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탐구 기능을 강화한 수업이 중학생의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lasses with Enhanced Science Process Skills on Inquiry Ability and Science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5 no.1, 2022년, pp.1 - 15  

김현리 (대전중학교) ,  손준호 (태봉초등학교)

초록

COVID-19로 인해 갑작스럽게 원격 수업이 도입되고 수업 시수 경감 등의 이유로 성취기준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과학 탐구 기능에 관한 내용을 제대로 학습하지 않고 중학생이 된 학습자들은 탐구 기능에 대한 이해가 미흡하여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탐구 기능을 강화한 학습지를 개발하고, 이를 온·오프라인으로 체계적인 연계를 강조한 학생 참여형 배움 중심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연구 결과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과학 수업 시간에 과학 교과의 기초가 되는 탐구 기능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탐구 기능 요소를 경험할 수 있는 학생 참여형 배움 중심 수업이 확산하길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situation in which online classes were suddenly introduced due to COVID-19, there were many cases where learners did not properly learn science process skills that were not pres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reasons such as reducing the number of class hours. It is difficult to expect p...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30)

  1. 권선아(2018). 4차 산업혁명기반 미래 대학의 교수학습방법 및 대학교수 역량에 대한 현직 교수 인식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2), 179-188. 

  2. 김성운, 양일호, 임성만(2020). COVID-19 상황에서 초등과학 전담 교사의 수업 운영 실태 및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317-329. 

  3. 김소라(2019). 귀추법 활용 가설 생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개념 이해와 가설 설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수경, 김명숙, 이은경, 하민수, 김동훈, 김중복, 차희영, 김성하, 강성주, 김정률(2007). 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163-177. 

  5. 김위정(2020). 코로나19가 던진 교육격차 문제와 과제(특별기획 2020 겨울호 241호). 서울교육. 

  6. 김재웅(2017). 과학사 도입 수업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기영역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희경, 박보화, 이봉우(2007).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 탐구 과정 분석: 분류, 예상 및 추리 탐구 요소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6(5), 499-508. 

  8. 류태호(2017).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9. 박종원(2009).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 준비와 유형에 대한 논의. 과학영재교육, 1(3), 1-19. 

  10.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2005). 성공적인 중학과학 탐구수업을 위한 길라잡이 자료. 

  11. 손준호(2014). 초등과학 수업에서 진단 및 형성평가를 위한 앱 개발과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손준호, 노자헌, 조재형, 송진여, 정지현, 김종희(2019). 중등과학영재 학생의 탐구 사고력 향상을 위한 R & E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94-108. 

  13. 신명준, 하지훈, 이성희(2016).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인식과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59-166. 

  14. 신형석, 정용재, 설양환(2018). 국내 예비교원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1-30. 

  15. 오필석(2020). 과학 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141-150. 

  16. 유모경, 조희형(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94-504. 

  17. 이용섭(2020). 원격과학수업의 활용도 및 문제점, 학습자 행동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2), 175-185. 

  18. 이정민, 노지예, 정연화(2016).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된 플립러닝의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3), 263-272. 

  19. 이정수, 정영란(2014).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과학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5), 491-497. 

  20. 이현래, 김범기(2005). 중학생의 학습양식 유형에 따른 과학탐구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41-546. 

  21. 이혜정(2008). Blended e-Learning 교수전략. 서울: 교육과학사. 

  22. 임성만(2019). 예비교사들은 삼엽충 분류활동 중에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40-53. 

  23. 조영생(2022). 머신 러닝을 활용한 초등 과학영재 대상 암석 표본 관찰 및 분류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조용문(2011). 지역공동 영재학급 학생을 위한 탐구중심학습 모듈 개발 및 적용: 물질의 변화와 열 출입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조은경(2018). 과학적 의문생성을 위한 관찰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우현(2009). 중등 과학 교사들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활용 실태와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Furtak, E. M., & Penuel, W. R. (2019). Coming to terms: Addressing the persistence of "hands-on" and other reform terminology in the era of science as practice. Science Education, 103(1), 167-186. 

  28. Hokayem, H., & Gotwals, A. W. (2017). Early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complex ecosystems: A learning progression approa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3, 1524-1545. 

  29. Jeong, J. S., Gonzalez, G. D., Canada, C. F., Gallego, P. A., & Bravo, J. C. (2019). Effects of active learning methodologies on the students' emotions, self-efficacy beliefs and learning outcomes in a science distance learning course. Journal of Technology and Science Education, 9(2), 217-227. 

  30. Mulenga, E. M., & Marban, J. M. (2020). Prospective teachers' online learning mathematics activities in the age of COVID-19: A cluster analysis approach.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6(9), em187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