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약류 범죄의 사례 연구 및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예방과 인식 개선 방안
Cases for Narcotic Crimes and Solutions to Prevent and Improve the Awareness with Cultural Contents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25 no.1, 2022년, pp.92 - 102  

이연우 (GeuNal Communic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a variety of ways to prevent narcotic crimes, recurrence of such crimes, rehabilitation, and improve the public awareness of using the narcotics by adopting cultural contents, highlighting how dangerous, harmful and they are easily accessible, as well as the reality in Korea now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여 본 고에서는 마약 사범이 특별한 존재가 아닌 사회구성원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돕고, 마약류의 접근 용이성을 실제 사례를 통해 시사해 나와 가족이 마약 사범이 될 수도 있다는 경각심을 고취시키고자한다. 또한, 단속과 구속 차원의 대책 마련과 더불어 마약류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고, 이미 발생된 마약사범의 치료 재활과 재범률을 낮추는 것에 용이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접근 방법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여겨 마약류 범죄 예방 및 재활 의지 개선을 위해 콘텐츠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중에게 마약류의 위험성과 접근 용이성을 시사해 더 이상 마약 청정국가로 볼 수 없는 한국의 현실에 비추어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마약류 범죄 예방과 재발 방지 및 재활, 마약류에 대한 대중의 인식 개선 방안을 제시 하는데 목적을 둔다.
  • 하여 본 고에서는 마약 사범이 특별한 존재가 아닌 사회구성원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돕고, 마약류의 접근 용이성을 실제 사례를 통해 시사해 나와 가족이 마약 사범이 될 수도 있다는 경각심을 고취시키고자한다. 또한, 단속과 구속 차원의 대책 마련과 더불어 마약류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고, 이미 발생된 마약사범의 치료 재활과 재범률을 낮추는 것에 용이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접근 방법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여겨 마약류 범죄 예방 및 재활 의지 개선을 위해 콘텐츠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upreme Prosecutors' Office, 2020 Narcotics Crime White Paper, 2020. 

  2. Ministry of the Interior, October 2021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and Household Status, 2021. 

  3. H.Y. Lee, H.A. Kim, K.R. Lee, and W.H. Shin (incognito), Korean Association Against Drug Abuse Daegu Branch. Interview Transcript. April 12, 2019. 

  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omprehensive Measures to Eradicate Drug Crimes, pp. 1-2, 2016. 

  5. S.K. Kang, D.H. Yang, and J.Y. Moon,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Relapse Experience of Drug Addicts," Corrections Review, Vol. 26, No. 1, pp. 89-114, 2016. 

  6. J.R. Kwon, "Effect of Anti-Drug Campaign on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Drug and Usage Behavior," The Korea Journal of Advertising, Vol. 20, No. 3, pp. 145-177, 2009. 

  7. S.K. Kang and Y. Choi,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covery Experience of Drug Addicts: Growth from Victim Mentality to Sense of Responsibility,"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Vol. 12, No. 1, pp. 191-211, 2018. 

  8. H.U. Baik and I.Y. Han, "The Recovery Experience of Drug Addicts in a Community -The Regeneration in the Real World,"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Vol. 42, No. 3, pp. 151-177, 2014. 

  9. B.S. Han and I.O. Hwang, "Case Study of Recovery and Rehabilitation of Drug Addicts -With NA Meetings in Seoul and Busan-,"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 Vol. 10, No. 1, pp. 91-116, 2017. 

  10. S. Peele, Diseasing of America: How We Allowed Recovery Zealots and the Treatment Industry to Convince Us Are Out of Control, San Francisco: Jossey-Bass, 1995. 

  11. A Screen Capture from the 'Drug Eradication Advertisement' Produc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ttps://www.youtube.com/c/MFDS/videos (accessed January 22, 2022). 

  12. J.S. Kim, "A Study on the Relapse and Recovery Experience of Female Drug Addicts,"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20, No. 4, pp. 673-685, 2020. 

  13. M.S. Kim, "Current Status of Foreign Drug Addiction Management Policies,"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Seoul National Hospital: Mental Health Forum, 2007. 

  14. W. White, "Toward a New Recovery Movement : Historical Reflections on Recovery, Treatment and Advocacy," Recovery Community Support Program Conference, 2000. 

  15. B.E. Havassy, S.M. Hall, and D.A. Wasserman, "Social Support and Relapse: Commonalities among Alcoholics, Opiate Users, and Cigarette Smokers," Addictive Behaviors, Vol. 16, No. 5, pp. 235-246, 1991 

  16. K. Humphreys, R.J. Moos, and C. Cohen, "Social and Community Resources and Long-Term Recovery from Treated and Untreated Alcoholism,"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 58, No. 3, pp. 231-238, 1997 

  17. Y.W. Kim and H.B. Kang, "An Analysis on the Change in ERP Caused from Watching Fear of Crime Video Content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0, No. 6, pp. 950-959, 2017. 

  18. J.G. Lee, DDa Ra GGu Mi, Book Publishing Margunsaem, 2018. 

  19. Korean Association Against Drug Abuse, 2018 Narcotics Severity Public Awareness Result Report, World Research & Consulting, 2018. 

  20. B.H. Kim, K.J. Kim, I.S. Park, K.J. Lee, J.K. Kim, J.J. Hong, M.W. Lee, Y.H. Kim, I.Y. Yoo, and H.Y. Lee, "A Comparison of Phenomen 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Focused on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9, No. 6, pp. 1208-1220, 1999. 

  21. S.J. Lee, "Examination of Validity of Motivation Activation Tendency as a Target Group in Delivering Anti-drug Advertisements,"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17, No. 8, pp. 301-311, 2017. 

  22. S.H. Jo and C.Y.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Story Content in Film Therapy,"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0, No. 1, pp. 93-100, 2017. 

  23. S.H. Kim and C.G. Kim, "A Study on Flow-emotion-state for Analyzing Flow-situation of Video Content Viewer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1, No. 3, pp. 400-414, 20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