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럭셔리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하위문화 양상의 의미 분석
Analysis of the Meaning of Subculture Aspects in Luxury Fashion Brands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4 no.1, 2022년, pp.83 - 98  

한자영 (국제대학교 e-패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culture aspects that led to the success of luxury brands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those aspects. For this, semantic analysis in a socio-cultural context was performed. Additionally, this study took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hange in ...

주제어

참고문헌 (32)

  1. 김나윤, 하지수. (2018). 하위문화 관점에서 바라본 소수 패션 취향 공동체의 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2(1), 14-25. 

  2. 김선영. (2016). Vetements 패션컬렉션 분석과 내적 의미-2014 F/W-2016F/W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3), 67-80. 

  3. 김성은, 하지수. (2016). 신-해체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베트멍, 마르케스 알메이다, 자크뮈스를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6(4), 129-150. 

  4. 김세진. (2019). 구찌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뉴미디어 패션콘텐츠 분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9(1), 147-164. 

  5. 김진형. (2015).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 연구.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소형, 임은혁. (2018).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 따른 패션 내러티브 분석-루이비통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6(6), 994-1014. 

  7. 박세린. (2018). 버질 아블로의 크리에이터 활동에 나타난 Z세대 특성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현주. (2018). 신-하위문화 패션의 특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백정현, 배수정. (2019).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교체를 통한 구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혁신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1), 185-198. 

  10. 백효연, 이지현. (2017). 현대 하위문화 패션의 조형 특성과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을 통한 의미 해석. 복식, 67(8), 80-99. 

  11. 소셜미디어 시대의 브랜딩. (2016. 3).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자료검색일 2019. 2. 4, 자료출처 https://www.hbrkorea.com 

  12. 신지형. (2019).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미디어 이용. 정보통신연구원, KISDI STAT report, 19(04), 1-6. 

  13. 안효선, 박민정. (2019). 패션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변화에 따른 디자인 연관 이슈 비교-구찌 컬렉션에 대한 소셜미디어 게시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1(3), 277-287. 

  14. 이서형. (2018).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의 패션.메이크업.헤어스타일 표현 특성 연구.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임은혁. (2003). 21세기 전환기 하이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 ; 펑크룩을 중심으로. 복식, 53(2), 71-85. 

  16. 임지아. (2018). 럭셔리 개념 확장에 관한 고찰- 뒤샹의 「개념미술」과 뎀나 바질리아의 「쇼킹 피스」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35, 421- 431. 

  17. 조은애. (2016). 패션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 특성.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취향-경험을 탐닉하는 파워 신인류 Z세대만의 코드를 이해하라; 밀레니얼 vs Z 세대. (2019. 1). 동아비즈니스리뷰, No. 269. p.63-79. 

  19. 허유선, 전재훈. (2017).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교체된 패션브랜드의 잡지광고 분석-생로랑, 루이비통, 구찌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9(5), 547-558. 

  20. 허은주. (2019). B급지향적 하위문화 패션의 특성.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유정. (2018). 구찌 컬렉션에 나타난 미적 특성크리에이티브 디렉터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Bennett, A. (1999). Subcultures or neo- tribes? re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style and musical taste. Sociology, 33(3), 599-617. 

  23. Bourdieu, P. (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24. Bruin, S. (2011). Something for everyone? Changes and choices in the ethno-party scene in urban nightlife; Chapter 1. Subculture and post-subcultural research. Amsterdam: Vossiuspers UvA-Amsterdam University Press. 

  25. D'Arpizio, C., & Levato, F. (2019. 6. 1). How the market readies itself for the next generation of luxury. Bain Luxury Goods Worldwide Market Study. 

  26. Hebdige, D. (1979).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London: Methuen & Co. Ltd. 

  27. Holt, D. B. (2004). How brands become icons: The principles of cultural branding. Boston: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28. Jasman, A. (2019. 6. 10). Five things to know about Virgil Abloh's first men's fashion jewellery collection for Louis Vuitton. 자료검색일 2020. 1. 4, 자료출처 https://www.esquiresg.com/ 

  29. Maffesoli, M. (2017). 부족의 시대: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개인주의의 쇠퇴(박정호.신지은 역). 서울: 문학동네. (원저 1988) 

  30. Muggleton, D. (2000). Inside subculture : The postmodern meaning of style. Bloomsbury: Bloomsbury publishing. 

  31. Redhead, S. (1997). Subculture to clubcultures: An introduction to popular cultural studies. Oxford and Cambridge: Wiley-Blackwell publishing. 

  32. Thornton, S. (1996). Club cultures: music, media, and subcultural capital. Connecticut: Wesleyan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