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팬덤의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에 따른 아이돌 세대별 팬덤 문화의 변화
Generational Fandom Culture Shift in K-Pop Idol Fandom and Social Media U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2, 2022년, pp.605 - 616  

한미화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나은경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아이돌 팬덤 현상에 대해, 팬덤의 시대별 특징 및 이용 매체의 속성에 따른 영향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3세대 아이돌 팬덤과 1,2세대 아이돌 팬덤의 문화 차이, 그리고 인터넷의 발전에 따른 팬덤의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의 차별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아이돌 팬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분석 결과, 3세대 아이돌 팬덤은 1,2세대 팬덤보다 아이돌에 대한 친밀감, 연애감정/숭배심리 및 동질감이 더 높았으며, 팬덤 충성도 및 팬덤 정체성도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주로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중심소통 팬덤이 온라인커뮤니티 중심소통 팬덤에 비해 친밀감, 연애감정/숭배심리 및 동질감이 더 높았고, 팬덤 충성도 및 팬덤 정체성 역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팬덤의 세대 변화 및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에 따른 아이돌 팬덤 문화의 변화의 함의에 대해 논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ven that the current Idol fandom has been enormously affect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uch as the Internet, mobile or social media, this study explored how generational fandom culture has been shifted depending on the fandom's use of differential online platforms and services, i.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심의소통을 위주로 하는 3세대 아이돌 팬덤의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 분석을 중심으로, 과거 1, 2세대 아이돌 팬덤과의 비교를 통해 3세대 아이돌 팬덤의 소통에는 어떤 변화가 생겼으며 그 차이점으로 인해 팬덤 문화는 어떻게 변화해왔는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검증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나은경, "미디어 팬덤의 심리학: 아무나 팬을 가진 시대, 숭배에서 친밀감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1호, pp.139-169, 2020. 

  2. "팬덤 전성시대...팬클럽, 원하는 스타 직접 만든다" 중앙일보(2011.12.31.) https://news.joins.com/article/7028965 

  3. "아이돌 팬덤의 진화, 동경에서 육성으로" 주간경향 http://www.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707241744061&code119 (2017.8.1.). 

  4. 김은정, "뉴미디어 시대의 팬덤과 문화매개자: 방탄소년단(BTS)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378-391, 2020. 

  5. 홍석경, "BTS Transmedia와 팬덤," 한국언론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문화젠더분과 발표문, 2019. 

  6. 이규탁, "방탄소년단: 새로운 세대의 새로운 소통 방식, 그리고 감정노동," 문화과학, 제93권, pp.278-291, 2018. 

  7. 정소연, "3세대 여덕의 탄생," 여/성이론, 제39권, pp.125-143, 2018. 

  8. 최서원, 임성준, "3세대 K-Pop 아이돌 전략 분석: EXO, 트와이스,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제35권, 제4호, pp.57-93, 2019. 

  9. 차우진, 최지선, 한국 아이돌 그룹의 역사와 계보, 1996~2010년, 이동연(편), 아이돌: H.O.T.에서 소녀시대까지, 아이돌 문화 보고서, 서울: 이매진, 2011. 

  10. 이규탁, 케이팝의 시대: 카세트테이프부터 스트리밍까지. 파주: 한울아카데미, 2016. 

  11. 김기덕, "신한류 아이돌 음악과 한국대중음악시장의 생태계 균형에 관한 연구 2000-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157-167, 2015. 

  12. 김승범, 신호상, "아이돌 산업 이해를 위한 한류 아이돌 유형에 관한 연구: 시스템 사고 관점에서의 구조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19권, 제2호, pp.91-115, 2018. 

  13. 조은수, 윤아영, "BTS ARMY에서 페미니스트 팬으로: 3세대 K-Pop 아이돌 팬의 페미니즘 실천과 한계,"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5권, 제3호, pp.5-59, 2020. 

  14. 김호영, 윤태진, "한국 대중문화의 아이돌 시스템 작동방식: 아이돌문화 생산, 소비의 이중적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3권, 제4호, pp.45-82, 2012. 

  15. 김진아, 박지훈, "한국 대중음악의 아이돌 편중에 관한 연구: 대중음악 생산자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제6권, 제1호, pp.145-172, 2011. 

  16. 김현지, "온라인 팬덤 연구," 저널리즘 연구, 제17권, pp.133-152, 2004. 

  17. 차우진,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디어 플랫폼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미디어 이슈 & 트렌드, 제44권, 제5/6호, pp.6-18, 2021. 

  18. 조이단, 최명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상호작용이 동일시와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23-33, 2021. 

  19. "대중성보다 충성심...K팝 아이돌의 심장은 '팬덤'"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210721/108073511/1 동아일보(2021.7.21.) 

  20. E. Lee, "Effectiveness of politicians' soft campaign on Twitter versus TV: Cognitive and experiential rout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3, pp.953-974, 2013. 

  21. E. Lee and S. Shin, "When the medium is the message: How transportability moderates the effects of politicians' Twitte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41, No.8, pp.1088-1110, 2014. 

  22. N. Baym, Playing to the Crowd: Musicians, Audiences, and the Intimate Work of Connection, NYU Press, 2018. 

  23. S. Chung and H. Cho, "Fostering parasocial relationships with celebrities on social media: Implications for celebrity endorsement," Psychological Marketing, Vol.34, pp.481-495, 2017. 

  24. T. Madison and L. Porter, "Cognitive and imagery attributes of parasocial relationships,"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Consciousness in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35, No.4, pp.359-379, 2016. 

  25. C. Chen, "Forming digital self and parasocial relationships on YouTube," Journal of Consumer Culture, Vol.16, pp.232-254, 2016. 

  26. K. S. Lynch, "Fans as transcultural gatekeepers: The hierarchy of BTS' anglophone Reddit fandom and the digital East-West media flow," New Media & Society, Vol.23, (online first) 2020,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1461444820962109 

  27. J. Kim and H. Song, "Celebrity's self-disclosure on Twitter and parasocial relationships: A medi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2, pp.570-577, 2016. 

  28. 김수아, "소셜 웹 시대 팬덤 문화의 변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1권, 제1호, pp.45-94, 2014. 

  29. 김이승현, 박정애, "빠순이, 오빠부대, 문화운동가?: 서태지 팬덤이야기," 여성과 사회, 제13권, pp.158-175, 2001. 

  30. J. Fiske, The cultural economy of fandom. In L. A. Lewis (Ed.), The Adoring Audiences: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NY: Routledge, 1992, 박명진 외 편역(1996). 팬덤의 문화경제학: 문화, 일상, 대중. 서울:한나래, 1992. 

  31. 홍종윤, 팬덤 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2. J. Cohen, "Defining identification: A theoretical look at the identification of audiences with media characters," Mass Communication & Society, Vol.4, No.3, pp.245-264, 2001. 

  33. S. Erickson, K. Harrison, and S. D. Cin, "Toward a multi-dimensional model of adolescent romatic parasocial attachment," Communication Theory, Vol.28, pp.376-399, 2018 

  34. G. Stever, "Celebrity worship: Critiquing a construct,"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41, No.6, pp.1356-1370, 2011. 

  35. 트위터/케이팝레이더, 트위터 사용 패턴에 따른 K-POP 세대 분석, 2021.6.14. 

  36. S. Kay, R. Mulcahy, and J. Parkinson, "When less is more: The impact of macro and micro social media influencers' disclosure,"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Vol.36, No.3/4, pp.248-278, 2020. 

  37. M. Hambrick, J. Simmons, G. Greenhalgh, and C. Greenwell, "Understanding professional athletes' use of Twitter: A content analysis of athlete twee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Communication, Vol.3, No.4, pp.454-471, 2010. 

  38. G. Stever and K. Lawson, "Twitter as a way of celebrities to communicate with fans: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parasocial interaction," North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15, pp.339-354, 2013. 

  39. C. K. Cheung and X. D. Yue, "Identity achievement and idol worship among teenagers in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t and Youth, Vol.11, No.1, pp.1-26, 2003. 

  40. 이시림, 이수현, "한국 아이돌, 그들은 어떻게 살아남는가?: 한국 아이돌 산업 생태계의 생존과 성공 요인,"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4권, 제2호, pp.51-98, 2019. 

  41. 정민우, 이나영, "스타를 관리하는 팬덤, 팬덤을 관리하는 산업: 2세대 아이돌 팬덤의 문화실천의 특징 및 함의,"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2권, pp.191-240, 2009. 

  42. 김성식, 강승묵, "오디션 리얼리티 쇼 과 의 팬덤 현상,"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3호, pp.5-36, 2012. 

  43. 김용석, "팬클럽에서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에 관한 연구: '소녀시대' 팬클럽을 중심으로," 시민청소년학연구, 제2권, 제1호, pp.101-142, 2011. 

  44. B. E. Tolstedt and J. P. Stokes, "Relation of verbal, affective, and physical intimacy to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0, No.4, pp.573-580, 1983. 

  45. 김민정, 최윤정, "스마트폰을 통한 트위터 이용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6권, 제1호, pp.43-82, 2012. 

  46. B. McCutcheon, R. Lange, and J. Houra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celebrity worship,"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93, pp.67-87, 2002. 

  47. 성다혜, 이형석, "인터넷 개인방송 BJ와 시청자 간의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거리감, 전문성이 PPL 효과에 미치는 영향: 설득지식모델을 중심으로,"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제11권, 제4호, pp.87-121, 2018. 

  48. 윤영선, 이국용, "모바일 SNS 이용만족과 습관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23-142, 2010. 

  49. 안선영, 박남기, "TV 드라마의 사회적 시청 행위가 프로그램 시청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31권, 제6호, pp.81-117, 2017. 

  50. D. A. Laffan, "Positive psychosocial outcomes and fanship in K-Pop fans: A social identity theory perspective," Psychological Reports, Vol.124, No.5, pp.2272-2285,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