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심메마니 문화에 대하여
Korean Traditional "SIMMEMANI (Wild Ginseng Expert Digger)" Culture 원문보기

인삼문화 = Journal of ginseng culture, v.4, 2022년, pp.59 - 102  

고승태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록

산삼이라는 약초가 자생하는 나라가 흔하지 않은 만큼 산삼을 채취하는 직업의 문화인 심메마니(산삼채취인) 문화를 가지고 있는 나라는 아주 드물다. 정통어인마니가 사라진 작금에는 심메마니에 관한 유무형의 문화는 시간의 흐름과 함께 더욱 소실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산삼채취인에 관한 연구는 ① 심메마니 은어에 관한 연구, ② 심메마니 습속에 관한 연구, ③ 심메마니 습속 변화에 관한 연구, ④ 심메마니와의 면담을 통한 추가적 채록 등의 부분적이고 단편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심메마니 문화에 관한 총체적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에서 미반영한 사료를 보완하며, 산삼의 정의부터 산삼의 분류·심메마니의 어원·채삼 업종·심마니의 분포·법사회적 관점에서의 산삼채취·입산 시기·입산 조직·입산 택일·준비물·금기·출발과 입산·사신제의·도사(禱詞)·해몽·산삼 수색·산삼 발견과 그에 따른 일련의 절차·산삼 채굴·하산·배분·산삼채취량과 그 가격까지 심마니 습속의 행위별 비교와 어인의 제문(祭文), 사료의 사진, 삽화까지 첨부하면서 인삼 종주국의 산삼채취문화의 총괄적으로 연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re were only few countries that could find wild ginseng grown in nature, the culture of digging wild ginseng was only developed in a small number of countries. In a time when the orthodox head-Simmemani has disappeare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e of Simmemani (wild ginseng digger) ...

주제어

참고문헌 (38)

  1. 고승태, 「인삼사 국역판 5권 인삼의약편」, (고문당, 2015). 

  2. 고승태, 「인삼사 국역판 6권 인삼잡기편」, (고문당, 2015). 

  3. 김이협, 「산삼소고」, 「주간새나라」, (대한공론사, 1961). 

  4. 김이협, 「강계 삼메꾼의 워대소리」, 「북한」, (북한연구소, 1978). 

  5. 김택영, 「증보문헌비고」 151권 

  6. 박영섭, 「은어의 사적(史的) 생성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9. 

  7. 박영섭, 「채삼인 은어의 분석고」, 「인천전문대 논문집」 2, (인천전문대학 1982). 

  8. 배도식, 「심메마니의 생활속」, 「민속문화」 2, (한국민속문화연구소, 1980). 

  9. 배도식, 「심메마니 은어의 조어 구조」, 「죽헌 이주호 교수 화갑기념 특집」, (부산국어교육학회, 1981). 

  10. 배병일, 「산삼채취인(심메마니)의 관습에 관한 법사회학적 연구」, 「비교사법」 1(1), (한국비교사법학회, 1994). 

  11. 손진태, 「江界採蔘者의 習俗」, 「조선민속」 2, (조선민속학회, 1934). 

  12. 안영희, 「특수집단어의 의미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학술기사 논문집」, (숙명대학교, 1986). 

  13. 연호택, 「심메마니 은어의 연구(오대산 지역을 중심으로)」, 「관대논문집」, (관동대학교, 1992). 

  14. 우승하, 「심마니 습속의 변화 양상」, 「민속학 연구」, 35, (국립민속박물관, 2014). 

  15. 이규태, 「개화백경」 4, (신태양사, 1972). 

  16. 이길록, 「採蔘人의 隱語와 習俗(설악산.오대산을 중심으로)」, 「어문학보」 3, (강원대학교, 1975). 

  17. 이숭녕, 「은어고」, 「일석 이희승 선생 송수 기념논총」, (국어국문학회, 1957). 

  18. 이숭녕, 「衰滅段階에 들어선 雪岳山 심메마니 隱語에 대하여」, 「방언」,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19. 이신팔, 「삼메말(채삼어)」, 「한글」 5(10), (조선어학회, 1937). 

  20. 임덕성, 「산신령을 만나는 심메마니」, 「숨어사는 외톨박이」, (뿌리깊은 나무사, 1977). 

  21. 장정룡, 「오대산 심메마니의 산신제」, 「월간 태백」, (강원일보사, 1990). 

  22. 정성미, 「심마니.한지장.광부」, 「국립국어원 민족생활어자료 총서」 10, (국립국어원, 2009). 

  23. 최범훈, 「심마니 은어 연구」, 「한국문학연구」 6/7, (동국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84). 

  24. 최승순, 「강원도지방 채삼인 습속」, 「한국민속학」 8, (한국민속학회, 1975). 

  25. 최승순, 「강원문화논총」, (강원대학교출판부, 1989). 

  26. 최진원, 「채삼용어(강원도 강릉)」, 「한글」 6(7), (조선어학회, 1938). 

  27. 정선강릉부산삼봉표, 강원문화재대관, (강원도, 2006). 

  28.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검색일 2020년 7월 28일). 

  29. 한국민속문화대백과, "정선강릉부산삼봉표"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ridx2&tot1037 (검색일 2020년 6월 18일). 

  30. 今村?, 「山人蔘採りの風習」, 「靑丘學總」 6, (靑丘學會, 1931). 

  31. 今村?, 「人蔘史 5卷 人蔘醫藥篇」, (朝鮮總督府 專賣局, 1937). 

  32. 今村?, 「人蔘史 6卷 人蔘雜記篇」, (朝鮮總督府 專賣局, 1939). 

  33. 東洋協會, 「朝鮮山蔘調査」, 218, (東洋時報, 1916). 

  34. 木澤政直, 「山蔘採り」, 「鷄林」, (日硏出版, 1964). 

  35. 小倉進平, 「山人蔘採取業者の隱語」, 「咸鏡南道 黃海道の 方言」, 2 (京城帝國大學 法文學部硏究調査冊子 1930). 

  36.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 上, (岩波書店, 1939). 

  37. 神戶大學經濟經營硏究所, 「數に於て間島が筆頭 職業は農業が首位」, (京城日報, 1931). 

  38. 和田一郞, 「山人蔘採り」, 「朝鮮の?ひ」, (ウツボヤ書籍店, 192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