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말 사경의 감지(紺紙) 재현과 수리 - 이화여자대학교 소장 감지은니묘법연화경을 중심으로 -
Th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Indigo Paper in the Late Goryeo Dynasty: Focusing on Transcription of Saddharmapundarika Sutra(The Lotus Sutra) in Silver on Indigo Paper, Volume 7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4 no.1, 2021년, pp.52 - 69  

이상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려시대의 사경은 어느 시기보다도 정교하고 화려한 기록물로 우리나라 서지학상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감지(紺紙) 바탕에 제작된 사경은 장식성과 귀족들이 선호하였을 법한 품위와 격을 여지없이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시기에 제작된 많은 양의 사경들은 감지에 권자본(卷子本)과 절첩본(折貼本)의 장황 형태가 대표적인 것이다. 권자본은 유연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그 자체가 갖는 구조적 한계 때문에 취급에 있어 불편함과 손상을 야기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절첩 형태로 바꿔 제작함으로써 편의성과 구조적인 안정성을 꾀하여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절첩 형태는 병풍의 형태와 유사하여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로 한 면의 크기에 맞추어 규칙적으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아무리 작은 크기라 하더라도 얇은 한지로 제작하면 취급에 어려움이 따르고, 형태를 유지하기 힘든 구조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통상 절첩형의 사경은 두꺼운 종이로 만들어 첩의 구조를 지탱할 수 있는 힘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표지는 내지보다 더 두껍게 제작되어 내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절첩형'은 종이에 두께를 주어 강도를 유지해야 하는 특성에 맞게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양의 한지를 진하게 염색 가공하는 것은 오롯이 장인의 몫이 될 수밖에 없었다. 비단에 비해 흡수량이 몇 배 이상이고, 수십 차례 염색을 하여야만 진한 감색을 얻을 수 있는 '감지 제작 기법'은 구체적으로 문헌에 남아 있지 않고, 기법도 명맥이 끊긴 지 오래이다. 최근 한지장인과 천연염색가, 수리복원가에 의해 제각기 시도는 되고 있으나 유물에서 보이는 질감과 깊은 색감은 도저히 흉내낼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 말 사경을 보존 처리하기 위해 실제 유물에 적합한 보강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염색장과 한지장, 그리고 수리복원가의 협업으로 고려시대 감지를 재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소개하고, 감지의 재현·제작 방법을 유추해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anscriptions of Buddhist sutra in the Goryeo Dynasty are more elaborate and splendid than those of any other period and occupy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Korean bibliography. Among them, the transcriptions made on indigo paper show decorative features that represent the dignity and quality t...

주제어

표/그림 (36)

참고문헌 (21)

  1. 강소우, 2015, 傳統 寫經 作法 硏究,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립중앙박물관, 2007, 사경변상도의 세계, 부처 그리고 마음, pp.292-344. 

  3.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한지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pp.54-77. 

  4. 權喜耕, 1986, 高麗寫經의 硏究, 미진사, pp.12-38. 

  5. 김경호, 2006, 韓國의 寫經, 도서출판 고륜, pp.170-181. 

  6. 김보형, 2002, 위태천 도상 연구: 고려.조선시대 사경화와 목판화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金鍾珉, 2003, 麗末鮮初 寫經書體에 대한 硏究, 大邱가톨릭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8. 남유미, 2012, 755년 신라 백지묵서 대방광불화엄경의 형태, 서지학보 제39호. 

  9. 동덕여자대학교박물관, 2017, 한국의 전통 종이.색.문양, pp.20-25. 

  10. 문선희, 2005, 高麗時代妙法蓮華經寫經變相圖 硏究,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상국, 1990, 사경, 대원사, pp.25-75. 

  12. 박지선, 1998, 지류유물 보존처리 및 분석,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사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13. 박지선, 1999, 한국 고대의 종이유물, 동방학지 vol.106, 동방학회. 

  14. 박지선, 2013, 고대 사경지 제작에 관한 연구, 書誌學硏究 第56輯, 서지학회. 

  15. 裵泳一, 1993, 高麗時代 華嚴經 寫經變相圖의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6. 이상현, 2010, 전통회화의 색 - 우리회화 전통안료 바로알기, 결, pp.78-88. 

  17. 이상현, 2014, 문화재 보존과 기법 - 회화.지류편, 소와당, pp.9-20. 

  18. 全興子, 2016, 청대(靑黛)분말을 利用한 한지염색에 關한 硏究, 圓光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 鄭善英, 1998, 종이와 製紙術의 傳來時期에 관한 硏究, 書誌學硏究 第15輯, 서지학회. 

  20. 鄭善英, 2010a, 닭의장풀 염색 감지의 특성, 書誌學硏究 第47輯, 서지학회. 

  21. 鄭善英, 2010b, 청색계 색지에 관한 연구, 書誌學硏究 第46輯, 서지학회.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