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MODIS 및 Landsat 위성영상의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 기반 토지 피복 분류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Land-cover Classification Based on Multi-resolution Data Fusion of MODIS and Landsat Satellite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6 pt.1, 2022년, pp.1035 - 1046  

김예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토지 피복 분류를 위한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여기서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 모델로는 spatial time-series geostatistical deconvolution/fusion model (STGDFM)을 적용하였다. 연구 지역은 미국 Iowa 주의 일부 농경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상 지역의 규모를 고려해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의 입력 자료로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및 Landsat 영상을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TGDFM 적용해 Landsat 영상이 결측된 시기에서 가상의 Landsat 영상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획득한 Landsat 영상과 함께 STGDFM의 융합 결과를 입력 자료로 사용해 토지 피복 분류를 수행하였다. 특히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획득한 Landsat 영상만을 이용한 분류 결과와 Landsat 영상 및 융합 결과를 모두 이용한 분류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Landsat 영상만을 이용한 분류 결과에서는 대상 지역의 주요 토지 피복인 옥수수와 콩 재배지에서 혼재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건초 및 곡물 지역과 초지 지역 등 식생 피복 간의 혼재 양상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andsat 영상 및 융합 결과를 이용한 분류 결과에서는 옥수수와 콩 재배지의 혼재 양상과 식생 피복 간의 혼재 양상이 크게 완화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Landsat 영상 및 융합 결과를 이용한 분류 결과에서 분류 정확도가 약 20%p 향상되었다. 이는 STGDFM을 통해 MODIS 영상이 갖는 시계열 분광 정보를 융합 결과에 반영하면서 Landsat 영상의 결측을 보완할 수 있었고, 이러한 시계열 분광 정보가 분류 과정에 결합되면서 오분류를 크게 줄일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토지 피복 분류에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multi-resolution data fusion for land-cover classification. In the applicability evaluation, a spatial time-series geostatistical deconvolution/fusion model (STGDFM) was applied as a multi-resolution data fusion model. The study area was selected as some ag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토지 피복 분류를 위한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의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특히 토지 피복 분류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 시기 위성영상의 획득을 목적으로 지구통계 기반의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 모델인 STGDFM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분류에서 다중 시기 위성영상의 가용 여부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시계열 분광 정보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농경지, 산림, 초지 등 식생 피복이 넓게 분포하는 지역을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일부 시기에서 획득한 Landsat 영상만을 이용한 분류와 다중 시기에서 획득한 Landsat 영상 및 융합 결과를 이용한 분류를 비교해 토지 피복 분류에서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토지 피복 분류를 위한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의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위성영상과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해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지 피복 분류를 위한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의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특히 토지 피복 분류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 시기 위성영상의 획득을 목적으로 지구통계 기반의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 모델인 STGDFM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Iowa 주의 일부 농경지역을 대상으로 MODIS 및 Landsat 영상을 이용한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 기반의 토지 피복 분류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Gao, F., J. Masek, M. Schwaller, and F. Hall, 2006. On the blending of the Landsat and MODIS surface reflectance: Predicting daily Landsat surface reflectance,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4(8): 2207-2218. https://doi.org/10.1109/TGRS.2006.872081 

  2. Ghamisi, P., B. Rasti, N. Yokoya, Q. Wang, B. Hofle, L. Bruzzone, F. Bovolo, M. Chi, K. Anders, R. Gloageun, P.M. Atkinson, and J.A. Benediktsson, 2019. Multisource and multitemporal data fusion in remote sens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tate of the art,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Magazine, 7(1): 6-39. https://doi.org/10.1109/MGRS.2018.2890023 

  3. Huang, B. and H. Song, 2012. Spatiotemporal reflectance fusion via sparse representat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50(10): 3707-3716. https://doi.org/10.1109/TGRS.2012.2186638 

  4. Jin, Y., J. Zhu, S. Sung, and D.K. Lee, 2017. Application of satellite data spatiotemporal fusion in predicting seasonal NDVI,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2): 149-1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7.33.2.4 

  5. Karagiannopoulou, A., A. Tsertou, G. Tsimiklis, and A. Amditis, 2022. Data fusion in earth observation and the role of citizen as a sensor: A scoping review of applications, methods and future trends, Remote Sensing, 14(5): 1263. https://doi.org/10.3390/rs14051263 

  6. Kim, Y. and N.-W. Park, 2019. Comparison of spatiotemporal fusion models of multiple satellite images for vegetation monitoring,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6-3): 1209-1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9.35.6.3.5 

  7. Kim, Y., G.-H. Kwak, K.-D. Lee, S.-I. Na, C.-W. Park, and N.-W. Park, 2018. Performance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in crop classification: Impact of hyper-parameters and training sample siz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5): 811-8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8.34.5.9 

  8. Kim, Y., P.C. Kyriakidis, and N.-W. Park, 2020. A cross-resolution, spatiotemporal geostatistical fusion model for combining satellite image time-series of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Remote Sensing, 12(10): 1553. https://doi.org/10.3390/rs12101553 

  9. Kown, S.-K., K.-M. Kim, and J. Lim, 2021. A study on pre-evaluation of tree species classification possibility of CAS500-4 using RapidEye satellite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7(2): 291-3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21.37.2.9 

  10. Kwak, G.-H. and N.-W. Park, 2019. Impact of texture information on crop classification with machine learning and UAV images, Remote Sensing, 9(4): 643. https://doi.org/10.3390/app9040643 

  11. Kwak, G.-H. and N.-W. Park, 2022. Unsupervised domain adaptation with adversarial self-training for crop classification using remote sensing images, Remote Sensing, 14(18): 4639. https://doi.org/10.3390/rs14184639 

  12. Kyriakidis, P.C., 2004. A geostatistical framework for area-to-point spatial interpolation, Geographical Analysis, 36(3): 259-289. https://doi.org/10.1111/j.1538-4632.2004.tb01135.x 

  13. Kyriakidis P.C. and A.G. Journel, 2001. Stochastic modeling of atmospheric pollution: A spatial time-series framework, Part 1: Methodology, Atmospheric Environment, 35(13): 2331-2337. https://doi.org/10.1016/S1352-2310(00)00541-0 

  14. Kyriakidis, P.C., N.L. Miller, and J. Kim, 2004. A spatial time series framework for simulating daily precipitation at regional scales, Journal of Hydrology, 297(1-4): 236-255. https://doi.org/10.1016/j.jhydrol.2004.04.022 

  15. Lark, T.J., I.H. Schelly, and H.K. Gibbs, 2021. Accuracy, bias, and improvements in mapping crops and cropland across the United States using the USDA cropland data layer, Remote Sensing, 13(5): 968. https://doi.org/10.3390/rs13050968 

  16. Montero, P. and J.A. Vilar, 2014. TSclust: An R package for time series clustering,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62(1): 1-43. https://doi.org/10.18637/jss.v062.i01 

  17. Park, N.-W., Y. Kim, and G.-H. Kwak, 2019. An overview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in spatial downscaling of coarse resolution satellite-derived product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4): 589-607. https://doi.org/10.7780/kjrs.2019.35.4.8 

  18. Park, S., S.-H. Cho, N.-W. Park, and H. Kim, 2021. Evaluation of spatio-temporal multi-sensor image fusion models for generating time-series Landsat images: A case study in Mt. Hall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16(4): 291-3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4383/cri.2021.16.4.291 

  19. Pelletier, C., S. Valero, J. Inglada, N. Champion, and G. Dedieu, 2016. Assessing the robustness of random forests to map land cover with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time series over large area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87: 156-168. https://doi.org/10.1016/j.rse.2016.10.010 

  20. Shen, Y., X. Zhang, and Z. Yang, 2022. Mapping corn and soybean phenometrics at field scales over the United States Corn Belt by fusing time series of Landsat 8 and Sentinel-2 data with VIIRS data,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86: 55-69. https://doi.org/10.1016/j.isprsjprs.2022.01.023 

  21. Song, H. and B. Huang, 2013. Spatiotemporal satellite image fusion through one-pair image learning,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51(4): 1883-1896. https://doi.org/10.1109/TGRS.2012.2213095 

  22.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2. 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Service, https://www.nass.usda.gov/, Accessed on Sep. 15, 2022. 

  23. U.S. Geological Survey, 2022a. Earth Explorer, https://earthexplorer.usgs.gov/, Accessed on Oct. 1, 2022. 

  24. U.S. Geological Survey, 2022b. Land Processes Distributed Active Archive Center, https://lpdaac.usgs.gov/, Accessed on Oct. 1, 2022. 

  25. Xue, J., Y. Leung, and T. Fung, 2017. A Bayesian data fusion approach to spatio-temporal fusion of remotely sensed images, Remote Sensing, 9(12): 1310. https://doi.org/10.3390/rs9121310 

  26. Yang, S., L. Gu, X. Li, T. Jiang, and R. Ren, 2020. Crop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optimal feature selection and hybrid CNN-RF networks for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imagery, Remote Sensing, 12(19): 3119. https://doi.org/10.3390/rs12193119 

  27. Ye, C.-S., 2021. Object-based image classification by integrating multiple classes in Hue channel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7(6-3): 2011-20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21.37.6.3.9 

  28. Zhu, X., J. Chen, F. Gao, X. Chen, and J.G. Masek, 2010. An enhanced spatial and temporal adaptive reflectance fusion model for complex heterogeneous reg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11): 2610-2623. https://doi.org/10.1016/j.rse.2010.05.0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