생활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 

  49. 허명숙(2016).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미혼모의 자녀양육 경험.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허민숙(2020). 우리시대 사각지대 청소년: 자녀양육 청소년부모(부부), 현황과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자녀양육 청소년 부모 지원을 위한 국회 정책 세미나 자료집, 1-12. 

  51. 森田 明美(2014), 일본 청소년 양육모의 출산 및 양육실태와 연구의 구조. 서울시 한부모지원센터 청소년 한부모양육 지원을 위한 국제포럼 자료집, 55-64. 

  52. 上田 美香(2014), 청소년 양육가정의 임신기부터 복지지원에 관한 연구-청소년부모에 대한 양적조사 구조와 조사결과. 서울시한부모지원센터 청소년 한부모양육 지원을 위한 국제포럼 자료집, 65-78. 

  53. Berthoud, R. & Robson, K. (2001). The Outcome of Teenage Motherhood in Europe. Innocenti. Working Paper No.86. Florence: UNICEF.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