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기반 자녀돌봄 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 참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Community-based Childcare: A Case Study of a School-age Childcare Community of Participants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5 no.3, 2021년, pp.31 - 45  

전지원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형성된 지역기반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돌봄공동체 참여 및 운영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5년 이상 운영되고 있는 지역기반 초등자녀 돌봄공동체의 구성원 중 직업활동을 하는 기혼여성 10인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역기반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는 일·가정 양립 정책의 주요 영역인 자녀돌봄에 대한 다양한 욕구 충족 및 가족친화 지역사회 구축을 통한 상생의 돌봄문화 조성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기반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가 지역사회의 복지역량 증진에 유용한 복지자원으로 연계하기 위한 관련 정책 및 서비스를 모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efforts to expand public care services as social demands increase, the problem of the after-school self-ca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situation of care cliff remains. Thus, this study focused on community-based childcare to solve the issue of school-age childcare in Kore...

주제어

참고문헌 (33)

  1. 김경아.박미석.강복정.이영호.최새은.전지원.김미영(2020). 공적 가족사업역사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3), 79-102. DOI : 10.22626/jkfrma.2020.24.3.005. 

  2. 김기영(2016). 마을공동체 운동에서 공동육아의 실천사례. 교육비평(37), 208-229. 

  3. 김소영.선보영.전미영.남지민(2017).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 김희연.유영성.고재경(2014). 복지공동체, 공공복지의 한계를 넘는다. 이슈 & 진단(경기연구원), 157, 1-26. 

  5. 박병춘(2012). 지역공동체 성공요인 및 정책적 시사점. 지역 사회연구, 20(4), 1-26. 

  6. 유해미.김문정(2013). 협동조합형 공동육아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육아정책포럼, 37, 20-31. 

  7. 이아승.심미승(2020). 육아공동체에서 대안적 돌봄 가치 연구 : 현상학적 체험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행정학보, 54(3), 197-224. DOI : 10.18333/KPAR.54.3.197. 

  8. 이재희.김근진.엄지원(2017), 초등자녀 양육지원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9. 장명림.이희현.조진일.최형주.임봉조.강지원.김선미(2018). 학생.학부모 요구에 부응하는 초등돌봄서비스 내실화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0. 장수정(2020). 초등 돌봄 서비스에 대한 분석 - 돌봄 민주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67(1), 125-152. DOI : 10.16975/kjfsw.67.1.5. 

  11. 장수정.송다영.백경흔(2019). 초등돌봄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공동육아 방과후 참여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62, 251-287. DOI : 10.47042/ACSW.2019.02.62.251. 

  12. 진미정(2018). 가족정책 관점에서의 가족친화 지역사회 개념화. 한국가족복지학, 23(2), 337-361. DOI : 10.13049/kfwa.2018.23.2.9. 

  13. 진미정.노신애.김아영(2018). 지역기반 돌봄공동체 모델 비교와 가족정책적 시사점.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11-212. 

  14. 조막래.김한별(2015). 서울시 공동육아지원사업의 지속 가능성 방안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5. 조수빈.김현아(2020). 코로나 뉴노멀시대, 마을공동체의 변화와 지원방향 : 뉴노멀은 마을에서부터 온다. 마을활동가 400인이 기록한 변화의 증거들.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16. 조유성.한창근(2019). 육아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시 공동육아 활성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67), 61-90. DOI : 10.24300/jkscw.2019.09.67.61. 

  17. 차성란(2020). 돌봄공동체 리더들이 인식하는 가족친화마을환경 개념에 대한 사례연구 - 제주지역 이주민 돌봄공동체 리더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3), 55-77. DOI : 10.22626/jkfrma.2020.24.3.004. 

  18. 차성란(2019). 대안적 돌봄으로서 공동체 돌봄에 대한 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3), 109-132. DOI : 10.22626/jkfrma.2019.23.3.006. 

  19. 최현임.손가현(2021). 아동권리적 초등돌봄서비스 발전 방안 탐색 - 다함께돌봄정책 공공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3), 761-770. DOI : 10.5392/JKCA.2021.21.03.761. 

  20. 하현상.이기태(2017). 마을공동체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중앙정부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1(2), 421-259. DOI : 10.18333/KPAR.51.2.421. 

  21. 한그루.하현상(2019). 마을공동체 사업의 지속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리질리언스 시각을 통한 체계적 접근의 시도. 지방정부연구, 23(1), 209-240. DOI : 10.20484/klog.23.1.9. 

  22. 황선영(2020). 돌봄 공동체를 통한 좋은 돌봄(good-care) 서비스 생산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근거이론 방법의 적용 - . 한국가족복지학회지, 67(4), 5-46. DOI : 10.16975/kjfsw.67.4.1. 

  23. Barber, B. R.(1984). Strong Democrac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Braun, V. & Clarke, V.(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25. Pestoff, V.(2009). Towards a paradigm of democratic participation: Citizen participation and co-production of personal.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ve Economics, 80(2), 197-224. 

  26. Swisher, R., Sweet, S. & Moen, P.(2004).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and its life course fit for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 281-292. 

  27.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2021). https://gongdong.or.kr 

  28. 국가법령정보센터(2021). http://www.law.go.kr 

  29.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2021). http://www.seoulmaeul.org 

  30. 우리동네돌봄공동체(2021). https://dolbomnetwork.kr 

  31. 대한민국정책브리핑(2019.04.11). 지역 중심 돌봄생태계 구축을 위한 범정부 공동추진협의회 개최.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26016에서 2020.03. 인출 

  32. 한국개발연구원 보도자료(2021.04.22). [KDI 현안분석] 코로나19 고용충격의 성별격차와 시사점. https://kdi.re.kr/news/coverage_view.jsp?idx10967&mediapoplink에서 2021.04. 인출 

  33. OECD Family Database(2021). Typology of Childcare systems : PF4.3 Out-of-school-hours care. Retrieved from https:// www.oecd.org/els/family/database.htm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