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entinel-2 위성영상을 이용한 DMZ 산불 피해 면적 관측 기법 연구
The Study of DMZ Wildfire Damage Area Detection Method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5 pt.1, 2022년, pp.545 - 557  

이슬기 (강원대학교 스마트지역혁신학과) ,  송종성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창욱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고보균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접적인 접근이 어려운 demilitarized zone (DMZ)의 산불 피해 지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위성영상 및 머신러닝 기반의 감독 분류 기법을 이용하였다. 고해상도 위성 영상은 Sentinel-2 A/B를 이용하였으며, SVM 감독분류 기법을 기반으로 토지피복도를 산출하였다. DMZ 산불 피해 지역을 분류하기 위한 최적의 조합을 찾기 위하여 SVM 내에 다양한 커널과 밴드 조합에 따른 감독 분류를 진행하고 오차 행렬을 통해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2020년, 2021년은 위성영상 자료 기반의 산불 탐지 결과와 산불 연보의 피해 지역 면적 간의 비교를 통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후, 현재 피해 면적 자료가 없는 2022년의 산불 피해 지역을 탐지함으로써 신뢰할 만한 수준의 결과를 신속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technique based on machine learning method in order to detect the areas affected by wildfires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where direct access is difficult. Sentinel-2 A/B was used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위성영상 자료 기반의 토지 피복 분석을 이용하여 2020~2022년 상반기까지 DMZ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지역을 탐지하였다. 또한 위성영상 자료 기반의 산불 탐지 결과와 산불 연보의 피해 지역 면적 간의 비교를 통한 검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후, 차년도에 발간되는 산불 통계 연보의 특성으로 현재 자료가 없는 2022년의 산불 피해 지역을 탐지함으로써 신뢰할 만한 수준의 결과를 신속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위성영상 자료 기반의 토지 피복 분석을 이용하여 2020~2022년 상반기까지 DMZ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지역을 탐지하였다. 또한 위성영상 자료 기반의 산불 탐지 결과와 산불 연보의 피해 지역 면적 간의 비교를 통한 검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22년 상반기 DMZ 산불 피해 지역을 Sentinel-2 위성 영상과 머신러닝 기법 기반의 SVM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위성 영상 기반의 지표 피복 분류를 이용한 산불 피해 지역을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할 SVM 모델의 커널 변수와, 밴드 조합에 대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 또한 위성영상 자료 기반의 산불 탐지 결과와 산불 연보의 피해 지역 면적 간의 비교를 통한 검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후, 차년도에 발간되는 산불 통계 연보의 특성으로 현재 자료가 없는 2022년의 산불 피해 지역을 탐지함으로써 신뢰할 만한 수준의 결과를 신속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 이를 기반으로 산불 발생 위치를 추정하여 분류를 진행하였다. 이후, 테스트 결과를 통해 선정한 SVM 모델의 커널, 세팅 값 및 밴드 조합을 활용하여 DMZ 토지 피복 분류를 진행한 후, 월별 산불 피해 면적을 산출하여 위성영상을 이용한 DMZ 산불 피해 분석 가능성 및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J.W., Y.G. Byun, Y.I. Kim, and K.Y. Yu, 2006.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 using spectral similarity kern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4(4): 7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Dietterich, T.G., 2000.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constructing ensembles of decision trees: bagging, boosting, and randomization, Machine Learning, 40(2): 139-157. https://doi.org/10.1023/A:1007607513941 

  3. Hsu, C.-W., C.-C. Chang, and C.-J. Lin, 2003. A practical guide to support vector classification, National Taiwan University, Taipei, Taiwan. 

  4. In, C.G., 2013. A Study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Measures of Natural Resources in the Demilitarizes Zone - Based on the Demilitarizes Zone in Gyeonggi-Do,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o, M.H., S.J. Kim, D.Y. Kim, and K.S. Choi, 2012. Comparative analysis of classification accuracy for calculating cropland areas by using satellit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2): 47-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389/ksae.2012.54.2.047 

  6. Jang, S.S., 2018. Classification of Tree Species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ng, N.Y., S.Y. Go, and G.S. Cho, 2013. A comparative study on suitable SVM kernel function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KOMPSAT-2 image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1(2): 19-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319/kogsis.2013.21.2.019 

  8. Kim, Y., G. Kwak, K.D. Lee, S.I. Na, C.W. Park, and N.W. PARK, 2018. Performance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in crop classification: impact of hyper-parameters and training sample siz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5): 811-8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8.34.5.9 

  9. Kim, N.R. and Y.W. Lee, 2020. Active fire detection using Landsat 8 OLI images: a case of 2019 Australia fir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5-1): 775-7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20.36.5.1.10 

  10. Kim, T.H. and J.M. Choi, 2020. The method of linking fire survey data with satellite image-based fir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5-3): 1125-1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20.36.5.3.10 

  11. Korea Forest Service, 2020. 2020 Annual Report on Wildfire Statistics, https://www.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08&mnNKFS_06_09_05&nttId3156244, Accessed on Oct. 14, 2022. 

  12. Korea Forest Service, 2021. 2021 Annual Report on Wildfire Statistics, https://www.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08&mnNKFS_06_09_05&nttId3169550, Accessed on Oct. 14, 2022. 

  13. Kwak, J.H.,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 of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between Landsat 7 ETM+ and Landsat 8 OLI Sensors,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won, S.K., E.H. Kim, J.B. Lim, and A.R. Yang, 2021. The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status and deforestation of North Korea's DMZ using rapideye satellite imagery and google eart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4(4): 113-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1108/kagis.2021.24.4.113 

  15. Lee, Y.K., 2021. Optimization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Land use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Remotely-sensed Dat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16. Melgani, F. and L. Bruzzone, 2004. 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images with support vector machin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2(8): 1778-1790. https://doi.org/10.1109/tgrs.2004.831865 

  17. Maulik, U. and D. Chakraborty, 2017. Remote sensing image classification: a survey of support-vectormachine-based advanced techniques,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Magazine, 5(1): 33-52. https://doi.org/10.1109/mgrs.2016.2641240 

  18. Park, S.W., S.J. Lee, C.Y. Chung, S.R. Chung, I.C. Shin, W.C. Jung, H.S. Mo, S.I. Kim, and Y.W. Lee, 2019. Satellite-based forest withering index for detection of fire burn area: it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o 2019 Kangwon wildfir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2): 343-3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9.35.2.13 

  19. Roteta, E. and P. Oliva, 2020. Optimization of a random forest classifier for burned area detection in chile using Sentinel-2 data, Proc. of 2020 IEEE Latin American GRSS & ISPRS Remote Sensing Conference (LAGIRS), Santiago, Chile, Mar. 22-26, pp. 568-573. https://doi.org/10.1109/lagirs48042.2020.9165585 

  20. Song, J.Y., J.C. Jeong, and S.H. Lee, 2018.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method for forest vegetation on the stand level, using KOMPSAT-3A imagery and land coverage map,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6): 686-6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3047/KJEE.2018.32.6.686 

  21. Schmidhuber, J., 2015. Deep learning in neural networks: an overview, Neural Networks, 61: 85-117. https://doi.org/10.1016/j.neunet.2014.09.003 

  22. Youn, H.J., 2020. Building Sentinel-2 Forest Fire Grade Classification Model using SVM Machine Learning Algorithm, Namseoul University, Cheon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