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교사-부모 협력 관계의 매개 효과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n Child-care Practice in Respect for Child's Right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Parent Co-oper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20 no.1, 2024년, pp.55 - 71  

이수영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김수정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whether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childcare teachers impacts the performance of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and whether the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mediates this associ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39)

  1. 강인숙, 이희경 (2016).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교육연구, 20(4), 49-66. 

  2. 권미성,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3. 권영미 (2014).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성미 (2012). 어린이집교사의 보육신념, 행복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시연 (2020).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신애 (2018).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연수 (2022).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공감능력과 보육신념의 매개효과-.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은설, 최윤경, 권미경, 최효미, 김나영, 김자연, 박은영 (2021). 2021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수탁보고서 11-1352000-000961-12).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299에서 2023년 1월 19일 인출 

  9. 김정은, 최진령 (2020). 보육교사의 교육신념 및 근무환경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9(1), 49-68. https://doi.org/10.21183/kjcm.2020.03.19.1.49 

  10. 김정희 (2013).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중 경험하는 교사의 권리에 관한 연구.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2(3), 33-66. 

  11. 김진숙 (2009).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진숙, 서영숙 (2012).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33-162. 

  13. 김창선 (2019). 영유아 교사의 부모 협력관계와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태윤, 김미숙 (201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08(1), 97-122. https://doi.org/10.37918/kce.2018.01.108.97 

  15. 노상경 (2012). 유아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 저해 요인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73, 211-232. 

  16. 도경은, 이시자 (2016). 보육교사와 어머니간 신뢰와 협력이 유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8(2), 167-183. 

  17. 박수진, 채승희 (2020).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성격강점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7(4), 257-282. 

  18.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2009).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215-232. 

  19. 유은정 (2022).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학부모 협력에 미치는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경돈 (2010). 영아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과 보육효능감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경희, 정희정 (2018). 보육교사의 인권의식과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7(4), 211-229. https://doi.org/10.17643/KJCE.2018.27.4.11 

  22. 이다은, 안선희 (2022).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업무 과부하, 급여 만족도가 이직의도에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 621-637.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24.621 

  23. 이성혜, 김연하 (2013).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75-93. 

  24. 이유미, 안지혜 (2014).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3), 239-259. 

  25. 이윤귀 (2020). 보육교사-어머니 협력, 동료교사 협력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혜순 (2020).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임우영, 안선희 (2011).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323-350. 

  28. 정선아 (200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프로그래밍. 한국아동권리학회추계학술대회집, 59-62. 

  29. 정아람 (2016). 어린이집의 조직풍토가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조유경 (2019). 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최은혜 (2017). 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 및 어려움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최해주, 문수백 (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그리고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69-87. 

  33. 황미선, 김수향 (2021). 영유아교사의 전문성과 행복감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부모학회지, 7(2), 5-26. 

  34.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5. Hargreaves, A. (2000). Four ages of professional company. International Journal of Customer Service Management, 1(1), 1-14. 

  36. Jones, P., & Walker, G. (Eds.). (2011). Children's Rights in Practice. Sage. 

  37. Kline, R. B. (2011). Converg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level modeling. The SAGE Handbook of Innovation in Social Research Methods, 2011, 562-589. https://doi.org/10.4135/9781446268261.n31 

  38. Owen, M. T., Ware, A. M., & BarFoot, B. (2000). Caregiver-mother Partnership Behavior and the quality of caregiver-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3), 413-428. https://doi.org/10.1016/S.0885-2006(00)00073-9 

  39. Wang, H. L. (2005). Early childhood educators'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 preschool set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ennsylvani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