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최초의 가삼 재배지에 대하여
The first region of ginseng cultivation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인삼문화 = Journal of ginseng culture, v.2, 2020년, pp.17 - 26  

고승태 (동양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인삼은 예로부터 연명(延命)의 약물로 분류된 상약(上藥)의 하나로 자리를 잡고 지닌 약성에 따라 만병통치약으로 사용되었으며, 특수계급만을 대상으로 하였던 인삼 수요가 다른 계층으로 확대되면서 그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채취로 멸절(滅絶)되어 채취하기가 어렵게 되어 자연산 인삼으로는 공급의 한계에 이르게 되자, 인삼 공급 방법은 힘든 자연산 인삼의 채취보다는 가성비 높은 가삼 재배 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인삼종주국인 우리나라의 가삼 재배 시기에 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첫 재배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삼 재배 관련 자료의 정리를 통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가삼 재배지에 관한 정리와 고찰을 하였으며, 여기에 인용된 사료는 조선왕조실록, 임원십육지, 오주연문장전산고, 중경지, 증보문헌비고, 인삼사 등이다. 정리와 고찰의 결과, 조선 시대 최초의 가삼 재배지는 영남지역으로 특히, 풍기면(현재의 경북 영주시 풍기읍)으로 추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nseng, also known as Insam, has solidified its status as one of the supreme drugs classified as life time expansion drug since ancient times and was used as a panacea based on its pharmaceutical effectiveness. The demand for ginseng rapidly increased as the demand for ginseng, which targeted on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초 재배지역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조선 시대 최초의 가삼 재배지에 관한 연구는 최초 가삼 재배 시기에 관한 연구와 동떨어질 수 없는 내용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가삼 재배지에 대한 자료 발굴과 정리를 통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가삼 재배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 분명한 연월은 언제이며 창시자는 누구인지 또 어느 지역인 지는 오늘에 와서는 흔적을 찾아낼 방법이 없다. 어째서 이것을 비밀로 하였는가에 대해 언급하자면, 관변(官邊)으로부터의 주구(誅求)7)에 의해서 희생되는 것을 두려워한 것에도 기인하였으며, 또한 재배한 것을 산삼(山蔘)이라고 속일 필요도 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라는 의견을 내며 8) ,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은 언제 연명(延命)의 약물로 분류된 상약(上藥)의 하나로 자리를 잡고 지닌 약성에 따라 만병통치약으로 사용되었는가? 선도(仙道) 사상의 복식(服食) 영향을 받은 본초학(本草學)이 형태를 갖추어 가면서 인삼은 연명(延命)의 약물로 분류된 상약(上藥)의 하나로 자리를 잡고 지닌 약성에 따라 만병통치약으로 사용되었으며, 특수계급만을 대상 으로 하였던 인삼 수요가 다른 계층으로 확대되면서 그인삼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채취로 멸절(滅絶)되어 채취하기가 어렵게 되어 자연산 인삼으로는 공급의 한계에 이르게 되자, 인삼공급 방법은 힘든 자연산 인삼의 채취보다는 가성비 높은 가삼 재배 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T. Imamura는 1935년에 편찬한 인삼사 2권 인삼정치편 에서 전라도 동복현의 가삼 재배에 관해 기술한 중경지와 증보문헌비고의 내용에 대해 어떻게 반박하였는가? (1) 위의 여자가 산에서 인삼 씨앗을 따서 심었다는 것은 어떤 여자가 산신령에게 자식을 얻게 해달라고 빌었고, 그 계시에 따라 인삼 씨앗을 얻어 그것을 심은 것이 종삼(種蔘)의 시작이 다는 것은 경성(京城)개성(開城)풍기(豊基) 등에 퍼져 있는 전설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 내용은 동복(同福) 부근에서는 전해 내려 오지 않는다. (2) 가삼의 시작은 경상도 또는 전라도의 산촌에서 비밀리 시작한 것으로서, 오늘에 와서는 그 최초의 장소는 알 수가 없다. (3) 최(崔)의 일족은 지금 동복(同福)의 인삼밭이 있는 모후산(母后山) 아래에 거주하였으나, 몹시 가난해서 백여 년 전에 부호였다는 전승(傳承)이나 증적(證 跡)도 전혀 없다. (4) 이 시대에 있어 어용(御用) 상인이나 관청에 연고가 있는 상인 또는 통역 등 이외에는 북경(北京)으로의 인삼 밀무역이 절대로 불가능한 일이었다. 하물며 전라도의 산촌에서 도(道)에서 이름이 날 정도의 부를 일구었다는 것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다. (5) 인삼을 쪄서 만든 제품은 이미 청(淸)의 태조 시대에 만주에서 행하여졌었다. 조선에서는 선조(宣祖) 때명(明)의 원군(援軍) 중의 어떤 사람으로부터 배워 만들어낸 것으로 최(崔)의 발명이라고 하는 것은 근거가 없는 설(說)이다. (6) 아편(鴉片) 중독에 의해 성적 불능이 된 중국인이 홍삼을 복용하는 것은 지금도 행하여지고 있지만, 백삼을 복용하여 부작용(독)이 있었다는 것은 아직 들어본 적이 없다. (7) 역인(譯人)이 인삼을 취급하면서, 인삼 무역(일본, 중국)으로 이익을 얻은 유래는 아주 오래된 것이다. 역인(譯人)이 최(崔)에게서 그 무역 이권을 받았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망설(妄說)로 사리에 맞지 않는다.
가삼 재배가 증가하게된 이유는 무엇인가? 선도(仙道) 사상의 복식(服食) 영향을 받은 본초학(本草學)이 형태를 갖추어 가면서 인삼은 연명(延命)의 약물로 분류된 상약(上藥)의 하나로 자리를 잡고 지닌 약성에 따라 만병통치약으로 사용되었으며, 특수계급만을 대상 으로 하였던 인삼 수요가 다른 계층으로 확대되면서 그인삼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채취로 멸절(滅絶)되어 채취하기가 어렵게 되어 자연산 인삼으로는 공급의 한계에 이르게 되자, 인삼공급 방법은 힘든 자연산 인삼의 채취보다는 가성비 높은 가삼 재배 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이흥로, 人蔘頌, (출처미상). 

  2. 김이재, 中京誌, (1824). 

  3. 김택영 등, 增補文獻備考, (1903-1908). 

  4. 이규경, 五洲衍文長箋散槁, (19세기). 

  5.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검색일: 2019년 12월 31일). 

  6. 고승태, 인삼사 제2권 인삼정치편, (고문당, 2015). 

  7. 고승태, 인삼사 제4권 인삼재배편, (고문당, 2010). 

  8. 고승태, 인삼사 제5권 인삼의약편, (고문당, 2015). 

  9. 서유구 저, 노평규, 김영 역주, 林園經濟志-灌畦志, 2, (소와당, 2010). 

  10. T. Imamura, 人蔘史, vol. 2, (朝鮮總督府專賣局編, 1935). 

  11. T. Imamura, 人蔘史, vol. 4, (朝鮮總督府專賣局編, 1936). 

  12. T. Imamura, 人蔘史, vol. 5, (朝鮮總督府專賣局編, 1937). 

  13. 고승태, 동양에 있어서의 인삼재배 역사, 인삼문화 1, (고려인삼학회, 2019), pp. 57-66.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