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격 수액모니터링 시스템의 주입량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융합인자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usion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injection amount of remote fluid monitoring system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3 no.3, 2022년, pp.125 - 131  

김선칠 (계명대학교 의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는 COVID-19 인해 의료기관에서 원격으로 관리되는 환자케어 시스템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수액 모니터링인 경우 환자의 안전과 간호사의 업무를 줄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병원에서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제품은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 방식과 적외선 센싱으로 수액 방울을 검출하는 방식의 두 가지 제품이 있다. 각 제품은 동작원리, 센서의 종류, 크기, 사용법, 가격등의 차이가 있지만, 의료기관에서는 획득되는 데이터의 정확도에 관심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 방식이 다른 두 가지 시제품을 제작하여 수액모니터링 장치의 핵심인 정확도를 실험하기 위해 시간당 총 수액량을 측정하였다. 또 외부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 수액 측정값의 변화를 실험하여 측정방식에 따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두 장치의 측정값 오차는 5% 미만의 차이가 있었고, 로드셀 방식은 저용량 측정값에서 적외선 방식은 고용량 측정값에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수액모니터링장치의 센서방식에 따른 정확도 차이는 거의 없었고, 향후 의료기관에서 사용할 경우 정확도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prevalence of remotely managed patient care systems in medical institutions is increasing due to COVID-19.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luid monitoring, hospitals are considering introducing it as a system that can reduce patient safety and nurses' work. There are two products under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5)

  1. J. H. Kim, S. J. Kim, E. T. Park, S. Y. Jeong & E. H. Lee. (2017). Policy Issues and New Direction for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312-322. J Korean Acad Nurs Adm 21(3), 287-296. DOI : 10.11111/jkana.2017.23.3.312 

  2. S. Y. Oh & D. H Kym, (2020). Serum Lactate, Creatinine and Urine Output: Early Predictors of Mortality after Initial Fluid Resuscitation in Severe Burn Patients, 20.0008,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23-(1), 1-6. DOI : 10.47955/jkbs.20.0008 

  3. J. H Park, (2020). Adaptation of VR 360-degree Intravenous Infusion Educational Content for Nursing Students. 165-17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4), 165-170. DOI : 10.17703/JCCT.2020.6.4.165 

  4. E. Y. Noh, Y. J. Chai, H. J. kim, E. J. kim & Y. H. Park (2021). Nurses'Experience with Caring for COVID-19 Patients in a Negative Pressure Room Amid the Pandemic Situation, J Korean Acad Nurs, 51(5), 585. DOI : 10.4040/jkan.21148 

  5. H. Quang Thinh N. Thanh Phuong Nguyen & H. Nguyen. (2020). Research on a Low-Cost, Open-Source, and Remote Monitoring Data Collector to Predict Livestock's Habits Based on Location and Auditory Information: A Case Study from Vietnam, Agriculture, 10(180). DOI : 10.3390/agriculture10050180 

  6. A. McGarr. (2014). Maximum magnitude earthquakes induced by fluid injection, Agu, 119(2). DOI : 10.1002/2013JB010597 

  7. D. P. Lee (2019). Current Status of Medical Disputes, Prospects and Cautions.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94(3), 231. DOI : 10.3904/kjm.2019.94.3.231 

  8. J. KATAOKA, M. SASAKI & K. KANDA. (2011). Effects of mental workload on nurses' visual behaviors during infusion pump operation,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8(47-56). DOI : 10.1111/j.1742-7924.2010.00158.x 

  9. Y. MAJIMA, Y TAMURA, Y. MAEKAWA, M OHIRA & M IKEGAWA. (2009). Survey of Actual Conditions of Reasons for Nurse Calls: Comparing a Surgical Ward and a Medical Ward, Connecting Health and Humans. DOI : 10.3233/978-1-60750-024-7-419, 

  10. O. O. E. Ajibola, O. O. Sunday & D. O. Eyehorua. (2018). (2018). Development of Automated Intravenous Blood Inf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Load Cell SensorJ. Environ. Manage, 22(10), 1557-1561. DOI : 10.4314/jasem.v22i10.04 

  11. Y. C. Kim, Sheikh Faisal Ahmad & H. D. Kim(2017). Intravenous Infusion Monitoring Sensor Based on Longitudinal Electric Field Proximity Sensing Technique,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26(2), 101-106. DOI : 10.5369/JSST.2017.26.2.101 

  12. Y. Zhang, S. F. Zhang, Y. Ji & G. X. Wu. (2011). Wireless sensor network-enabled intravenous infusion monitoring, IET Wirel sens 1(4), 241-247. DOI : 10.1049/iet-wss.2011.0031 

  13. X. Wen. (2008). Design of Medical Infusion Monitor and Protec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DOI : 10.1109/IITA.2008.47 

  14. I. S. Jung. (2017). Convergence Study on Ability and Accuracy in Drug Dose Calculation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3), 123-131. DOI : 10.15207/JKCS.2017.8.3.123 

  15. H. S. Park, T. Y. Kim, E. S. Jung, K. W. Seong, M. N. Kim & J. H Cho. (2015). Optical Sensor of Coplanar Structure Study and Design for Intravenous Solution Exhaustion Alarm System,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24(2), 113-118. DOI : 10.5369/JSST.2015.24.2.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