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여 능산리 출토 가랑비녀 용범(鎔范)의 제작과 사용 양상
The Making and Use of the Bifid Ornamental Hairpin Stone Mold Excavated at Neungsan-ri, Buyeo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4 no.2, 2021년, pp.4 - 21  

이솔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고고학연구소) ,  김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현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융합고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4차 발굴조사(2016년) 과정에서 석제용범이 1점 출토되었다. 석제용범은 초기철기시대의 동침 용범으로 보고되었지만 주형 형태로 보아 동침이 아닌 가랑비녀의 용범으로 추정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능산리 출토 석제용범에 대해 고고학적 분석을 통해 유물의 형태와 시기를 세밀하게 파악하고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해 석재 재질 특성과 그 산지를 추정해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능산리 일대에서 가랑비녀 석제용범이 사용된 양상도 파악해 보았다. 용범은 평면 장방형(단면 장방형)에 가까운 형태로 석재의 표면에는 4줄로 나란하게 홈이 나 있다. 홈은 2줄씩 단측면 가까이에서 이어져 각각 좁은 ∩형을 이룬다. 주형 형태로 보아 용범은 각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의 가랑비녀를 제작했던 유물로 추정된다. 한반도에서 가랑비녀는 낙랑을 포함하여 원삼국시대부터 나타나 삼국시대(백제)에 소수 나타나고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 상당히 성행한다. 가랑비녀는 시대별 형태 차이가 뚜렷한 편인데, 능산리 용범은 주형 형태로 보아 고려시대에 제작되어 사용된 유물로 판단된다. 능산리 서고분군에서는 이와 관련되는 유구로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수혈유구도 확인되었다. 능산리 가랑비녀 용범을 제작한 석재는 녹니석, 각섬석, 활석을 주성분 광물로하는 녹니석편암으로 녹회색의 무르고 부드러운 석재이다. 이러한 암석은 인근의 부여 외산면, 청양, 공주, 예산지역 등에서 산출되는데 현장조사를 통해 능산리 용범과 가장 비슷한 것은 부여 외산면 지선리에서 예산 예산읍 수철리 일대에 이르는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여 능산리와 그 주변 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가랑비녀는 현재까지 70점 정도인데, 그 중 능산리 용범의 주형과 가장 비슷하게 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은 부여 송국리 유적 분묘 출토 청동제 가랑비녀 등이다. 그동안 남한 지역에서 출토된 가랑비녀 석제용범은 10점을 넘지 못하는데, 대부분 통일신라시대 유물이고 확실한 고려시대 유물은 매우 드물다. 능산리 석제용범으로 보아 고려시대에는 다양한 청동기 제작기술이 존재했겠지만 주조공정도 함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청동유물을 제작하기 위한 석제용범은 주형을 새기는 작업이 용이한 석재를 우선적으로 선택하고자 했을 것이다. 능산리 출토 가랑비녀 용범은 고려시대(전기)에 20~50km 정도 떨어진 인근 지역(부여 외산면 지선리에서 예산 예산읍 수철리 일대)에서 용범 제작이 용이한 석재를 가져다가 청동유물을 제작한 후 이를 인근 유적(부여 송국리 유적 등) 일대에 공급했던 양상과 함께 이 시기까지도 석제용범을 이용한 주조 기술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one mold from the Sabi period of Baekje was excavated at the western tombs in Neungsan-ri, Buyeo where there was a recent excavation survey (2016). It was believed and reported that such stone molds were used for copper needles during the early Iron Age; however, a close re-examination of the fo...

주제어

참고문헌 (25)

  1. 姜仁求 외, 1979, 「松菊里」 I, 國立中央博物館. 

  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6, 「芬皇寺」. 

  3. 김경택 외 5인, 2011, 「송국리 VII - 부여 송국리 유적 제12.13차 발굴조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고고학연구소.부여군. 

  4. 서현주 외 8인, 2019, 「부여 능산리고분군 I- 서고분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고고학연구소.부여군. 

  5. 서현주 외 8인, 2020, 「부여 능산리고분군 II - 서고분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고고학연구소.부여군. 

  6. 田鎰溶.李仁鎬.尹定鉉, 2006, 「舒川 楸洞里 遺蹟 - I地域」, 忠淸文化財硏究院. 

  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0, 1:5만 지질도, 지질정보서비스 http://mgeo.kigam.com. 

  8. 김서운.김명환, 1969, 「지질도폭 설명서 예산 1:50,000」, 국립지질조사소. 

  9. 김연수, 2007, 「高麗 墳墓 出土 金屬工藝 分析 試考」, 「고고학」 6-1. 

  10. 김영태.우영균, 2005, 「충남지역 사문암 내 감람석과 휘석의 사문석화 작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6(3). 

  11. 남진주, 2007, 「충청지역 고려고분 부장품의 양식」, 「고려시대 분묘출토 청자유물 특별전」, 강진청자박물관. 

  12. 박기남.황진연.오지호.이효민, 2012, 「충남 청양군 비봉광산 사문암체의 산상과 구성광물」, 「한국광물학회지」 25(1). 

  13. 박장식.주진옥, 2017, 「통일신라의 고주석 청동기에서 확인되는 제작기술의 다양성과 이에 투영된 사회적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금속.재료학회지」 55(10). 

  14. 박학수, 2009,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의 제작기술」,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 종합조사연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15. 梁美玉, 2005, 「충청지역의 고려시대 무덤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李修晶, 2009, 「충북지역 고려 고분 연구」, 崇實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7. 이중혁.김성주, 1963, 「지질도폭 설명서 홍성 1:50,000」, 국립지질조사소. 

  18. 이창진, 2010, 「기본 광물.암석 용어집」, (주)한국학술정보. 

  19. 李惠瓊, 2005, 「가랑비녀(釵)에 관한 小考」, 「錦江考古」 2. 

  20. 전익환.이재성.박장식, 2013, 「고려 말 청동용기에 적용된 제작기술의 다양성 연구」, 「文化財」 46(1). 

  21. 鄭義道, 2008, 「靑銅숟가락의 登場과 擴散 -三國時代~統一新羅時代-」, 「石堂論叢」 42. 

  22. 趙鎭先, 2006, 「細形銅劍 鎔范의 製作技術」, 「韓國考古學報」 60. 

  23. 趙鎭先, 2020, 「한국 청동기문화의 청동기 제작기술 복원」, 「한국의 청동기문화 2020」, 국립청주박물관. 

  24. B. Bradak, Gy. Szakmany, S. Jozsa, A. Prichystal, 2009, 'Application of magnetic susceptibility on polished stone tools from Western Hungary and the Eastern part of the Czech Republic (Central Europe)',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pp.2437~2444. 

  25. Kim, Geonyoung and Kim Soojin, 1995, 'Chemistry of Chlorite and Its Genetic Significance in the Talc Deposits in the Yesan-Gongju-Cheongyang Area, Chungnam, Korea',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8(2), pp.91~1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