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수추출 Geranium Maculatum extract (와일드제라늄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염효과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eranium Maculatum extract" Water Extrac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2 no.3, 2022년, pp.244 - 251  

최인정 (meeth 기업부설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FRAP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세포실험에서는 B16F10 cell과 RAW 264.7 cell을 사용하여 세포독성 실험과 미백실험, 항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DPPH에서는 265.8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168.5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와일드제라늄 추출물 1 mg의 환원력과 ascorbic acid 229±9 ㎍의 환원력이 같음을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농도는 32.989±1.610 mg/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11.098±0.261 mg/g이었다. 세포실험에서는 실험 농도 범위에서 80% 이상의 세포가 생존하여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은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백활성 실험에서는 농도에 따라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100 ㎍/mL에서 40.62±2.07%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였다. 항염활성 실험에서도 농도에 따라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100 ㎍/mL에서 27.86±2.82%의 염증 억제능을 보여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Geranium maculatum extract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For this, DPPH, ABTS and FRAP assays were performed to asses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o evaluate antioxidant substances, in addition, polyphenol and flavonoid concentrations wer...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7)

  1. M. S. Kwak. (2017).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for wrinkle improvement. The Korea Beauty Art Management Association, 11(2), 1-19. DOI : 10.22156/CS4SMB.2021.11.06.181 

  2. N. M. Kyung & T. B. Choe. (2015). Study on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Ginkgetin and Isoginkgetin as a cosmetic ingredient from Ginko biloba leaves.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2(2), 248-259. DOI : 10.12925/jkocs.2015.32.2.248 

  3. S. M. Lee. (2018). Inhibitory Effect of Geranium oil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8(3), 407-414. 

  4. V. J. Thannickal & B. L. Fanburg. (2000).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 signaling.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79, 1005-1029. DOI : 10.1152/ajplung.2000.279.6.L1005 

  5. V. Afonso, R. Champy, D. Mitrovic, P. I. Collin & A. Lomri. (2007). Reactive oxygen species and superoxide dismutases role in joint diseases, Joint Bone Spine, 74, 324. DOI : 10.1016/j.jbspin.2007.02.002 

  6. B. Eberlein-Konig, M. Placzek & B. Przybilla. (1998). Protective effect against sunburn of combined systemic ascorbic acid(vitamin C) and d-α-tocopherol(vitamin E). J Am Acad Dermatol, 38, 45-48. DOI : 10.1016/s0190-9622(98)70537-7 

  7. S. Y. Choi, Y. C. Kim & B. S. Chang. (2011). Inhibitory efficacy of black tea water extract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and its action mechanisms. Korean J Microscopy, 41, 169-77. 

  8. R. Ballotti. (2000).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3, 60-69. DOI : 10.1034/j.1600-0749.2000.130203.x 

  9. S. E. Kim, Y. H. Kim & J. T. Lee.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icacy of Ethanolic Extract of Herb Complex (Oenothera laciniata, Phellinus lint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0(1), 27-33. DOI : 10.15810/jic.2014.10.1.004 

  10. S. H. Byun, C. H. Yang & S. C. Kim. (2005). Inhibitory effect of Scrophulariae Radix extract on TNF-α, IL-1β, IL-6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activated Raw 264.7 cells.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 7-16. 

  11. R. Radi, J. S. Beckman, K. M. Bush & B. A. Freeman. (1991). Peroxynitrite oxidation of sulfhydryls, the cytotoxic potential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6, 4244-4250. DOI : 10.1016/S0021-9258(20)64313-7 

  12. M. S. Bloi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4617), 1199-1200. DOI : 10.1038/1811199a0 

  13.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9-10), 1231-1237. DOI : 10.1016/S0891-5849(98)00315-3 

  14. E. K. Han, J. Y. Lee, E. J. Jung, Y. X. Jin & C. K. Chung.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11), 1580-1586. DOI : 10.1016/S0891-5849(98)00315-3 

  15. D. S. Kim, M. H. Choi & H. J. Shin. (2018).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bamboo leaves with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Journal of Advanced Engineering and Technology, 11(1), 7-13. DOI : 10.35272/jaet.2018.11.1.7 

  16. K. H. Im, S. A. Baek, J. Choi & T. S. Lee. (2019). Antioxidant, anti-melanogenic and anti-wrinkle effects of Phellinus vaninii. Mycobiology, 47(4), 494-505. DOI : 10.1080/12298093.2019.1673595 

  17. Y. J. Koh, Y. K. Park, Y. S. Kim, D. S. Cha, D. S. & H. D. Choi. (2009). Preparation of hot water extracts of dandelion leaves to increase anti-inflammatory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3), 391-395. DOI : 10.3746/jkfn.2009.38.3.39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