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환기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the Transitional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3, 2015년, pp.85 - 102  

송진영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송진숙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학령전환기에 있는 만 5세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유아, 교사 및 부모의 관련 변인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학령전환기에 있는 만 5세 유아와 그들의 부모, 그리고 만 5세 유아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문제행동은 어머니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의 기질, 유아의 자아탄력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인성특성, 교사-유아관계, 교사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문제행동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을 가장 잘 예언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변인과 부모변인, 교사변인이 각각 그리고 상호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갖는지를 살펴봄으로서 문제행동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실천에서의 통합모델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he child's characteristics(temperament and ego-resiliency), the mother's characteristics(parenting str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유아의 문제행동은 다양한 변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아의 개인변인, 부모변인, 교사변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변인과 부모변인, 교사변인이 각각 그리고 상호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갖는지를 알아보고 유아의 문제행동에 가장 영향을 크게 비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아기는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초기 단계이고, 유아기의 문제행동은 학령기로 전이되어 지속적인 문제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학령전환기에 있는 만 5세반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진단하고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탐색하여 조기에 유아의 문제행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관련 변인들을 밝혀보고자 한다.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해서 주로 특정 변인들을 중심으로 한 집중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유아 문제행동의 원인들을 통합한 이론적인 탐색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 본 연구는 학령전환기에 있는 만 5세반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배경변인의 일반적 경향과 차이검증, 관련 변인이 각각 그리고 상호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갖는지를 밝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불안 좌절감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어느 발달적 시기보다도 학령전환기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가 높을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효과는? 이현정(1997)의 연구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유아의 스트레스 빈도가 높아져 결과적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였다. 또한 어머니가 일상생활에서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어머니 자신의 적대감이나 공격성이 증가되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이를 반영하게 된다(최미나, 신나나, 2015). 이는 유아의 공격적인 행동을 증가시키고(Abidin, 1990; Belsky, 1984.), 부모의 부정적인 기분이나 스트레스가 어머니의 훈육행동에서 강압적인 훈육을 하여 간접적으로 유아의 반사회적 행동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부정적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Snyder, 1991).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양상은? 문제행동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약 60% 정도의 유아는 그 문제를 지속적으로 보인다고 한다(Hwang & James-Robert, 1998; McGuire & Richman, 1988). Garbarino와 Vondra(1987)는 아동기에 보였던 문제행동은 결코 일시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소한 행동 한 가지라도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청년기나 성인기에 이르러 반사회적 행동 및 범죄행위로 발전되는 등 심각한 장애로 진전될 수 있다고 하였다.
유아의 발달에 있어 중요한 것은?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사회적 관계가 가정에서 다른 사회집단으로 확대되며, 이러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유아가 가정을 떠나 유아교육기관의 환경을 접하면서 또래와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사회구성원으로 가져야 할 지식과 기능, 가치, 태도를 배우게 된다. 즉 유아의 발달에 있어 환경과 경험을 통한 인간과의 관계형성이 중요하며, 그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유아와 관계를 맺고 있는 성인이라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민정 (1997).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고은정 (1996). 애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고태순 (1996). 유아의 기질과 대인관계 문제해결력과의 관계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구선라 (1999).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행동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수옥 (2002). 유아의 기질과 사회인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희, 장기숙, 한세영 (2008).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관리학회지, 46(5), 73-87. 

  7. 김현순 (2005). 청소년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현희 (2008). 어머니가 지각하는 Parenting Daily Hassles가 육아스트레스 및 부적절한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문상희, 이경님 (2012).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8(3), 69-89 

  10. 소언주 (2001). 어머니의 분리불안 :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안지영 (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양명숙 (1985).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여연승 (2003).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2004).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17(4), 53-73. 

  15. 이경희 (1995).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수준, 유아의 기질, 가정 양육환경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지희 (2008).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진숙 (2001). 유아의 애착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8. 이진숙 (2002).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1(2), 123-134. 

  19. 이찬숙 (2007).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 가정환경 및 지역 사회 변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이현정 (1997).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장진아, 신희천 (2006).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8(3), 569-592. 

  22. 전경아, 이진숙 (2003). 유아의 또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2(5), 659-668. 

  23. 정현희, 최경순 (2001). 아동의 기질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14. 

  24. 조상흔 (2007).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최미나, 신나나 (2015).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83-310. 

  26. 최영희 (1990). 아동의 기질이 모자 상호작용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하정 (1997). 정서표현 성향과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사고, 행동영역의 통합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Abidin, R. R. (1990a). Parenting stress index,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9. Abidin, R. R. (1990b).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30. Barron, A. P., & Earls, F. (1984). Relation of temperament and social factors to behavior problem in 3 years old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5, 23-33. 

  31. Belsky, J. & Vondra, J. (1993). Developmental origins of parenting: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factor, In T. Luster and L. Okagaki (Ed.),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227-250). NJ: Lawrence Erlbaum. 

  32.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33.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d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34. Cicchetti, D. J. (1993).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reactions, reflections, projections, Developmental Review, 13, 471-503. 

  35. Feil, E., Severson, H. & Walker, H. (1998). Screening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elays : The early screening project,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21(3), 252-265. 

  36. Garbarino, J. & Vondra, J. (1987). Psychological maltreatment : Issues and perspective. Psychological maltreatment of children and youth. NY: Pergamon. 

  37. Garmezy. (1993).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to adverse developmental outcomes associated with poverty,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4, 416-430. 

  38. Hwang, H. J. & St James-Roberts, I. (1998). Emotional and behavioural problems in primary school children from nuclear and extended families in Korea,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9(7), 973-979. 

  39. McGuire, J. & Richman, N. (1988). The preschool behaviour checklist handbook. UK: NFER-NELSON. 

  40. Mitchell (1996). Child-teacher attachment and social competence. ProQuest-Disseration Abstracts, AAC 9621496 (George Mason University, MAI-A 57-03, 1018). 

  41. O'connell-Higgins. (1983).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capacity for intimacy, qualifying paper. Ha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42. Rothbart, M. K., & Bates, J. E. (1998). Temperament. In W. Damon, and N. Einsberg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5th ed., pp. 1-77). NY: John Wiley and Sons. 

  43. Snyder, J. (1991). Discipline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stress and mood on child conduct problems, Developmental Psychology, 3, 263-276. 

  44. Sroufe, L. A. (1983). The role of infant-caregiver attachment in development. In J. Belsky. and T Nezworski. (Ed.),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pp. 18-3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45.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 Bruner/Maze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