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ACUM 기법을 활용한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ing DACUM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2, 2022년, pp.305 - 316  

김경민 (중부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DACUM 기법을 사용하여 유치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경력이 풍부한 6명의 유아특수교사로 DACUM 위원회를 구성하고 총 6회기의 DACUM 워크샵을 거쳐 직무정의, 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명세서는 9개의 책무와 53개의 과업으로 구성되었고 직무 기술서는 80개의 지식, 98개의 기술, 22개의 태도로 구성되었다. 유치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는 가정연계지도, 건강과 안전관리, 초등학교 전이지도, 놀이주제에 따른 환경구성, 실내외 놀이 활동지도가 초·중등 특수교사와 차별화된 과업이었다. 지식의 경우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행동수정에 대한 지식이 우선순위를 차지하였고, 기술은 관찰과 기록, 부모면담 및 부모교육기술이, 태도는 전문가와 행정가로서의 태도가 우선순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직무분석의 결과는 대학에서 직무역량이 높은 유아특수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job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special classes using the DACUM technique. To this end, the DACUM Committee was formed with six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extensive field experience. A total of six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성능/효과

  • 본 연구는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해 DACUM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9개의 책무와 53 개의 과업, 그리고 각 과업에 따른 80개의 지식, 98개의 기술, 22개의 태도를 규명하였다.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는 특수교사로서 개별화교육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교수학습 활동에 반영해야 하는 공통적인 책무를 가지는 것과 동시에 가정과 연계된 지도, 돌봄이 포함된 교육으로서 건강과 안전관리, 초등학교 전이지도,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환경구성과 실내외 놀이 활동지도 등은 초․중등 특수교사와 차별되는 부분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K. Sullivan, W. Stone, and G. Dawson, "Potential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iveness of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35, No.11, pp.2921-2932, 2014. 

  2. D. Brannon and L. Daukas, "The Academic and Social Benefits for Preservice Teachers Working with Children and Families of Promise," J. of Regional Engagement, Vol.1, No.2, pp.94-105, 2012. 

  3. S. Landy and R. Menna, Early Intervention with Multi-risk Families: An Integrative Approach,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6. 

  4. V. S. Chouhan and S. Srivastava, "Understanding Competencies and Ccompetency Modeling - A Literature Survey," J. of Business and Management, Vol.16, No,1, pp.14-22, 2014. 

  5. 고명숙, 최지수, 조대연, "직무역량과 직무만족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HRD연구, 제22권, 제4호, pp.27-52, 2020. 

  6. 신형철, 신재원, "직무역량이 직무효능감과 과업 수행에 미치는 영향: 제주지역 호텔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제81권, pp.69-89, 2018. 

  7. 박영숙, 박균열, 전광희, 김갑성, 전제상, 교직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정책의 진단과 과제 -교원의 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5. 

  8. 정재영, 강태훈, 김갑성, 류성창, 윤홍주,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신임교사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9. 곽민지, 조성문, 송해덕,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직무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5권, 제2호, pp.149-173, 2014. 

  10. 김문희, 정대영, "중등특수교사의 직무역량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9권, 제1호, pp.223-243, 2020. 

  11. 김희규, 주영효, "특수교육교사 직무 역량 실태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제22권, 제1호, pp.233-258, 2016. 

  12. 이선민, 박재국, "특수교사 직무역량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7권, 제4, pp.219-242, 2016. 

  13. 윤미경, 이병인, "유아특수교사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양성기관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제50권, 제2호, pp.143-166, 2015. 

  14. 한경임, 송미승, 윤소영, "초등학교 특수학급 여교사의 직무 경험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6권, 제2호, pp.169-193, 2013. 

  15. C. A. Naik, Human Resource Management: Managing People at Work, New Delhi: Ane Books Pvt. Ltd, 2010. 

  16. 이은정, 신현기, "장애영아 담당교사 직무분석 - DACUM기법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제52권, 제3호, pp.53-81, 2017. 

  17. J. DeOnna, "DACUM: a Versatile Competency-Based Framework for Staff Development," J.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Vol.18, No.1, pp.5-13, 2002. 

  18. 현수,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한 직업계고등학교 학교장의 직무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제44권, 제1호, pp.114-140, 2019. 

  19. R. E. Norton and J. Moser, DACUM Handbook, 4th Ed.. Columbus: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2013. 

  20. A. J. Kuzel, Sampling in Qualitative Inquiry, In Crabtree, B. F., & Miller, W. L. (Eds.), Doing Qualitative Research (pp.31-44),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Inc, 1992. 

  21. 김연하, "아나필락시스 위험 학생의 보건관리를 위한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무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27권, 제1호, pp.98-108, 2020. 

  22. 윤동열, 조세형, 배을규, "국내 직무분석 연구에서 DACUM 활용 현황과 비판," 교육문화연구, 제17권, 제3호, pp.87-115, 2011. 

  23. 곽민지, 조성문, 송해덕,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직무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5권, 제2호, pp.149-173, 2014. 

  24. C. J. Dunst, "Family-Centered Practice: Birth Through High School," J. of Special Education, Vol.36, No.3, pp.39-147, 2002. 

  25. C. J. Dunst and D. W. Hamby, "A Case Study Approach to Secondary Reanalysis of a Quantitative Research Synthesis of Adult Learning Practices Studies," International J. of Learning, Teaching and Educational Research, Vol.13, No.3, pp.181-191, 2015. 

  26. 백유순, "조기 중재 및 유아특수교육에서의 가족중심 실제를 위한 실천과제," 유아특수교육연구, 제8권, 제3호, pp.89-111, 2008. 

  27. 이윤진,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기능 변천 고찰," 육아정책연구, 제2권, 제2호, pp.1-17, 2008. 

  28. 임미진, 이병인, "발달지체유아의 초등학교 입학 적응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pp.89-117, 2017. 

  29. 김설아, 김은경, "초등학교 전이 지원프로그램이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학업준비기술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1-32, 2018. 

  30. 조인영, 이연우, 함윤경, "장애유아의 초등 전환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보육교사, 치료사, 부모와의 면담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21권, 제3호, pp.1-30, 2020. 

  31. J. Darragh, "Universal Desig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Ensuring Access and Equity for All,"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Vol.35, No.2, pp.167-171, 2007. 

  32. K. Lifter, S. M. Foster-Sanda, C. B. Arzamarski, J. M. Briesch, and E. McClure, "Overview of Play: Its Use and Importance in Early Interven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fants and Young Children, Vol.24, No.3, pp.225-245, 2011. 

  33. C. Nelson, A. P. McDonnell, S. S. Johnston, A. Crompton, and A. R. Nelson, "Keys to Play: A Strategy to Increase the Social Interaction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Education and Train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42, No.2, pp.165-181, 2007. 

  34. J. L. F. Jamero, "Social Constructivism and Play of Children with Autism for Inclusive Early Childhood," International J.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Vol.11, No.2, pp.154-167, 2019. 

  35. K. Lifter, E. J. Mason, and E. E. Barton, "Children's play: Where we have been and where we could go," J. of Early Intervention, Vol.33, No,4, pp.281-297, 2011. 

  36. 정기오, "교육기본법상 학습권의 법적 성격 및 교육법체계상의 의의에 관한 연구," 敎育法學硏究, 제30권, 제1호, pp.75-95, 2018. 

  37. 이은희, 김주홍, 오명화, "발달지연 유아의 놀이성과 실행기능의 관계," 신경치료, 제23권, 제3호, pp.53-60, 2019. 

  38. 박희숙,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 참여관찰 기록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22호, pp.25-46, 2020. 

  39. A. Pellegrini, "Practitioner Review: The Role of Direct Observation in th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The J.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Vol.42, No.7, pp.861-869, 2001. 

  40. T. W. Linder, Transdisciplinary Play-Based Assessment 2.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8. 

  41. 배성현, 박찬우, "개별화교육계획 운영 실제와 지원요구에 대한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원의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제54권, 제2호, pp.63-93, 2019. 

  42. G. Whitty, "Teacher Professionalism in New Times," J. of In-Service Education, Vol.26, No.2, pp.281-295, 2000. 

  43. 윤지현, 김호연,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공문서 처리 현황 및 개선방안," 특수교육학연구, 제44권, 제4호, pp.105-131, 2010. 

  44. 함보라, 이미숙,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장애학생 전환기 협력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요구," 특수교육, 제19권, 제2호, pp.75-99, 20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