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Vulnerable Adolescents on the School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2, 2022년, pp.431 - 446  

이유진 (서울기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형태 (서울기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학교환경에 대한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경험과 인식의 특성을 탐색하여 유형화하고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고, Q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해 사전 인터뷰와 문헌분석, 미디어 매체 검색내용을 분석하여 94개의 Q표본을 추출하여 1차 연구 참여자에 대해 눈덩이 표집방식을 적용하여 참여대상자 총 54명에게 Q분류를 실시하였다. P표본의 소속학교는 서울 7곳과 경기도 4곳이다. Q소팅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Q분석 프로그램인 QUANL-PC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순응적 모범형', 제2유형 '부정적 반항형', 제3유형은 '소극적 무기력형'이며, 제4유형은 '진취적 고군분투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현실적인 지원전략에 필요한 단초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vulnerable adolescents on the school environment were explored and categorized, and of which the meanings were confirmed. For this purpose, Q methodology was used, and 94 Q sample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pre-interviews, li...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본 바 선행연구에서는 변수를 설정하여 변인 간 인과관계를 검증한 양적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내적 인식의 차이를 탐색하여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학교환경에서 경험하는 현상들을 이해하기 위해 주관적 인식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들이 학교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상호작용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학교환경 적응형태나 그 자원들의 활용계획들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관점에서 탐색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주관적인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유형을 도출하고 이들의 심리·행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학교 환경에 대한 인식유형을 분류하고, 그 인식의 구조를 분석하여 이들의 생각과 심리‧행동적 특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러한 근거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유형화되는가? 둘째,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인식유형에 따른 심리‧행동적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갖고 Q방법론을 활용하여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유형을 도출하여 이들의 인식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긍정적인 발달과업 수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김재영, 취약계층 청소년의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와 삶의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 임정아, 진영선, "청소년이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행복감: 질적연구방법 포토보이스를 활용,"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제52권, pp.133-162, 2017. 

  3. 김서현, "발달의 터전으로서 학교환경의 장소성의 의미: 저소득층 후기 청소년들의 초.중.고교 시기 경험을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제17권, 제2호, pp.151-187, 2019. 

  4. C. B. Germain, Social work practice: People and environment,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9. 

  5. Jane D. McLeod and Michael J. Shanahan, "Poverty, parenting, and children's mental healt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pp.351-366, 1993. 

  6. 백소영,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구조-개인 및 부모요인의 영향과 또래요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7. 김태은, "저소득층 가구의 소득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비자정책 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1-19, 2020. 

  8. 구인회, 박현선, 정익중, "빈곤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아동권리연구, 제10권, 제3호, pp.269-295, 2006. 

  9. 권현용, 김현미, "질적분석을 통한 위기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요인," 한국콘텐츠인문학논총, 제26집, pp.209-240, 2011. 

  10. 하태정, 강현아, "가족 빈곤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제40호, pp.139-166, 2012. 

  11. 김형태, "학교환경인식이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빈곤 청소년과 비빈곤 청소년의 비교," 한국청소년연구, 제26권, 제1호, pp.269-291, 2015. 

  12. 김복희, 저소득층 청소년의 낙인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3. 오승환,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12권, pp.109-133, 2001. 

  14. 김소정, "학교만족도에 대한 교육복지지원사업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제19권, 제6호, pp.179-201, 2012. 

  15. 김미현, "농촌지역 저소득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제3권, 제1호, pp.29-61, 2009. 

  16. 노대명,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취업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16권, 제1호, pp.115-146, 2006. 

  17. 박을미, "저소득층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방안," 음악예술연구, 제8권, 제2호, pp.315-338, 2018. 

  18. 윤철경, 성윤숙, 유성렬,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 대책 연구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pp.1-414, 2016. 

  19. 조규필, 정경은, "취약청소년의 자립준비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3호, pp.267-292, 2016. 

  20. 이송희, 김린아, "취약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269-277, 2017. 

  21. 황순길, 김동민. 강태훈, 손재환, "2016년 전국 청소년 위기 실태조사," 청소년상담연구, 제196권, pp.1-338, 2016. 

  22. W. B. Brookover, C. Beady, P. Flood, J. Schweitzer, and J. Wisenbaker, Schools can make a Program in 10 modules, East Lansing, Michigan: Michigan State Univ., pp.57-58, 1977. 

  23. 성소연, 학교급별에 따른 가정환경, 학교환경 및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구조적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4. A. B. Meyers, J. E. Meyers, E. C. Graybill, S. L. Proctor, and L. Huddleston, "Ecological approaches to organizational consultation and systems change in educational settings,"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Vol.22, No.1-2, pp.106-124, 2012. 

  25. 박종효, "학교환경과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열린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pp.101-128, 2013. 

  26. C. B. Germain, Social work practice: People and environment,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9. 

  27. R. Moos, Evaluating educational environments, San Francisco & Washington: Jossey-Bass Pub, 1979. 

  28. 원미순, 박미현, "학교환경이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 고등학생 비교," 청소년복지연구, 제17권, 제1호, pp.239-260, 2015. 

  29.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0. 김남이, Q방법론을 활용한 학교폭력의 무관용 원칙에 대한 인식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1. 이도희, 박희정, 김원세, "Q방법론을 활용한 지역사회복지 인식의 유형화," 한국콘텐츠학회, 제19권, 제3호, pp.615-623, 2019. 

  32. 김순은, Q방법론과 사회과학, 금정출판사, 2007. 

  33. Steven R.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80. 

  34. J. Crocker,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Situational construction ofself-worth,"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35, No.1, pp.89-107, 1999. 

  35. J. Triplett, "Racial bias and prosocial behavior," Sociology Compass, Vol.6, No.1, pp.86-96, 2012. 

  36. 김소영, 김현지, 이상수, "사회정서역량과 회복탄력성이 학교 적응과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18호, pp.477-494, 2018. 

  37. 이혜영, 손흥숙, 김일혁, 김미숙, "학생의 학교 부적응 진단과 대책(I)," 한국교육개발원, pp.1-412, 2012. 

  38. 이화명, 김영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595-606, 2021. 

  39. 홍명숙, "학교생활 적응의 영향요인 분석," 정책개발연구, 제18권, 제2호, pp.1-40, 2018. 

  40. 백소영,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구조-개인 및 부모요인의 영향과 또래요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1. 김태화, 청소년의 학교적응 영향요인,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2. 김정원, 신철균, "교사의 학생 이해 및 소통 수준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제31권, 제3호, pp.129-149, 2014. 

  43. 장의정, 중학생의 학교환경 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학업성취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44. 박정희,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5. R. Rogers-Dillon, "The dynamics of welfare stigma," Qualitative Sociology, Vol.18, No.4, 1995. 

  46. 김종운, 장인영,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학교 초기 청소년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467-476, 2015. 

  47. 정연정,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의 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연구: 사회적 낙인인식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