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강현실 마커 이미지의 인식률 개선 방안
A Method to Enhance the Recognition Rate of Marker Images in Augmented Reali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2 no.1, 2022년, pp.1 - 6  

박찬 (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  이완복 (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증강현실 기술이 보편화됨에 따라 마커 기반형 AR 콘텐츠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마커 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콘텐츠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증강현실 마커 이미지의 인식률을 높이고자, 이미지 보정 및 디자인 변화를 적용하였을 경우 마커의 인식률이 어느 정도 향상될 수 있는지를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이미지 보정 과정에서는 원본 마커 이미지의 대비, 채도값을 높였을 때 특징점이 더 많이 판별되었으며, 인식등급 또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원본 마커 이미지에 규칙적인 패턴 디자인을 추가하였을 때에도 인식률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마커 이미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이미지의 적절한 보정 및 패턴 디자인의 추가과정을 통하여 마커가 잘 인식되도록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becomes more common and prevelant, marker-based AR contents are applied in various ways. However AR contents are still hardly utilized due to the low recognition rate of marker images.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AR marker images, this paper experimen...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16)

  1. H. E. Park & J. W. Jeon. (2013). Developing Korean Learn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Jour. of KoCona, 13(4), 459-468 DOI : 10.5392/JKCA.2013.13.04.459 

  2. H. Y. Yoon. (2018).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Humanities Contents Association, 0(49), 71-91. 

  3. Y. J. Hoang. (2020). A Study on the 3D Augmented Reality Animation Education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Arts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Quiver'. Journal of art education. 60, 277-308 DOI : 10.35657/jae.2020.60..010 

  4. D. H. Suh. (2015).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mage Recognition Technique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Cartoon & Animation Studies, (41), 337-356 

  5. K. D. Park & J. H. Chung. (2014). A study on the Image Augmented Reality Card using Augmented Rea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8), 467-474 DOI : 10.14400/JDC.2014.12.8.467 

  6. D. G. Han. (2021). Augmented reality poster based on image marker recognition technology. Korea Design Research. 6(1), 206-216 

  7. S. Y. Jung. (2019). Analysis of Augmented Reality-Based Museum APP Contents Typ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0(2), 385-396 DOI : 10.47294/KSBDA.20.2.28 

  8. H. W. Chun, M. K. Han & J. H. Jang. (2017). Trends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32(4), 54-61 

  9. S. H. Oh & K. D. Kim. (2013). Study on Establishment of Deoksugung Palace, Tourist Information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y. Cultural Heritage, 46(2), 26-45 DOI : 10.22755/kjchs.2013.46.2.26 

  10. D. S. Kim, H. J. Park & J. C. Jeon (2010). Mobile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technology. Review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1(1), 24-32 

  11. J. Y. Lee & J. H. Kim. (2019). Evaluation of Marker Images based on Analysis of Feature Points for Effective Augmented Reality. Korea Industry-Academic Technology Association. 20(9), 49-55 DOI : 10.5762/KAIS.2019.20.9.49 

  12. H. N. Yun, G. S. Kim & N. M. Moon. (2019). Multi-Marker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Marker-Based Tracking with Vuforia.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24(2), 119-126. DOI : 10.9708/jksci.2019.24.02.119 

  13. C. N. Lu, J. Y. Park & J. H. Park. (2020). An Augmented Reality Solution for Improving Marker Recognition and Solving Human Occlusion. Journal of the Korean Game Society. 20(2), 183-191 DOI : 10.7583/JKGS.2020.20.2.183 

  14. S. S. Lee & K. S. Kim. (2016). Development of a Doll Content Using Markers of Augmented Reality. Hoseo University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35(1), 67-73 

  15. Y. J. Cho, J. H. Kim, Y. J. So & J. Y. Chung. (2017). Implementation of 'Eye View' Application for book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using Marker technology and AR.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8(2), 257-266 DOI : 10.9728/dcs.2017.18.2.257 

  16. M. J. Seong & D. H. Lee. (2017).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ultural Property Learn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8(5), 831-837 DOI : 10.9728/dcs.2017.18.5.8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