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명리학(命理學)에서 사용되는 육친(六親) 혹은 육신이라 불리는 십성(十星)의 근원과 주요고전에서의 십성의 의미를 확인하고, 현대 명리학에서 사용되는 십성의 개념을 분석하는 한편, 단순한 육친관계에 그치지 않고 보다 발전적인 형태의 십성의 개념을 심도 있게 연구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명리학에서 육친의 관념을 정하고 육친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연해자평』이다. 『연해자평』, 『삼명통회』, 『자평진전』 등 주요 고전 명리학에서 설명하는 십성의 내용은 대부분 순수 육친이라는 설정에 그쳤다. 이후 1963년에 발간된 『사주정설』에서는 육친의 설정에 그친 그간의 한계를 벗어나 십성의 작용을 설명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김기승의 과학명리는 십성의 개념을 단순히 육친관계와 작용을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인간의 심리와 선천적성을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것에 주목할 만하다. 이 연구에서는 주요 고전에서의 십성의 개념과 현대 명리학에서 김기승의 『과학명리』에서 설명하는 십성의 개념과 성향을 알아보고 그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가 십성에 대한 인식 및 활용면에서 향후 명리학(命理學)의 연구에 발전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명리학(命理學)에서 사용되는 육친(六親) 혹은 육신이라 불리는 십성(十星)의 근원과 주요고전에서의 십성의 의미를 확인하고, 현대 명리학에서 사용되는 십성의 개념을 분석하는 한편, 단순한 육친관계에 그치지 않고 보다 발전적인 형태의 십성의 개념을 심도 있게 연구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명리학에서 육친의 관념을 정하고 육친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연해자평』이다. 『연해자평』, 『삼명통회』, 『자평진전』 등 주요 고전 명리학에서 설명하는 십성의 내용은 대부분 순수 육친이라는 설정에 그쳤다. 이후 1963년에 발간된 『사주정설』에서는 육친의 설정에 그친 그간의 한계를 벗어나 십성의 작용을 설명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김기승의 과학명리는 십성의 개념을 단순히 육친관계와 작용을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인간의 심리와 선천적성을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것에 주목할 만하다. 이 연구에서는 주요 고전에서의 십성의 개념과 현대 명리학에서 김기승의 『과학명리』에서 설명하는 십성의 개념과 성향을 알아보고 그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가 십성에 대한 인식 및 활용면에서 향후 명리학(命理學)의 연구에 발전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nfirm the source of Shipsong called Yookchen or Yooksheen used in Myeongleehak and the meaning of Shipsong in major classics. It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Shipsong used in modern Myeongri, and to study in-depth the concept of Shipsong in a more advanced form...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nfirm the source of Shipsong called Yookchen or Yooksheen used in Myeongleehak and the meaning of Shipsong in major classics. It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Shipsong used in modern Myeongri, and to study in-depth the concept of Shipsong in a more advanced form, not just in family relationships. In reality, the concept of Yookchen was defined and the term Yookchen was first used in Yeonhaejapyeong. Most of the contents of the major classics, such as Yeonhaejapyeong, Sammyeontonghwe, and Japyeonjinjeong, were limited to setting only family concepts. Then, in 1963, Sajoojeongsul was published, which explained both family relations and the action of Shipsong.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 scientific reputation written by Ki-seung Kim did not only explain the concept of Shipsong but also opened a new chapter to confirm human psychology and aptitude.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the concept and tendency of Shipsong described in Kim Ki-seung's Science Myeongri in the major classics and how the concept changed. I hope this study will be of some help to the study of Myeongleehak in the future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Shipsong.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nfirm the source of Shipsong called Yookchen or Yooksheen used in Myeongleehak and the meaning of Shipsong in major classics. It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Shipsong used in modern Myeongri, and to study in-depth the concept of Shipsong in a more advanced form, not just in family relationships. In reality, the concept of Yookchen was defined and the term Yookchen was first used in Yeonhaejapyeong. Most of the contents of the major classics, such as Yeonhaejapyeong, Sammyeontonghwe, and Japyeonjinjeong, were limited to setting only family concepts. Then, in 1963, Sajoojeongsul was published, which explained both family relations and the action of Shipsong.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 scientific reputation written by Ki-seung Kim did not only explain the concept of Shipsong but also opened a new chapter to confirm human psychology and aptitude.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the concept and tendency of Shipsong described in Kim Ki-seung's Science Myeongri in the major classics and how the concept changed. I hope this study will be of some help to the study of Myeongleehak in the future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Shipso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