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영향: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8 no.6, 2022년, pp.59 - 73  

김성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조우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teaching efficacy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ll ove...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62)

  1. 강민성, 황선숙, 이루리, 박경애 (2021).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및 성격5요인과 창의적 교수행동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28(2), 51-71. https://doi.org/10.15284/kjhd.2021.28.2.51? 

  2. 권경숙, 황은희, 박정빈 (2016).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3), 333-355.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3.015? 

  3. 권민성,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277? 

  4. 권영자 (2009).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DAP 교육신념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연구.?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권종애 (2019). 구성주의 교육 신념을 지닌 예비유아교사의 다중지능적 성향에 대한 연구.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6(1), 1-13.? 

  6. 권혜진 (2020). 유아주도놀이 실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딜레마. 어린이미디어연구, 19(2), 109-131.?https://doi.org/10.21183/JCME.2020.6.19.2.109? 

  7. 김경은 (2020). 유아교사의 창의성이 창의적 교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2), 47-65.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2.047? 

  8. 김랑, 심숙영 (2013). 구성주의에 대한 유아교사 신념을 통한 교사개인특성변인, ICT 교수효능감,?ICT 불안감과의 관련성 분석. 아동교육, 22(1), 143-161? 

  9. 김미경 (2019). 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교수방법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미경, 김혜순 (2018).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배려적사고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교육연구, 3(2), 25-45.? 

  11. 김민솔 (2020).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가 유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융합정보논문지, 10(1),?169-177.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1.169? 

  12. 김선민, 김지현 (2020).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8(2), 161-172. https://doi.org/10.7466/JKHMA.2020.38.2.161? 

  13. 김세루, 이규림 (2011). 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유아교사의 이미지와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0(1), 1-21.? 

  14. 김정희 (2018). 교수행동과 교사헌신 및 교실환경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15. 김종훈, 박선미. (202 ).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교수효능감, 반성적 사고,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구조적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3(10), 697-704. https://doi.org/10.5762/KAIS.2022.23.10.697? 

  16. 김호, 노영희 (2007).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된 교사와 유아 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2(4),?255-278.? 

  17. 김희정, 서현아 (2015).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유아교육연구, 35(3), 151-170.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3.007? 

  18. 류민영 (2014).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생의 학업성취 및 정의적 성장의 관계에서 교사 변인네트워크의 특성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285-314. https://doi.org/10.24211/tjkte.2014.31.2.285? 

  19. 박순영 (2020).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이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과학적 태도의매개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은지 (2021). 유아교사의 창의적 자기신념 잠재집단에 따른 창의적 교수행동과 유아 창의성의차이. 창의력교육연구, 21(3), 75-97. https://doi.org/10.36358/JCE.2021.21.3.75? 

  21. 박정미 (2021).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백영숙 (2022).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놀이지원역량과 유아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구조적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1), 671-685.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21.?671? 

  23. 백영숙, 강병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 및 교수 효능감과 교수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76, 25-47.? 

  24. 백영숙, 김희태 (2008). 유아교사의 창의성 검사 도구 타당화. 유아교육학논집, 12(3), 111-128.? 

  25. 백지영, 백영숙, 오현숙 (2021).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4), 301-314.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4.301? 

  26. 보건복지부 (2020).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27. 성민경, 김지현 (2018). 영아교사의 구성주의신념이 수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5(3), 37-50. https://doi.org/10.15284/kjhd.2018.25.3.37? 

  28. 손유진, 남미경 (2016).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2), 113-12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2.113? 

  29. 송주연, 서현아 (2019).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과 교육실제의 일치 여부에 따른 수업전문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865-887.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22.865? 

  30. 심지경 (2021). 영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구성주의 교육신념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심지경, 김미애 (2021).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성주의 교육신념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41(3), 183-208. https://doi.org/10.18023/kjece.2021.41.3.008? 

  32. 안수정 (2022).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머감각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창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양미영 (2013). 유아교사 전문성 인식이 구성주의 교육신념 및 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석사학위논문.? 

  34. 왕지숙, 김지현 (2019). 영아교사의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및 과학지도지식이 과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1), 61-91. https://doi.org/10.22590/ecee.2019.23.1.61? 

  35. 유승희 (2017). 영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대한 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및 구성주의신념의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영주, 서현아 (2020).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759-783.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22.759? 

  37. 이은빈 (2017). 교사 변인과 유아 창의성의 관계 창의적 교수행동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이은빈, 유연옥 (2017). 교사 변인과 유아 창의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교수행동의 매개효과. 아동교육,?26(4), 331-349. https://doi.org/10.17643/KJCE.2017.26.4.17? 

  39. 이정화, 김지영 (2019). 구성주의 유아교육실제 구현의 장애요인들: 구성주의 교육신념을 가진 유아교사의 지각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8(1), 59-72. https://doi.org/10.17643/KJCE.2019.28.1.04? 

  40. 임은정 (2007). 유아교사효과 관련 변인 분석 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41. 임은정, 양정호 (2006).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실제 평가척도 타당화 연구. 아동교육, 15(3), 311-325.? 

  42. 장영숙, 황윤세, 최미숙 (2004).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25(6), 117-130.? 

  43. 장향순 (2009).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실태 및 교사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전인옥 (1999).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이 언어적.비언어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한국영유아보육학, 19, 203-237.? 

  45. 정계숙, 김미정, 견주연 (2011). 유아교사의 대상관계 및 교육신념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아동교육,?20(3), 271-286.? 

  46. 천현정 (2010).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최지은 (2010). 초등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개발. 초등교육연구, 23(2), 241-260.? 

  48. 최효식, 윤해옥 (2015). 교실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 창의성 간의구조적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35(6), 339-356.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6.016? 

  49.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50. Bandura. A. (1977).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51. Burts, D. C., Harts, C., Charlesworth, R., Fleege, P. O., Mosley, J., & Thomasson, R, H.(1992).?Observed activities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versus?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kindergarten classrooms. Early Childhood Reserach Quarterly,?7(2), 297-318.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010-V? 

  52. Cropley, A. J. (1990). Creativity and mental health in everyday lif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3(3),?167-178. https://doi.org/10.1080/10400419009534351? 

  53. Cropley, A J. (2004). 창의성 계발과 교육(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옮김). 학지사. (원판 2001)? 

  54. Dacey, J. S., & Lennon, K. H. (1998). Understanding creativity: The interplay of biological,?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Jossey-Bass.? 

  55. Fosnot, C. T., & Perry, R. S. (1996). Constructivism: A psychological theory of learning. Constructivism:?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2(1), 8-33.? 

  56. Goetz, E. M. (1981). The effects of minimal praise on the creative blockbuilding of three year olds.?Child Study Journal, 11(2), 55-67.? 

  57. Katz, L. G. (1984). The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Young children, 39(5), 3-10. 

  58. Kaufman, J. C. (2016). Creativity 101. Springer publishing company.? 

  59.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April 3, 2020,?from http://www.oecd.org/education/skills-beyond-school/definitionandselectionofcompetenciesdeseco.htm.? 

  60.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s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61. Torrance, E. P. (1981). Predict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1958-80)-and the?Teacher Who "Made a Difference". Gifted Child Quarterly, 25(2), 55-62. https://doi.org/10.1177/001698628102500203? 

  62. Urban, K. K. (1991).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hildre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4(2),?177-191. https://doi.org/10.1080/1040041910953438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