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 패션 콘텐츠에 표현된 남성 하위문화 연구 - 딕 햅디지의 하위문화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ale Subculture on Fashion Contents of YouTube - Focusing on Dick Hebdige's Subculture Theory -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2 no.6, 2020년, pp.727 - 738  

박주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김종선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popular YouTube subculture content and male YouTuber characteristics.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YouTube videos and viewer's comments of male YouTubers who interacted with subculture or fashion themes within YouTube. Based on Dick Hebdige's subculture theory, we categorized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wak,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성의 외모 관리와 성 주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대적 변화에 주목하여 이를 반영하는 유튜브 내 패션 콘텐츠의 하위문화 현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튜브 내 남성 하위문화가 형성되는 양상을 영상의 내용과 댓글 분석을 통해 실질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패션 미디어의 관점에서 하위문화의 형성과 유지, 확장의 공간으로서 유튜브 플랫폼을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최근 디지털 미디어 문화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는 유튜브 내 패션 콘텐츠들의 하위문화적 특성과 이에대한 시청자 반응을 남성 유튜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속에서 패션을 통해 표현되는 하위문화 현상을 살펴 대중의 소수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흐름을 읽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남성 유튜버들의 외모 꾸미기 현상과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한 하위문화의 확장의 관점에서 유튜브 환경을 고찰하였으며, 사례연구로서 유튜브 채널 내 영향력 있는 남성 유튜버들의 영상과 댓글 분석 실시하여 콘텐츠의 하위문화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 연구 분석의 틀은 하위문화 연구에서 외양으로 드러나는 ‘스타일’의 구분을 강조한 딕 햅디지 (Dick Hebdige)가 제시한 세 가지인 ‘의도적 소통’, ‘브리콜라주’, ‘저항’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유튜브에서 이러한 맥락들이 어떻게 패션을 통해 나타나는지와 하위문화를 주제로 한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들의 실시간 반응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하위문화의 생산자와 수용자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디지털 미디어가 하위문화의 형성과 유지, 확장의 공간으로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그 가치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따라서 이러한 행위들은 유튜브 내 남성 인플루언서들이 스스로를 가꾸고 자신의 모습에 애착을 가지며,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습득한 정보나 가치관을 타인들과 공유하는 데 적극적인 행동과 연관 지어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부 남성 유튜버들의 스스로에 대한 무한한 애정 표출이나 적극적인 외모 관리, 본인의 몸에 대한 애착과 같은 특정 행동들에 비추어 하위문화를 주도하는 남성 유튜버들이 나르시시즘적인 성향을 내포하고 있다고 보았다.
  • 구성되어 있다. 최근 남성들의 외모 관리 수준과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여성적 취향이 강한 남성들의 화장품 사용 후기나 자신들의 외모 관리 노하우를 본인의 얼굴과 몸을 도화지 삼아 소개한다. 메트로섹슈얼은 자신의 외모를 가꾸는 것과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질 높은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미적 감각이 뛰어난 도시 남성을 의미하며 본인의 남성성을 지키면서도 자신의 외모 및 패션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여성적 성향의 남성이다(Son,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n, H. J., & Park, M. N. (2007). Design analysis of men's fashion based on the metrosexual and ubersexual image.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9(3), 99-113. 

  2. Back, M. D., Schmukle, S. C., & Egloff, B. (2010). Why are narcissists so charming at first sight? decoding the narcissism-popularity link at zero acquaint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8(1), 132-145. doi:10.1037/a0016338 

  3. Becky, F., & Simon, C. (2007). Is "YouTube" telling or selling you something? tobacco content on the YouTube video sharing website. Tobacco Control, 16(3), 207-210. doi:10.1136/tc.2007.020024 

  4. Bennett, A. & Kahn-Harris, K. (2004). After subculture: critical studies in contemporary youth culture. London: Palgrave Macmillan. 

  5. Brake, Michael. (1985). Comparative youth culture - The sociology of youth culture and youth subcultures in america, britain, and canada.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6. Byun, H. (2018).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in the contents production and usage environment of YouTube and its popular channels; and examination of its implications.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1(4), 227-239. 

  7. Chung, S. H., & Yang, S. H. (2004). The Study on drag queen's and drag king's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4(7), 135-150. 

  8. Come2david. (2018, November 23). Skin care? no! concealer care!!. YouTube. Retrieved March 22, 2020,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bmn9WzyBi3I 

  9. Duits, L., Zwaa, K., & Reijinders, S. (2014).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fan cultures. Farnham: Ashgate. 

  10. Gung, S. Y. (2002). Subculture meaning of youth fashion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Gwak, S. M. (2019, November 4). 날 보러와요-시니어부터 퀴어까지 패션시장 강타! [Come see me- from senior to quiz, hit the fashion market!]. Fashionbiz. Retrieved November 20, 2019, from http://www.fashionbiz.co.kr/TN/?cate2&recom2&idx175024 

  12. Han, J. M., Cho, M. S., Hong, S. E., & Park, S. W. (2016). Narcissism and clothing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30(2), 27-41. 

  13. Hebdige, D. (1998). Subculture (Lee, D. H, Trans). Seoul: Hyunsilbook. (Original work published 1975) 

  14. Hwan'e. (2018, November 10). Seven outer recommendations for wearing with school uniforms. YouTube. Retrieved March 22, 2020,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FMtpD4aX4Wg 

  15. Ji, H. G. (2019, August 30). 'D-1' 성소수자 '인천퀴어축제' 긴장감 최고조 ['D-1' LGBT 'Incheon queer festival' the peak of tension]. MK. Retrieved Nobember 23, 2020, from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08/680610/ 

  16. Joon-Peanut. (2016, November 13). Get ready with me. YouTube. Retrieved March 22, 2020,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ebpfpOdzXcs 

  17. Jung, J. M. (2008). A study on the post-subculture of youth culture - With an emphasis on fando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18. Kate, S., & Ruth A, S. (2005). Fashion and clothing: the construction and communication of gay ident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3(4), 310-323. doi:10.1108/09590550510593239 

  19. Kim, C. S., & Park, M. R. (2014). A study on the appearance care behaviors, clothing selection behaviors and clothing design preference of 20-30's korean men by the level of grooming,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2), 245-254. doi:10.5805/SFTI.2014.16.2.245 

  20. Kim, H. J. (2015a). A study on food porn as a sub-ulture - Centering on internet "Meokbang"(eating scene) in Afreeca TV. Institute of Humanities, Chosun university, 50, 433-455. 

  21. Kim, J. H. (2015b). A study on the sub-culture style in menswear coll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22. Kim, K. H., Lee, S. Y., Park, S. H., & Park, H. J. (2014). The effects of ceo's narcissism on corporate performance - The moderating role of ceo's tenur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54(0), 61-81. 

  23. Kisoo Kim. (2018, November 06). Recommendation of cushion foundation. YouTube. Retrieved March 22, 2020,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AZt-eftKptc 

  24. Kim, K. Y.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beauty creator in the one-man-media.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0(4), 29-35. 

  25. Kim, S. J., & Kim, E. S. (2019). Analysis on contents of beauty creator's in personal media - Focused on YouTube four-men creators such as LeoJ, Hoonion, Hwan'e and Wond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3), 37-53. doi:10.18208/ksdc.2019.25.3.37 

  26. Kim, Y. M., & Na, Y. Y. (2019). The effect of the success orientation of the appearance of adult men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 and pursuit of appearance impr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2), 79-91. 

  27. Lee, D. Y. (1997). 문화연구의 새로운 토픽들 [New topic of culture study]. Seoul:Moonhwagwahak. 

  28. Lee, H. N., & Lee, D. Y. (2020). A study on the subculture of Korean hip hop-Focusing on Dick Hebdige's subculture theory. Culture and Convergence. 42(1), 11-41. doi:10.33645/cnc.2020.01.42.1.11 

  29. Lee, H. S. (2019, May 30). 분야별 수입이 가장 많을 것 같은 유튜버는? [Which YouTuber is likely to earn the most?]. THE OUTSOURCING TIMES. Retrieved December 20, 2019, from http://www.outsourci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889 

  30. Lee, J. H. (2018, May 22). 김기수, 수입 개그맨 시절보다 줄어? "그래도 대기업 이사급" [Kimkisoo, less than when you were an import comedian? "still, he is a board member of a large company"]. GRAPHY. Retrieved December 21, 2019, from http://www.e-graph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60 

  31. Lee, M. S., & Kim, M. J. (2012). The characteristic of the clothing behavior of gay men according to gay identity -focusing on the dra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6), 1-18. doi:10.7233/jksc.2012.62.6.001 

  32. Mango couple. (2019a, September 28). The pros and cons of being a gay couple. YouTube. Retrieved March 20, 2020,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bBYVmwr-Dko 

  33. Mango couple. (2019b, December 04). Getting my boyfriend dressed. YouTube. Retrieved March 20,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SUsZR00-tZ8&t52s 

  34. Martha, L., Kevin, G., & Joe, D. (2010). The choking game and YouTube - A dangerous combination. Clinical Pediatrics, 49(3), 274-279. doi:10.1177/0009922809339203 

  35. Nana Youngrong Kim. (2019a, February 18). Drag queen Nana's direct answer. YouTube. Retrieved March 20, 2020,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5hoVnkuhqnw 

  36. Nana Youngrong Kim. (2019b, July 24). Reading nice and pretty comment of drag queen. YouTube. Retrieved March 20, 2020,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vowVhD8X2HY 

  37. Park, H. J.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neo-subcultural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University, Seoul. 

  38. Park, J. H. (2009). A comparative study on clothing styles of Korean and Japanese youth subcultures during the 200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9. Park, J. H. (2020). A study on lookism expressed in YouTube's fashion contents - Focused on videos and comments. Journal of fashion design, 20(1), 35-53. doi:10.18652/2020.20.1.3 

  40. Park, K, S., & Kim, S. Y. (2005). Metrosexual phenomenon in men's fashion. Chungnam Journal of Home Economics, 18(1), 30-40. 

  41. Son, J. Y. (2010). A study on sexuality shown in modern men's hair style - Centering on metro sexual, uber sexual, and cross sexual.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16(2), 333-340. 

  42. Spanos, B., Dickson, E., & Garber-paul, E. (2020, February 14). The viral videos that built YouTube. RollingStone. Retrieved February 20, 2020, from https://www.rollingstone.com/culture/culture-features/youtube-viral-videos-953263/ 

  43. Stake, R. E. (1981). Case study research methodology - An epistemological advocacy. Minneapolis: Minnesota Research and Evaluation Center. 272 

  44. Sung, Y. H. (2007). A study on the signification of "self-reflective images"realizaed through the video.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5. Tang, Q., Gu, B., & Whinston, A. (2012). Content contribution in social media: the case of YouTube. Proceedings of the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4476-4485. 

  46. Tsai, C. (2015). The persuasive effectiveness of mini-films - Narrative transportation and fantasy proneness.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14(1), 21-27. doi:10.1002/cb.1494 

  47. Yang, M. K. (2004). A study on the patterns of subcultureal fashion style.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ustume Design Association, 6(1), 46-54. 

  48. Yim, E. H., & Kim, M, J. (2003). A study of the subcultural style in the 199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Costume, 53(3), 13-31. 

  49. Yin, R. K.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 Thousand Oaka, CA: Sega. 

  50. Youth culture. (2008). Encyclopedia of children and childhood in history and society. Retrieved November 23, 2020, from https://www.encyclopedia.com/children/encyclopedias-almanacs-transcripts-and-maps/youth-culture20slab. (2018). Trend MZ 2019. Seoul: Hanbitbiz.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