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순회문고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Deposit Stations in Japanese Colonial Er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6 no.1, 2022년, pp.119 - 150  

조용완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국내 도서관 인프라가 빈약한 상황에서 도서관을 대신하여 널리 활용되었던 순회문고 활동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조사 방법을 실시하였는데, 각종 역사 관련 데이터베이스, 도서관, 아카이브 등을 대상으로 당시의 신문자료, 관보, 잡지 기사, 통계자료, 관련 도서와 연구논문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제강점기 순회문고의 운영주체는 일제의 중앙행정기관과 지방행정기관을 비롯해 일제 통치를 지원하는 일제 관변단체,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계열의 항일독립단체, 기타 민간단체와 종교단체 등과 같은 민간단체, 그리고 부립도서관과 사립도서관 등의 공공도서관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순회문고들을 설치시기, 설치목적, 봉사대상과 봉사권역, 운영방식(운영비, 순회구역, 운영기간, 이용자격, 이용방법, 대출일수와 대출권수, 이용 주의사항 등), 장서의 주제와 장서량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에 순회문고는 당시 부족한 도서관 인프라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기관과 단체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deposit stations in Japanese Colonial Era of Korea. To do this, this study reviewed the related literature such as articles, records, statistics, books and reports selected from databases, archives and libraries. The deposit stations were categorized by the coloni...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23)

  1. Goh, S. H. (1995). A study of case of vanguard union of Hyongpyeongsa young person, Gooksaguannonchong, 64, 137-167. 

  2. National Library of Korea (1973). The Histor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3. National Institute of Korea History (2001). Wartime System and National Movement. Gwacheon: National Institute of Korea History. 

  4. Kwon, Eun-Kyung (1981). A study on public libraries in Korea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rule. Doseogwan Yeongu, 22(4), 7-29. 

  5. Kim, Gyoung Hee (2021). A study on education and library of modern Busan: focused on Gaeseong School and Japan Hongdo Association Busan Branch. Hangdo Busan, 42, 443-480. 

  6. Kim, N. S. (1991). A study on the library establishment movements of young men's association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8, 11-59. 

  7. Kim, N. S. (1996). 24, A study of rural-mini librarie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335-364. 

  8. Kim, N. S. (2001). Taegu Burip library and Japanese colonial poli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2(4), 1-23. 

  9. Kim, Y. S. & Lee, Y. J. (2018). A study on the first modern public library in Korea: focusing on Japanese Hongdohoe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131-150. 

  10. Kim, J. J. (2019).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rrespondence schools and the publication of lecture notes for secondary school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Educational Idea, 33(2), 27-54. 

  11. Kim, P. O. (1979). Study on the Korean public libraries under the period of the Japanese rul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6, 137-163. 

  12. Kim, P. O. (1982). A study on the railroad library under the Japanese rul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9, 63-83. 

  13. Kim, Hye-Jin (2019). The History of Female Independence Movement in Busan.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14. Daegu Bu (1939). Written Settlement of Accounts Concerning Revenue and Expenditure of Daegu Bu in 1939. Daegu: Daegu Bu. 

  15. Park, C. S. (2011). Bibliographical Notes on Overseas Collection: Japan 2.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16. Bae, E. (2017). A Study o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Library of Korean Railroad before 1945. Doctoral dissertation, Woosong University, Korea. 

  17. Song, Sung-Seob (2020). A study on changing process of the 'Kyungsung Librar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of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1), 71-90. 

  18. Song, Sung-Seob (2021).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ivities of Korean library staffs who worked in librar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5(3), 171-196. 

  19. Ahn, S. H. (2019). The activities of the confucianists in Gangneung (1894~1945). The Comments on the Korean Classical Texts, 29, 109-140. 

  20. Lee, S. H. (2005). A study on the Japanese society's education in Busan during Japanese colonialism. Journal of The Korea-Japan Historical Society, 23, 203-251. 

  21. Lee, J. S. (1984). 100 Year History of the Korean Religious Tract Society. Seoul: The Korean Religious Tract Society. 

  22.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1939). Current Status of Railway in Chosun. Seoul: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23. Hong, Seung Pyo (2020). Korean christianity's reading movement and introduction of a church librar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116, 227-2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