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백활성을 가진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MAX.)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써 연구
A Study on the Cosmetic Materials of Abies nephrolepis MAX. Extracts with Whitening Activity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2 no.6, 2022년, pp.430 - 437  

오민정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  염현지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  채정우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  이진영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분비나무의 생리활성 및 미백 활성을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분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각각 1,000 ㎍/ml 농도에서 89.4%, 90.9%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두 추출물 모두 1,000 ㎍/ml에서 약 9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은 1,000 ㎍/ml에서 각각 48.5%, 31.1%의 저해율을 나타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 농도구간이 500 ㎍/ml 일 때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은 98.3%, 94.4%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세포 관련 실험을 세포의 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25, 50, 100 ㎍/ml 농도로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에 분비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 추출물은 TRP-1과 tyrosinase,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MITF의 인자에서 대조군인 kojic acid 보다 단백질 발현 억제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16F10 세포에 분비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높아질수록 mRNA 발현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비나무 줄기 추출물은 tyrosinase의 인자에서 모든 농도구간이 대조군인 kojic acid 보다 mRNA 발현 억제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분비나무 추출물의 우수한 미백활성을 확인하였고, 기능성 활성이 우수하여 화장품 천연물 및 기능성 소재로써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a study on the whitening activity of Abies nephrolepis MAX. extracts.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70% ethanol extracts from A. nephrolepis MAX. Stem (AN-S) and A. nephrolepis MAX. Leaf (AN-L) were found to be 89.4% and 90.9% at 1,000 ㎍/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ir A...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의 미백관련 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 인자의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RT-PCR을 실시하였다. 이때 GAPDH을세포의 다양한 조건에서도 발현의 정도 차이가 매우 적은 house keeping gene인 positive control로 사용하였으며, mRNA 발현 억제를 Fig.
  •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ies) 측정을 위해 Blois의 방법[1]을 변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 1-di- phenyl-2-picrylhydrazyl (DPPH) 60 μl와 추출물을 120 μ l 씩 넣어 혼합 후 15분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 사용된 분비나무는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에서 2020년 9월에 채취하여 70% 에탄올 추출을 하였다. 채취한 시료를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70% 에탄올을 시료 무게의 10배로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시켜 추출하였다.

이론/모형

  • 미백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Yagi 등의 방법[18]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pH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120. 

  2. Carmichael, J., DeGraff,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tchell, H.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3. Choi, C. S., Song, E. S., Kim, J. S. and Kang, M. H.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5, 1216-1220. 

  4. Choi, S. Y., Kim, Y. C. and Chang, B. S. 2011. Inhibitory efficacy of black tea water extract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and its action mechanisms. Kor. J. Microscopy 41, 169-177. 

  5. Fitzpatrick, T. B. and Bresthnach, A. S. 1963. The epidermal melanin unit system. Dermatol. Wochenschr. 147, 481-489. 

  6. Halaban, R., Langdon, R., Birchall, N., Cuono, C., Baird, A., Scott, G., Moellmann, G. and McGuire, J. 1988.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from human keratinocytes is a natural mitogen for melanocytes. J. Cell Biol. 107, 1611-1619. 

  7. Han, H. S., Park, J. H., Choi, H. J., Son, J. H., Kim, Y. H., Kim, S. and Choi, C. 2004. Biochemical analysi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perilla leaves. J. Kor. Soc. Food Cult. 19, 94-105. 

  8. Imokawa, G. and Mishima, Y. 198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yrosinae inhibitors and their differential action on melanogenic subcellular compartments in amelanotic and melanomas. Br. J. Dermatol. 103, 625-634. 

  9. Imokawa, G. and Mishima, Y. 1981.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yrosinae inhibitors using tyrosinase binding affinity chromatography. Br. J. Dermatol. 104, 531-539. 

  10. Jeong, Y. J. 2011. Kinetic Analysis on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Whitening Agents. Master's Thesis Dissertation, Soongsil Univ. Seoul, Korea. 

  11. Kang, Y. H., Park, Y. K. and Lee, G. 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2. Kim, E. H. 2006. A study of whitening cosmetics from natural products. Asian J. Beauty Cosmetol. 4, 195-204. 

  13. Kim, Y. E., Yang, J. W., Lee, C. H. and Kwon, E. K. 2009.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J. Kor. Soc. Food Sci. Nutr. 38, 555-560. 

  14. Lee, J. Y., Im, K. R., Jung, T. K. and Yoon, K. S. 2013. The Inhibitory Effects of Alnus Japonica Steud. Extract on Melanogenesis. J. Soc. Cosmet. Sci. Korea 39, 159-166. 

  15. Park, H. C., Lee, J. H., Lee, G. G. and Um, G. J. 2015.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 distribution areas and climate sensitivity assesment of Korean Fir and Khinghan Fir. J. EIA. 24, 260-277. 

  16. Parvze, S., Kang, M., Chung, W. S., Cho, C., Hong. M. C., Shin, M. K. and Bae, H. 2006. Survey and mechanism of skin depigmenting and lightening agents. Phytother. Res. 20, 921-934. 

  1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8.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1987.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 53, 515-5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