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온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III)
Monitoring the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Warm-Temperate Region(III)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6 no.1, 2022년, pp.87 - 101  

강현미 (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강지우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지해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성찬용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박석곤 (국립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변화과정을 장기 모니터링하기 위해 1996년 완도수목원에 설치된 16개 고정조사구(시험구, 대조구)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변화를 분석했다. 특히 1996년도 복원기법으로 도입한 시험처리(솎아베기, 식물도입)가 식생 발달에 미친 영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교목층에 붉가시나무가 우점한 군락(고정조사구 1~3)에서는 이 종의 평균상대우점치(MIP)가 줄고, 외부에서 들어온 상록활엽수종의 MIP가 늘어나 장래 식생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붉가시나무-낙엽활엽수림(고정조사구 5, 7), 소나무림(고정조사구 9, 10)에서도 상록활엽수종의 세력 확장이 확인됐다. 솎아베기를 시행했던 시험구에서 조류 피식 산포형인 생달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등의 종 유입과 상록활엽수종의 세력 확장이 두드러져, 난온대림 식생 발달을 촉진하는데 유효했다고 본다. 시험구에 상록활엽수종을 심어 식생구조 변화를 꾀했지만, 식재 수량이 적어 식생구조 변화에 끼친 영향이 미약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른 식생유형보다 소나무림은 소나무, 곰솔의 쇠퇴에 따른 상록활엽수림으로의 식생구조 변화가 뚜렷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16 permanent plots (experimental and control) installed in Wando Arboretum in 1996 to monitor the long-term change proces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Especi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s of trial treatment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2)

  1.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3. Hattori, T.(1993) Synecological study of Persea thunbergii-type forest: II.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abitat conditions. Japanese Journal of Ecology 43(2): 99-109.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4. Hiroki, F.(2016) Survival term differences of seedlings between Castanopsis sieboldii and Machilus thumbergii under low light conditions. Annals of the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Aichi Univ. 51: 1-6. (in Japanese) 

  5. Kamijo, T., Y. Kitayama, A. Sugawara, S. Urushimichi and K. Sasai(2002) Primary succession of the warm-temperate broad-leaved forest on a volcanic island, Miyake-jima, Japan. Folia Geobotanica 37: 71-91. 

  6. Kang, H.M.(2019)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Duryunsan Provincial Park - Focusing on the Daeheungsa(Temple) Area-. Korean J. Environ. Ecol. 33(5): 552-5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G.G., S.D. Lee, J.S. Kim and B.G. Cho(2019)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 of the evergreen forest, Cheonjangsan (Mt.) at Geojae. Korean J. Environ. Ecol. 33(6): 708-7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indh, B. and P. Muir(2004) Understory vegetation in young Douglas-fir forest: Does thinning help restore old-growth composition. For. Eco. Man. 192(2004): 285-296. 

  9. Oh, K.K. and B.H. Kim(1998) Monitoring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warm temperate region(I). Korean J. Environ. Ecol. 12(3): 279-2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Oh, K.K. and S.H. Choi(1993) Vegetation structure and successional se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forest region, Korea. Korean J. Ecol. 16(4): 459-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Oh, K.K. and W. Cho(1996) Vegetation structu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forest at Chomchalsan, Chindo, Korea. Korean J. Environ. Ecol. 10(1): 66-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Oh, K.K. and Y.S. Kim(1996)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Vegetational structure-. Korean J. Environ. Ecol. 10(1): 87-1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Oh, K.K. and Y.S. Kim(1997)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V)-Vegetation structure of the case study areas-. Korean J. Environ. Ecol. 11(3): 334-3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Oh, K.K., S.H. Choi, K.T. Na and S.H. Kim(2004) Monitoring for the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warm temperate region(II). Korean J. Environ. Ecol. 17(4): 316-3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ark J.H., S.K. Kim, S.T. Lee, K.S. Lee and H.H. Kim(2013) Thinning effect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tand characteristics of Oak stands. J. Agr. Life Sci. 47(6): 8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ark, I.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Graduate School, 4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ark, S.G. and K.K. Oh(2002) Conservation status and restor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warm temperate region, Korea(1)-Distribu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nd category of degraded levels-. Korean J. Environ. Ecol. 16(3): 309-3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S.G.(2002) Studies for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 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 Korea. Master's thesis, Honam Univ., 73pp. 

  19. Park, S.G., S.H. Choi and S.C. Lee(2018) A Review of vegetation succession in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 Focusing on Actinodaphne lancifolia community -. Korean J. Environ. Ecol. 32(1): 77-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ielou, E.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Y., 385pp. 

  21. Rahman, L., K. Umeki and T. Honjo(2013) Architectural differences among shaded saplings of four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in Japan. Papers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Science 27: 5-10. 

  22. Tang, C.Q.(2010) Subtropical montan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Yunnan, China: Diversity, succession dynamics, human influence. Front. Earth Sci. China 4(1): 22-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