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 노인을 돌보는 노년기 배우자의 돌봄 부담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are Burden of Elderly Spouses Caring for Dementia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5 no.4, 2021년, pp.43 - 54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을 돌보는 노년기 배우자가 지각한 돌봄부담과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 재가방문요양센터의 치매 노인을 돌보는 만60세 이상 배우자 165명을 조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 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전체 돌봄부담은 3.76점(SD=.57)으로 중앙값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사회적지지의 경우 비공식적지지는 2.65점(SD=.78), 공식적지지는 2.60점(SD=.77)으로 중앙값 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생활만족도는 3.11점(SD=.78)으로 중앙값 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치매 노인 배우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소득수준, 사회활동 부담, 비공식적지지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치매 노인 배우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활동 부담이 낮을수록, 비공식적지지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활동 부담과 비공식적 지지 상호작용 항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매 노인에 대한 사회활동 부담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비공식적지지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치매 노인 배우자가 사회활동 부담을 경험하여도 비공식적지지를 많이 사용할수록 생활만족도가 감소하는 정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erceived care-related burden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elderly spouses caring for their elderly partners with dementia. The subjects were 165 spouses aged over 60 years, caring for...

주제어

참고문헌 (59)

  1. 강정숙(2004). 사회적지지가 저소득층 노인 부양부담 감소에 미치는 영향: 75세 이상 허약노인(frail elderly)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찬미.김정순.정정희(2016). 노인 주부양의 의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7 (3), 193-201. 

  3. 곽병은(2006).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화와 생활자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권중돈(1994). 한국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사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가원(2021). 노인 1인가구의 자기돌봄 유형화 및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자율성 지지를 고려한 앤더슨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동화.엄기욱(2015). 치매특별등급제도의 시행 이후, 치매노인 가족의 케어경험에 관한 연구: 케어의 어려움과 필요한 사회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0, 349-371. 

  7. 김보영(2019). 치매노인 중증도별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영향요인.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봉애(2021). 성인미혼자녀의 치매부모 돌봄경험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선주(2019).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과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영(2008). 뇌졸중 노인 주부양자의 우울 및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39, 145-174. 

  11. 김승돈.김용환(2009). 가족탄력성이 치매 노인 부양가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5, 7-31. 

  12. 김은경.박희옥(2019). 재가 치매노인 가족 보호자의 부양 부담감 관련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1(4), 351-364. 

  13. 김은나(2019). 치매국가책임제의 인식도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두남희(2018). 재가치매노인 배우자의 부양부담감 영향요인: 재가치매노인 배우자의 부양부담감 영향요인.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류주연(2020). 노년기 배우자돌봄제공자의 돌봄전이유형과 건강: 자기돌봄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6. 박명화.박미현.김현희(2015). 복합적 심리교육 프로그램이 치매 환자 가족의 부양부담, 우울, 문제대처행위에 미치는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17(1), 10-19. 

  17. 박수진(2015). 재가치매노인 배우자의 삶의 질 예측 모형.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박월성(2020). 부양부담감이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분석.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박주희(2017).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 자원의 조절효과-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121-139. DOI : 10.22626/jkfrma.2017.21.3.007. 

  20.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박창제.강욱모(2002). 치매 노인 비공식 보호의 비용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3), 67-83. 

  22. 박해경(2013).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대처전략, 안녕감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백주희(2007). 부양 전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치매 노인 부양자의 스트레스 평가, 복지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7(1), 255-272. 

  24. 백주희.Zarit,S.H.(2009). 미국 치매노인 부양자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배우자 부양자와 딸 부양자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9(4), 1591-1609. 

  25. 백지은(2018).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낙관성과 가족건강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9(1), 111-127. 

  26. 보건복지부(2018). 노인장기요양보험 10년사. 세종:보건복지부. 

  27. 서문진희.정여주(2011). 장기요양필요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2(4), 3-30. 

  28. 성미라.이명선.이동영.장혜영(2013). 재가 치매 노인 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극복 경험.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3), 389-398. 

  29. 신미숙.김경신(2013). 정신장애인의 기능수준과 주부양가족원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8(3), 91-112. 

  30. 안명숙(2019). 노인요양시설 입소 경증치매노인의 통합치매관리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이동영.박명화.이송자.김연화.김진하.김효정.이혜자(2014). 치매 노인 관리현황 조사. 서울특별시광역치매센터. 

  32. 이민경(2018). 장애인 가족 돌봄부담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이현경(2020).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성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이혜자(2006). 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 변화.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이희세(2015). 치매노인의 가족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중앙치매센터 (2020). 대한민국 치매현황 2020. 보건복지부. 

  37. 정경일(2014). 치매노인가족의 가족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정연주(2019). 치매노인 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치매특별등급서비스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조규영.전혜정(2011). 부양자 역할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117-141. 

  40. 조해진(2002).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조미영(2019).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과의 관계. 부산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조은영.조은희.김소선(2010). 가족 상호관계가 치매노인가족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421-437. 

  43. 최성재(1986).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42(49), 223-257. 

  44. 통계청(2020). 고령자통계. 대전:통계청. 

  45. 홍성희(2015).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체계론적 접근: 공적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23-47. 

  46. 홍성희(2016). 노인의 사회적 자본의식 영향에 미치는 요인: 사회적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자원경영학회지, 20(2), 19-41. 

  47. 홍승현(2017). 치매노인가족의 돌봄부담감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8. Braithwaite, V.(1992). Caregiving burden: Making the concept scientifically useful and policy relevant. Research on Aging, 14(1), 3-27. 

  49. Chiao, C. Y., Wu, H. S. & Hsiad, C, Y.(2015). Caregiver burden for informal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62(3), 640-350. DOI : 10.1111/inr.12194. 

  50. Cohen, S. & Wills, T.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51. Costa, D. C., Sa, M. J. & Calheiros, J. M.(2012).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rquivos de neuro-psiquiatria, 70, 108-113. 

  52. Hermanns, M. & Mastel-Smith, B.(2012). Caregiving: A Qualitative Concept Analysis. Qualitative Report, 17, 75. 

  53. Kramer, B.J. & Kipnis, S.(1995). Eldercare and work-role conflict: Toward an Under- standing of Gender Differences in Caregiver Burden. Gerontologist, 35, 340-348. 

  54. Lee J. S. & Park A.S.(2008).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Focused on the Day Care Center and Nursing Home User's Fami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0, 225-248. 

  55. Song, MY & Choi, KG(2007). The decision factor on primary care-giver's burden for senile dementia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37, 131-160. 

  56. Stoller, E. P. & Pugliesi, K. L.(1989). Other roles of caregivers: Competing responsibilities or supportive resource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44, S231-S238. 

  57. Thompson Jr, E. H. & Doll, W.(1982). The burden of families coping with the mentally III: an invisible crisis. Family Relations, 379-388. 

  58. Yoon H.S. & Ryu, S.H.(2007). Factors associated with family caregivers' burden of frail elders-comparing spouse with adult children.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7(1), 195-211. 

  59. Zarit, S. H., Todd, P. & Zarit, J.(1986). Subjective burden of husband and wives as caregivers: a longitudinal study. The Gerontologist, 26, 260-2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