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철역과 연계된 시설이 역사 내부 상업공간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cilities Linked to the Subway Stations on the Rent of Commercial Spaces Inside the Sta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 2022년, pp.261 - 273  

조영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이명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역사 내·외부 연계시설이 개별 임대 매장들이 집적된 역사 내부 상업공간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활성화 판단 요인을 매출을 대체할 수 있는 임대료로 하였다. 판매, 문화, 업무/주거, 공공기관, 교통의 연계시설 변수 외 역사의 입지 요인인 일일 승하차 인원과 역사 내부 상업공간의 가장 많은 업종수를 차지하는 상품 판매업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임대료는 상품 판매업, 연계된 판매, 교통시설 그리고 승하차 인원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사 내 상업공간 활성화에 구매력을 높일 수 있는 판매 상품 구성과 역사 내부로 유입인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설 연계 방향이 필요함이 도출된 것이다. 정책적인 관리 방안으로 활성화가 위축되어 공실 발생률이 높은 역사는 일상생활과 주민 편익을 위한 생활밀착형 생활 SOC 설치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facilities link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ation affect the revitalization of commercial spaces inside the station where individual rental stores are clustered. Rent, which can replace sales, was set as the determining factor for revitalization. In addit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 내부 공간의 이용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역사 내부 상업 공간의 임대료 영향에 관한 분석에 있어 연계시설을 변수로 한 점, 시설이 연계된 역 전체(102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것은 본 연구의 차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 그러나 이러한 역사 내·외부로 연계된 시설이 역사 내부의 기존 상업공간에 상생하는 긍정적 효과를 주고 있는지 소멸 또는 축소하는 부정적 효과를 주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에서는 역사 내부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매출을 대체할 수 있는 변수이며 수익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임대료를 변수로 하여 역사 내부와 연계된 시설이 역사 내 상업공간의 임대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여 역사 내부 공간개발의 방향성과 역사 내부 공간과 주변 상업시설의 이용 방향을 제시하여 지하공간 토지이용 정책 수립에 일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
  • 가설 3
  • 가설 4
  • 가설 5
  • 가설 6
  • 가설 7
  • 가설 8
  • 가설 5. 공공기관에 따라 임대료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6. 교통시설에 따라 임대료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8. 매장면적에 따라 임대료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문화시설에 따라 임대료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 상품판매업에 따라 임대료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7. 승하차인원에 따라 임대료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업무/주거공간에 따라 임대료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연계된 판매시설에 따라 임대료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이대종, 우리나라 대도시의 도시 성장관리 평가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 이남규, "지하철역과 쇼핑센터의 연계 공간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소재 지하철 역사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제2호, pp.159-167, 2004. 

  3. 신예경, "서울 역사 북부 구내 상업공간의 변형과 수용," 대한건축학회, 제27권, 제11호, pp.11-20, 2011. 

  4. 김용래, 수도권 전철 역세권 상업시설의 매출액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5. 문해주, 이명훈, "상인의 운영 기간별 영업 지속 기간 영향요인 분석: 종로구 역사 문화거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684-685, 2017. 

  6. 임한빈, 한혜련, "지하철 연결통로와 도심 오피스빌딩 진입부의 전이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2권, 제1호, pp.136-141, 2010. 

  7. 한국철도공사, 철도용어사전, p.2, 2010. 

  8. 이육미, 지하철 여객공간의 계획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정보공개포털(https://www.open.go.kr). 

  10.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https://data.si.re.kr). 

  11. 장재민, 이경철, 김태형, "지하철 역사 내 임대시설 적정 면적 및 임대료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 서울 지하철 5호선, 6호선을 사례로," 한국철도학회논문집, 제19권, 제3호, pp.380-387, 2016. 

  12. 이상민, 소매업 입지 요인과 경영 성과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3. 김성일, "동인천 민자 역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2393-2405, 2008(6). 

  14. 정대석, 김형보, "민자 역사 개발사업의 구조 및 사업성 분석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9, No.2, pp.845-860, 2007. 

  15. 이상훈, 이승우, 남수창, 이상호, "지하철역과 쇼핑센터의 연계 공간 특성에 따른 이용자 행태 연구 ; 서울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pp.329-332, 2006. 

  16. 김종주, 복합 민자 역사 개발이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 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7. 김용래, 백성준, "철도역 쇼핑센터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 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 민자 역사를 중심으로," 도시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1-11, 2016. 

  18. 최희만, 이현석, "복합 쇼핑몰 상가 임대료의 영향요인 분석 ; 코엑스몰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68호, pp.191-205, 2011. 

  19. 홍성효, 임준홍, "지하상가 임대료, 매출액, 고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제29권, 제4호, pp.183-198, 2017. 

  20. 이달님, 지하상가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1. 형선미, 서울시 지하철역 구내 상가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2. 최열, 김종경, "지하상가 환경이 임대료 수준 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6권, 제3호, pp.269-279, 2011. 

  23. 감정평가원, 3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 조사, 2014. 

  24. 염주호, 오피스빌딩의 임대료와 지하철역과의 거리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5. 장동훈, 정승영, "단지내 상가임대료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제36권, pp.5-13, 2009. 

  26. D. G. Domres, S. L. Charles, O. Gene, and P. Donald R. T, Office Building Management, Institute of Real Estate Management(IREM)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002. 

  27. 김기준, 김우경, 문형준, 신종칠, "오피스빌딩 내 상업시설의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위계선형모형의 활용," 부동산학연구, 제24집, 제3호, pp.37-54, 2018. 

  28. 이택림, 대규모 점포의 입점이 다른 점포에 대한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29. 코레일 홈페이지(http://info.korail.com). 

  30. 도시철도공사 홈페이지(www.seoulmetro.co.kr). 

  31. 김지현, 문화관광지역 재방문 분석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32. C. F. Sirmans and Kisandra. A Guidry, "The determinants of Shopping Center Rent," Journal of Real Estate Research, Vol.82, No.1, pp.107-115, 1993. 

  33. 이재우, 이창무, "서울 상가시장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1권, 제1호, pp.75-90, 2006. 

  34. 최진, 매장용 임대빌딩의 임대료 결정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5. 조진우, "생활 SOC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제90집, pp.174-198,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