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 및 B16F10 세포의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an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n Ethyl Acetate Fraction from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2 no.3, 2022년, pp.222 - 231  

염현지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  오민정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  채정우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  이진영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의 미백 및 항염증 활성 검증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자공여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최고 농도인 1,000 ㎍/ml에서 각각 89.6%, 88.7%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최고 농도인 1,000 ㎍/ml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은 22.3%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멜라노마 세포와 대식세포에 대해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을 처리한 모든 구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의 단백질 및 mRNA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한 western blot과 RT-PCR의 농도구간은 25, 50, 100 ㎍/ml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미백관련 인자 MITF와 TRP-2의 단백질 발현 억제율이 대조군인 kojic acid에 비해 우수하였고, tyrosinase에 대해서는 100 ㎍/ml에서 29.1%의 가장 낮은 발현량을 보여 매우 뛰어난 mRNA 발현 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o-inflammatory cytokine인 IL-1β, IL-6 및 TNF-α의 단백질 및 mRNA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IL-6와 TNF-α의 인자가 같은 농도의 대조군인 Vit. C에 비해 높은 단백질 및 mRNA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이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화장품에 천연 소재로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as a cosmetic material material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n ethyl acetate fraction from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GHEA). The observed electron donatin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 긴병꽃풀의 정유에 대한 연구 결과[17, 26]와 금전초 관련으로는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10], 염증성 세포 활성들 의 생성 조절에 관한 연구[20] 등의 다양한 연구결과가 있으나, 긴병꽃풀의 특정 분획물에 대한 기능성 활성 관련 연구는 미 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긴병꽃풀의 ethyl acetate 분획 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기 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120. 

  2. Carmichael, J., DeGraff,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tchell, H.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3. Cho, Y. H., Kim, H. J., Kim, D. I., Jang, J. Y., Kwak, J. H., Shin, Y. H., Cho, Y. G. and An, B. J. 2015. Effect of garlic (Allium sativum L.) stems on inflammatory cytokines, iNOS and COX-2 expressions in Raw 264.7 cell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Kor. J. Food Preserv. 22, 613-621. 

  4. Chun, H. J., Hwang, S. G., Lee, J. S., Baek, S. H., Jeon, B. H. and Woo, W. H. 2002. Inhibitory effects of butyl alcohol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Kor. J. Pharmacogn. 33, 130-136. 

  5. Hwang, C. R., Shin, J. H., Kang, M. J., Lee, S. J. and Sung, N. J. 2012.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red garlic. J. Life Sci. 22, 950-957 

  6. Hyun, J. M., Park, K. J., Kim, S. S., Park, S. M., Lee, Y. J. and An, H. J. 2015.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the peel of the native Jeju citrus 'Hongkyool' and 'Pyunkyool'. J. Life Sci. 25, 1132-1138. 

  7. Jeong, S. J., Kim, K. H. and Yook, H. S. 2015.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hot-air dried Allium hookeri. J. Kor. Soc. Food Sci. Nutr. 44, 832-839. 

  8. Jo, J. B., Kim, M. U., Lee, E. H., Kim, Y. J., Cho, E. B., Kang, I. K. and Cho, Y. J. 2018.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from Matricaria chamomilla L. with B16F10 melanoma cells. J. Appl. Biol. Chem. 61, 267-273. 

  9. Jun, Y. J., Lee, S., Heo, S. and Jin, B. S. 2019.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ts from Nipa palm, Molokhia, and Finger root for cosmetic ingredients. J. Kor. Appl. Sci. Technol. 36, 821-829. 

  10. Kim, A. R., Jung, M. C., Jeong, H. I., Song, D. G., Seo, Y. B., Jeon, Y. H., Park, S. H., Shin, H. S., Lee, S. L. and Park, S. N. 2018.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Lysimachia christinae Hance extract and fractions. Appl. Chem. Eng. 29, 176-184. 

  11. Kim, D. H., Moon, Y. S., Park, T. S., Hwang, J. Y. and Son, J. H. 2013. Potent whitening activity of Aruncus dioicus extract in B16F10 melanoma cell by suppression of melanin biosynthesis. Kor. J. Hort. Sci. Technol. 31, 813-820. 

  12. Kim, H. S. and Ko, K. S. 2020.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inseng berry ethanol extracts as a cosmetic ingredient. Asian J. Beauty Cosmetol. 18, 389-387. 

  13. Kim, M. K. and Kim, D. Y. 2015. Anti-inflammatory effect of barley leaf ethanol extract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 Kor. J. Food Preserv. 22, 735-743. 

  14. Kim, M. S., Kim, K. H. and Yook, H. S. 2012. Antioxidative effects of Campanula takesimana Nakai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41, 1331-1337. 

  15. Kim, O. K. 2004. Antidiabetic effect of Glechoma hederacea LINNAE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 J. Pharmacogn. 34, 300-308. 

  16. Kim, P. K., Jung, K. I., Choi, Y. J. and Gal, S. W. 2017.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mon myrtle (Backhousia citriodora) leaf extracts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J. Life Sci. 27, 986-993. 

  17. Kim, S., Kim, H. Y., Hwang, K. H. and Chun, I. J. 2008. Herb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Glechoma hederacea. Kor. J. Weed Sci. 28, 152-160. 

  18. Lee, E. J., Seo, Y. M., Kim, Y. H., Chung, C., Sung, H. J., Sohn, H. Y., Park, J. Y. and Kim, J. S. 2019.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dried Lettuce (Lactuca sativa L.). J. Life Sci. 29, 325-331. 

  19. Lee, G. W., Lee, J. Y. and Cho, Y. H. 2010. Whitening effect of the extracts from Juglans mandshurica. KSBB J. 25, 18-24. 

  20. Lee, H. J. 2004. Inhibitory effect of nitric oxide productionof Lysimachiae christinae. Master's Thesis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Jeonrabukdo, Korea. 

  21. Lee, H. J. and Lim, M. H. 2020. Whitening activities of extracts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J. Kor. Appl. Sci. Technol. 37, 241-249. 

  22. Lim, S. B., Park, K. T., Lee, E. H., Kim, B. O., Lee, S. H., Kang, I. K. and Cho, Y. J.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y of Yanggaeng with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powder. Kor. J. Food Preserv. 24, 206-214. 

  23. Lee, S. H., Kim, S. Y., Kim, J. J., Jang, T. S. and Chung, S. R. 1999. The isolation of the inhibitory constitutents on melanin polymer formation from the leaves of Cercis chinensis. Kor. J. Pharmacogn. 30, 397-403. 

  24. Oh, H. K. 2020.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Ixeris dentata according to extract methods. J. Kor. Appl. Sci. Technol. 37, 1567-1574. 

  25. Park, S. J., Kwon, S. P. and Rha, Y. A. 2017.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ruit. J. Kor. Soc. Food Sci. Nutr. 46, 1158-1163. 

  26. Park, Y. H., Lim, S. H., Kim, H. Y., Kim, K. H. and Kim, S. 2009. Comparison of compounds on the essential oil in G.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by fertilizer treatment. Kor. J. Hort. Sci. Technol. 27, 171. 

  2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8. Sim, J. H., Lee, K. M., Park, T., Kang, M. S., Hong, H. and Kim, S. Y. 2021. Biorenovation-assisted modifiction of Ligustrum japonicum extract for skin-whitening effect. KSBB J. 36, 30-35. 

  29. Woo, H. S., Lee, S. M., Heo, J. D., Lee, M. S., Kim, Y. S. and Kim, D. W. 2018.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of Hovenia dulcis on lipopolysaccharides-stimulated RAW 264.7 cells. Kor. J. Plant Res. 31, 466-477. 

  30.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1987.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 53, 515-517. 

  31. You, S. H. 2017.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J. Oil Appl. Sci. 34, 296-304. 

  32. Yu, H. A. and Kim, C. D. 2017. Applicability of Lindera obtusiloba flower extracts as cosmetic ingredients. Asian J. Beauty Cosmetol. 15, 132-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