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내 주상복합건축물의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 부산시 '경성대·부경대역' 일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Revitalization for Public Open Space of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in Busan City : Focused on 'Kyungsung Univ.·Bukyung Nat'l Univ. Station'-are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3 no.3, 2022년, pp.163 - 172  

최강림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실내건축학과.대학원 도시재생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주상복합 건축물의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계획 및 설계 방법론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부산시의 "경성대·부경대역' 일대의 주상복합건축물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틀은 공간구성·공개공지 가로시설물·공개공지 이용행태·가로와의 연계성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의 접근이 용이한 개방된 위치에 실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비어있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필요하다. 둘째, 사람들의 이용을 고려하여 실제적으로 휴식에 이용될 수 있는 가로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일반인의 접근 및 이용행태를 고려한 계획 및 설계와 이를 통한 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 넷째, 가로와 공개공지의 통합과 이를 통한 가로와의 연계성에 있어서의 상승효과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in the planning and design methodology for revitalization of public spaces for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For the purpose, I have taken a literature research and a site analysis with cases of 'Kyungsung Univ.·Bukyung Nat'l Univ. Statio...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15)

  1. D. H. Im, C. H. Park & J. H. Koo. (2014).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omponents of Public Open Space Owned by Private Sector and Behavior Types of User - Focused on the Teheran-Road District Unit Plan Area in the Gangnam-Gu,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5(4), 79-90. 

  2. Public Open Space Guideline for Busan. Busan Metropolitan City. (2014). Design Guideline for Public Open Space in Busan, Busan. 

  3. Y. K. lee & K. H. Kim. (2016). Mixed Use Residential Functio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Four Elements of PUD - Focused on the Mixed Use Residential Building Comparison of the First Phase New Town and the Second Phase New Tow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7(6), 99-113. 

  4. J. E. Choi, J. H. Shim. & M. G. Sohn. (2006). Myung-Gi A Study of the Connectivity of the Public Space and Entrance Circulation in the Mixed-Use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2(12), 179-186. 

  5. Edaily. T. J. Park. (2016. 12. 23). Expanding the target of relaxation of building standards when installing public open spaces for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Edaily. 

  6. KIRA Newspaper. Y. H. Jang. (2017. 1. 14). Floor area ratio incentives when installing public open spaces for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with more than 300 households, Ancnews. 

  7. M. J. Kim & S. W. Yang.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ypology between Publicly-Owned and Privately-Owned Public Open Spaces - Focusing on the Special Planning Districts in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6(4), 73-84. 

  8. H. C. Choi. & C. Y. Kim. (2017). A Study on the Currently States and Improvement of Public Open Space in Daegu.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8(1), 5-17. 

  9. S. H. Lee. & J. S. Lee. (2016). A Study of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Floor Area Ratio Incentive for Securing Public Open Space - A Case of Knowledge Industry Center in Seongdong-gu, Seoul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2(11), 47-56. 

  10. J. H. Lee. & I. Choi. (2001). Design Guidelines for Pubic Open Space Based on the Analysis of its Design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6(1), 73-97. 

  11. D. B. Chae, J. H. Lee. & H. Y. Song. (2010). An Analysis of Important Design Factors for Rising of Qualitative Level and Revitalization in the Public Open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3), 95-104. 

  12. D. J. Kim. (2019). Improvement plan of Remodeled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by Microclimate Analysis - Focused on W Center in Geumcheon-gu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9(6), 41-47. 

  13. H. S. Park, S. J. Park. & S. B. Kim. (2014). Modeling the Design Impacts of Quasi-Public Intermediate Zones on Pedestrian Activities Around High-Rise Residential Complexe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5(3), 73-89. 

  14. S. K. Lee, S. H. Oh. & J. G. Oh. (2014). Study on Utilization between Layout Plan Elements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and Land Shape in Apartment type Factory-Focusing on apartment type factory in western Seoul-. Journal of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2), 1140-1148. 

  15. M. H. Choi & Y. K. Park. (2008). A Study on the Public Accessibility for a Lower Part of Urban Super Hign Ris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2), 101-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