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화 맥락을 고려한 예비과학교사의 발문 반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on of Questions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6 no.6, 2022년, pp.459 - 471  

김성훈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전유선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강훈식 (서울교육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워크숍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4학년 예비과학교사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과학교사들은 워크숍에 참여하였고 이들이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담화 맥락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과학교사가 자신의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알게 된 발문 유형을 적극적으로 고려', '학생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고려 부족', '학생의 응답 여부를 중요한 반성 요소로 고려', '발문 빈도를 바탕으로 한 발문 평가', '단일한 발문에 초점을 둔 반성', '다양한 PCK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 부족'의 6가지 주요 특징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workshop to improve teachers' questions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Fou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he fourth grade participated in the stud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fle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교사의 발문 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워크숍을 개발하였고 이를 예비과학교사 4명에게 적용하였다.
  • 이 연구는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과 수업 영상을 활용한 반성 활동을 접목하였다. 즉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워크숍을 고안하여 예비과학교사에게 적용한 뒤, 이들이 교육실습에서의 자기 과학 수업 영상을 보며 자신의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 한편, 이 연구는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워크숍에 참여한 4명의 예비과학교사가 1개 차시 수업의 발문을 반성할 때 나타난 특징만을 귀납적으로 추출한 기초 연구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워크숍을 수정 및 보완하여 적용하는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Mortimer, E.; Scott, P. Meaning Making in Secondary?Science Classrooms; Open University Press: Maidenhead,?UK, 2003. 

  2. Blosser, P. E. How to Ask the Right Questions; NSTA Press:?Arlington, VA, 2000. 

  3. Chin, C.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7,?44, 815. 

  4. Kawalkar, A.; Vijapurkar, J.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3, 35, 2004. 

  5. Kayima, F.; Jakobsen, A.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2020, 50, 437. 

  6. Back, S. Y.; Kim, D. H.; Lee, K. E. Teacher Education?Research 2014, 53, 400. 

  7. Cho, M.; Jang, J.; Yoo, J.; Kim, S.; Lee, H. Journal of?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0, 10, 407. 

  8. Choi, K.; Park, J.-Y.; Choi, B.-S.; Nam, J.; Choi, K.-S.;?Lee, K.-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Education 2004, 24, 1039. 

  9. Choi, C. I.; Cho, M.-J.; Yeo, S.-I.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2, 31, 57. 

  10. Kang, K.-H. New Physics: Sae Mulli 2014, 64, 1172. 

  11. Kang, K.-H. Biology Education 2019, 47, 107. 

  12. Kim, S.; Kim, J.; Noh, T.; Kim, M. Journal of the Korean?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2, 42, in press. 

  13. Cho, M.; Paik, S.-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for Science Education 2020, 40, 177. 

  14. Kang, K.-H. New Physics: Sae Mulli 2017, 67, 56. 

  15. Shin, A.-K.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7, 26, 428. 

  16. Bloom, B. S.; Engelhart, M. D.; Furst, E. J.; Hill, W. H.;?Krathwohl, D. R.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 Goal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Vol. 1); David McKay: New York, NY, 1956. 

  17. Gallagher, J. J.; Aschner, M. J. Merrill-Palmer Quarterly?of Behavior and Development 1963, 9, 183. 

  18. Chung, H.; Shin, D.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Society 2021, 42, 221. 

  19. Ho, D. G. E. Regional Language Centre Journal 2005,?36, 297. 

  20. Turner, J. C.; Meyer, D. K. Educational Psychologist 2000,?35, 69. 

  21. Kayima, F.; Mkimbili, S. T.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21, 51, 647. 

  22. An, J.; Kim, H.-B.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Science Education 2021, 41, 519. 

  23. Yoon, H.-G.; Song, 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for Science Education 2017, 37, 553. 

  24. Kim, S.; Jeon, Y.; Kang, H.; Noh, T. Journal of the Korean?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2, 42, 97. 

  25. Borko, H.; Jacobs, J.; Eiteljorg, E.; Pittman, M. E. Teaching?and Teacher Education 2008, 24, 417. 

  26. Sneoyink, R. Journal of Digital 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2010, 26, 101. 

  27. Wang, J.; Hartley, K.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Education 2003, 11, 105. 

  28. Southerland, S. In Teaching Science to Every Child: Using?Culture as a Starting Point; Settlage, J., Southerland, S.?A., Smetana, L. K., Lottery-Perdue, P. S., Eds.; Routledge:?New York, NY, 2018; p 263. 

  29. Strauss, A.; Corbin, J. 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trauss,?A., Corbin, J., Eds.;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CA, 1990; p 101. 

  30. Kim, O.-B.; An, U.-H.; Kim, E.-A.; Ko, M.-S.; Yang, I.?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2013, 33, 1354. 

  31. Jhun, Y.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2021, 32, 223. 

  32. Chung, J.; Kim, M.; Kang, J. Journal of the Society for?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2009, 3, 125. 

  33. Gayle, B. M.; Preiss, R. W.; Allen, M. In Classroom Communication and Instructional Processes: Advances Through?meta-analysis; Gayle, B. M., Preiss, R. W., Allen, M., Eds.;?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J, 2006; p 279. 

  34. Kwak, 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Education 2017, 37, 135. 

  35. Shin, Y.; Kwak, Y.; Kim, H.; Lee, S.-Y.; Lee, S.; Kang, H.?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2017, 37, 335. 

  36. Jeong, E.; Park, J.; Lee, S.; Yoon, H.-K.; Kim, H.; Kang,?H.; Lee, J.; Kim, Y.; Jeon,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2, 42, 325. 

  37. Sanders, R. E. ISA Transactions 1993, 32, 19. 

  38. Kim, S. Y. Biology Education 2018, 46, 165. 

  39. Kang, H.; Kim, Y.-S. Biology Education 2003, 31, 72. 

  40. Barnhart, T.; van Es, 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2015, 45, 83. 

  41. Hume, A.; Cooper, R.; Borowski, A. Repositio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ers' Knowledge for?Teaching Science; Springer: Singapore, 2019. 

  42. Park, S.; Chen, Y. C.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2012, 49, 922. 

  43. Park, S.; Oliver, J. 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8,?38, 261. 

  44. Yoon, H.-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2, 32, 703. 

  45. Zhang, M., Lundeberg, M., Koehler, M. J., Eberhardt, J.?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11, 27, 4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