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진 재해에 대한 시민들의 준비도 분석
Analysis of Korean Citizens' Preparedness for Earthquake Hazard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3 no.1, 2022년, pp.199 - 209  

이기영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하민수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한주 (강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창욱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한국 시민들의 지진 재해 준비도를 알아보기 위해 지진에 대한 지식, 인지, 대처의 3개 구인으로 구성된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비례 층화 표본 추출 방법으로 수집된 1,256명 시민의 응답을 라쉬분석, 추리통계, 군집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들의 지진 재해 준비도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시민들의 지진 재해 준비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지식과 인지에 비해 대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진 재해 준비도와 관련된 변인 분석 결과, 지진 재해 준비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성별, 교육 수준, 실제 거리, 안전 인식이 있었다. 셋째, 지진 재해 준비도의 3개 구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식, 인지, 대처 세 가지 구인은 높은 상관을 나타내 구조적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또한, 성별과 교육 수준이 달라도 이러한 구조적 상관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군집 분석 결과, 5개 유형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지진 재해 준비도 3개 구인의 수준이 중간 정도로 서로 비슷한 집단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민들의 지진 재해 준비도 함양을 위한 교육의 지향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eparedness of Korean citizens for earthquake hazard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n the preparedness of citizens for earthquake hazards, consisting of three constructs (knowledge, awareness, and management). A total of 1,256 citizen responses were...

주제어

참고문헌 (18)

  1. Antronico, L., Coscarelli, R., De Pascale, F., & Condino, F., 2019, Social perception of geo-hydrological risk in the context of urban disaster risk reduction: A comparison between experts and population in an area of southern Italy. Sustainability, 11, 2061; doi:10.3390/su11072061. 

  2. Bond, T. G. & Fox, C. M., 2001,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 Boone, W. J., Staver, J. R., & Yale, M. S., 2014, Rasch Analysis in the Human Sciences. Dordrecht Springer. 

  4. Chan E., Yue J, Lee P., & Wang S., 2016, Socio-demographic Predictors for Urban Community Disaster Health Risk Perception and Household Based Preparedness in a Chinese Urban City. PLOS Currents Disasters. Edition 1. doi:10.1371/currents.dis.287fb7fee6f9f4521af441a236c2d519. 

  5. Dowling, C., & Santi, P., 2104, Debris flows and their toll on human life: A global analysis of debris-flow fatalities from 1950 to 2011. Natural Hazards, 71, 203-227. 

  6. Han, J., Nur, A.S., Syifa, M., Ha, M., Lee, C.-W., & Lee, K.-Y., 2021, Improvement of Earthquake Risk Awareness and Seismic Literacy of Korean Citizens through Earthquake Vulnerability Map from the 2017 Pohang Earthquake, South Korea. Remote Sens, 13, 1365. https://doi.org/10.3390/rs13071365 

  7. Heo, S., & Chang, B., 2010, A sample survey design for service satisfaction evaluation of regional education offices. Journal of the Korean D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4), 669-679. (in Korean). 

  8. Keller, E., & Boldgett, R., 2008, Natural Hazards: Earth's Processes as Hazards, Disasters, and Catastrophes. Pearson/Prentice Hall. 

  9.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21, Earthquake. Geology, Resourses, & Human, 182. (in Korean). 

  10. Liang, W., Chen, K, Wu, Y, & Chang, C., 2016, Earthquake School in the Cloud: Citizen Seismologists in Taiwan,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87(1), 1-9. 

  11. McLennan, J., Marques, M. D., & Every, D., 2020, Conceptualising and measuring psychological preparedness for disaster: The Psychological Preparedness for Disaster Threat Scale. Natural Hazards, 101(1), 297-307. 

  12.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in Korean). 

  13. Nam, S., 2018, Earth in crisis, human being who has nowhere to back down. 21 Century Books. (in Korean). 

  14. Neumann, I., Neumann, K., & Nehm, R., 2011, Evaluating instrument quality in science education: Rasch?based analyses of a nature of science tes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0), 1373-1405. 

  15. Santos-Reyes, J., Gouzeva, T., & Santos-Reyes, G., 2014, Earthquake risk perception and Mexico City's public safety. Procedia Engineering, 84, 662-671. 

  16. Song, H., & Kim, W., 2013, Effects of risk characteristic and risk perception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4), 198-207. (in Korean) 

  17. Tanaka, K., 2005, The impact of disaster education on public preparation and mitigation for earthquakes: a cross-country comparison between Fukui, Japan and the San Francisco Bay Area, California, USA. Applied Geography, 25(3), 201-225. 

  18.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and Disaster Reduction (UNISDR), 2009, UNISDR Terminology on Disaster Risk Reduction. Geneva, Switzerlan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