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재난안전교육 컨텐츠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ontents of Domestic Disaster & Safety Educat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2 no.1, 2022년, pp.76 - 82  

정희수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송창근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 자연 및 사회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싱크홀 등 새로운 재난과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이 결합된 대규모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고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재난상황에 대한 인식과 기능적 대처과정을 숙지해야 하므로 재난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54개 전문 재난안전교육기관을 통해 재난안전 종사자를 대상의 재난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표준재난안전교육과정의 부재로 기관별로 다른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으며 기관별 교육내용이 중복되고, 재난안전체험시설도 부족하다. 이는 재난안전요원이 실제 재난현장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교육 분야와 달리 재난안전교육 콘텐츠 분야와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간의 연계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난을 중심으로 국내 재난안전교육기관 및 내용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된 재난안전 표준 교육과정 수립, 가상현실 기술 및 인포테인먼드 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교육 체험 콘텐츠 제작 및 보급, 모바일 AI 튜터링 서비스 개발 등의 국내 재난안전교육 콘텐츠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in Korea are increasing, and new disasters such as COVID 19 and sinkholes, and large-scale disasters that combine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re occurring frequently. In order to reduce damage caused by disasters and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the impo...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10)

  1. Ministry of Public Interior and Security. (2019). Disaster Annual Report-Natural Disaster. Sejong. 

  2. Ministry of Public Interior and Security. (2019). Disaster Yearbook-Social Disaster. Sejong. 

  3. O. S. Sim, Y. W. Sohn, S. H. Park & J. W. Yoon. (2016). Disaster Victims' Post-trauma Risk, Posttraumatic Growth and Subjective Well-being -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and Income as a Modera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1(6). 105-112. DOI : 10.14346/JKOSOS.2016.31.6.105 

  4. J. Y. Lee & S. M. Choi. (2016). A Study on the Disaster Management R&D of the US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1(3). 123-129. DOI : 10.14346/JKOSOS.2016.31.3.123 

  5. National Civil Defense and Disaster Management Training Institute. (2020). 2020 education and training plan. Sejong. 

  6. Ministry of Public Interior and Security. (2020). Planning Research for Establishing Integrated Platform on Pan-Governmental Disaster Safety Academy. Sejong. 

  7. National Disaster Safety Research Institute. (2019).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 Continued Maturation of Emergency Management as a Profession. Ulsan. 

  8. National Disaster Safety Research Institute. (2015).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aster for Establishing Customized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Ulsan. 

  9. National Civil Defense and Disaster Management Training Institute. (2018). Disaster safety long-term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Gongju. 

  10. H. S. Chung, E. J. Choi & C. G. Song. (2021) Analysis of Domestic Experience-Oriented Safety Education Centers and Provision of Improvement Strategies.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11(4), 27-31. DOI : 10.14251/jscm.2021.4.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