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상지연 필름을 이용한 가시광 투과율 가변형 스마트윈도우 제작
Fabrication of Visible Light Transmittance-variable Smart Windows Using Phase Retardation Films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9 no.4, 2022년, pp.29 - 34  

김일구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스마트전자부품연구센터) ,  양호창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스마트전자부품연구센터) ,  박영민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스마트전자부품연구센터) ,  홍영규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스마트전자부품연구센터) ,  이승현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스마트전자부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위상지연 필름을 이용하여 가시광선 투과도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윈도우 제작 기술을 제안한다. 위상지연 필름의 phase retardation(𝚪)이 𝛑/2(𝚫n·d = 𝛌/4)인 경우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변환시켜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배향각도를 갖는 두 장의 𝛌/4 위상지연 필름을 이용하여 광투과 모드(45°/-45°)와 광차단 모드(45°/45°)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윈도우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굴절 물질인 reactive mesogen (RM)의 두께에 따른 retardation 특성(𝚫n·d)을 평가함으로써 𝚫n·d가 𝛌/4인 위상지연 필름을 제작하였다. 서로 다른 𝚫n·d 값을 갖는 위상지연 필름이 적용된 스마트윈도우의 광차단 특성을 평가한 결과, 𝛌/4 위상지연 필름 기반의 스마트윈도우에서 가장 높은 광차단율(≥20%)을 보였다. 이를 통해 𝚫n·d의 값이 𝛌/4 일 때 위상지연 효과가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𝛌/4 위상지연 필름을 적용하여 150×150 mm2 크기의 스마트윈도우를 구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fabrication process of smart windows with controllabl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by using retardation films is proposed. The 𝛌/4-phase retardation films that can convert a linearly polarized light into circularly polarized light are achieved through photo-alignment layers and reactive me...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2)

  1. S. C. Sekhar and K. L. C. Toon, "On the study of energy performance and life cycle cost of smart window", Energ. Buildings, 28, 307 (1998). 

  2. C. M. Lampert, "Smart switchable glazing for solar energy and daylight control", Sol. Energy Mater. Sol. Cells, 52, 207 (1998). 

  3. S. K. Deb, "Photovoltaic-integrated electrochromic device for smart-window applications",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REL/ CP-590-28116 (2000). 

  4. R. C. G. M. Loonen, M. Trcka, D. Costola, and J. L. M. Hensen, "Climate adaptive building shells: State-of-the-art and future challenges", Renew. Sust. Energ. Rev., 25, 483 (2013). 

  5. J. Ebisawa and E. Ando, "Solar control coating on glass", Curr. Opin. Solid State Mater. Sci., 3, 386 (1998). 

  6. X. Li, K. Perera, J. He, A. Gumyusenge, and J. Mei, "Solution-processable electrochromic materials and devices: roadblocks and strategies towards large-scale applications", J. Mater. Chem. C, 7, 12761 (2019). 

  7. K. H. Kim, "Smart window", KISTI Market Report, 5, 3 (2015). 

  8. A. Ghosh and B. Norton, "Durability of switching behaviour after outdoor exposure for a suspended particle device switchable glazing", Sol. Energy Mater. Sol. Cells, 163, 178 (2017). 

  9. S. Kumar, H. Hong, W. Choi, I. Akhtar, M. A. Rehman, and Y. Seo, "Acrylate-assisted fractal nanostructure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droplet based vibrant colored smart-windows", RSC Adv., 9, 12645 (2019). 

  10. P. Yeh and C. Gu, "Optics of Liquid Crystal Displays 2nd edition", 571-662,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010). 

  11. G. R. Fowles, "Introduction to Modern Optics", 169-185, Dover Publications, New York (1989). 

  12. S. O. Kasap, "Optoelectronics and Photonics", 280-301, Prentice Hall, New Jersey (20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