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드셀과 자이로센서를 융합한 수액 감지 시스템 설계 및 오차 검증
Design and Error Verification of Intravenous Injection Detection System that Combines Load Cell and Gyro Senso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1, 2021년, pp.127 - 132  

김선칠 (계명대학교 의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은 원격으로 환자에게 투입된 수액량과 투여의 종료시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수액 투입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액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정량을 무게로 혹은 유량을 측정센서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되는 장치의 기준은 정확성, 경계성이다. 또한 소형으로 환자에게 수액 설치시 사용에 용이해야 한다. 의료기관에서는 측정값의 정확도가 높아야 하며, 경제적으로 저가의 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소형 무게 중심 로드셀 센서를 적용하였으며, 측정값의 정확도를 위해 자이로센서와 융합하여 외부 움직임에 의한 아트펙트를 줄이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측정의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수액 모니터링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ravenous injection monitoring system used by medical institutions was developed to remotely provide patients with the amount of intravenous injected and the termination point of the injection. In o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intravenous injection input, the weight or flow rate of the level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의 업무 조절과 간병인 및 보호자의 효율적인 환자 관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로드셀과 자이로센서를 융합 사용하여 2% 이내의 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동시에 효과성도 검증하였다.
  • 기존 수액모니터링 제품을 분석한 결과 모두 고가이고 부피가 커서 경제성과 이동성, 부착성 등에 어려움이 있으며, 무엇보다 정확성과 측정 오차를 줄이는 방법에 대한 제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8].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기본적으로 무게 중심의 수액 용량을 계산하고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센서 측정값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 제안하였다. 수액의 투입 종료시점과 투입시간에 대한 시간 투입정보를 시각화하여 얻는 방법이 기존 방법이라면 본 연구에서는 무게중심의 원리를 적용하여 시간 대비 용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관찰하고자 한다.
  • [12, 13] 탄성체의 물리적인 변형정도를 저항으로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를 이용하여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는 측정 계량 정밀도가 높으면 부피 및 무게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드 셀을 이용하여 초기의 수액 무게를 측정 입력하는 표준 데이터를 정하고 이후에 변화하는 무게로 잔여 수액의 양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시간을 적용하는 방법보다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수액 시스템의 가장 문제점은 정확성과 경제성이다.
  • 본 연구 개발기술은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센서로 투입 수액의 잔량을 확인하는데 적용하고자 한다. 먼저 센서로 수액 무게를 측정하여 전달하면 제어부의 프로그램에서 전기 신호로 재해석하면 무게 단위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수액 잔량으로 환산하는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정보를 기입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 수액의 투입 종료시점과 투입시간에 대한 시간 투입정보를 시각화하여 얻는 방법이 기존 방법이라면 본 연구에서는 무게중심의 원리를 적용하여 시간 대비 용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관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에서 중요한 문제는 수액 시스템에 전달되는 움직임의 노이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바닥에서 1.
  • 본 연구에서는 수액의 주입방식을 고려하여 이동 휴대용 거치대를 통해 수액을 투여할 경우 로드셀과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투입량에 대한 오차를 줄이는 정량 측정 개선 연구방법을 제시하여 본 장치의 설계방식을 제안하고자 동일한 조건으로 센서의 측정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 따라서 간호사의 업무를 줄이기 위해 수액주사에 대한 원격 전산 모니터링을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시간관리 및 주입량 조절에 기술개발도 필요하다[7].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무게중심의 로드셀 센서를 이용한 수액 원격감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기존 수액모니터링 제품을 분석한 결과 모두 고가이고 부피가 커서 경제성과 이동성, 부착성 등에 어려움이 있으며, 무엇보다 정확성과 측정 오차를 줄이는 방법에 대한 제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8].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기본적으로 무게 중심의 수액 용량을 계산하고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센서 측정값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 제안하였다. 수액의 투입 종료시점과 투입시간에 대한 시간 투입정보를 시각화하여 얻는 방법이 기존 방법이라면 본 연구에서는 무게중심의 원리를 적용하여 시간 대비 용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관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에서 중요한 문제는 수액 시스템에 전달되는 움직임의 노이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 8∼2 M에 위치하는 수액 팩과 수액 거치대의 움직임은 로드셀 센서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이로 센서와 융합하여 움직임에 대한 보정값을 적용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정확성을 높이고자 연구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N. Kim & K. H. Lee. (2012). Automatic Flow Control and Network Monitoring of IV Injection,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21(12), 161-166. DOI : 10.7735/ksmte.2012.21.1.161 

  2. H. S. Lee & J. C. Oh. (2016). Studies on Effective Fluid Monitoring Terminal design with the Use oflocation-based service. Journal of the KIECS, 11(4), 421-426. DOI : 10.13067/JKIECS.2016.11.4.421 

  3. J. H. Kim, S. J. Kim, E. T. Park, S. Y. Jeong & E. H. Lee. (2017), Policy Issues and New Direction for Conprehensive Nursing Servic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Journal of Korean Acad Nurs Adm, 23(3), 312-322. DOI : 10.11111/jkana.2017.23.3.312 

  4. S. J. You. (2013). Comparisons of the Nursing Workforce with Japan, and the U.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 11(6), 275-287. DOI : 10.14400/JDPM.2013.11.6.275 

  5. T. J. Kim & J. O. Yu. (2018). Comparative Study of Clinical Nurses' Role Conflict, Emotional Labor and Nursing Performance betwee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Journal of Muscle Jt Health, 25(1), 12-20. DOI : 10.5953/JMJH.2018.25.1.12 

  6. M. K. Lee & D. Y. Jung. (2015). A Study of Nursing Tasks,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ns. Journal of Korean Acad Nurs Adm, 21(3), 287-296. DOI : 10.11111/jkana.2015.21.3.287 

  7. D. L. Kasper, E. Braunwald, A. S. Fauci & T. R. Harrison. (2005).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ed. New York: McGraw-Hill; 2005. 

  8. R. Hagihghi, A. Razmjou, Y. Orooji, M. E. Warkiani & M. Asadnia. (2019). A miniaturized piezoresistive flow sensor for real­time monitoring of intravenous infusion. Journal of Biomed Mater Research, 108(2), 568-576. DOI : 10.1002/jbm.b.34412 

  9. S. J. Lee, H. J. Sim, A. R. Lee & T. R. Lee. (2013). The Design of Maternity Monitoring System Using USN in Maternity Hospital.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5), 347-354. DOI : 10.14400/JDPM.2013.11.5.347 

  10. S. Moon & J. A. Lee. (2017). Correlates of Patient Safety Performance among Nurses from Hospitals with Less than 200 Bed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4), 393-405. DOI : 10.7475/kjan.2017.29.4.393 

  11. S. J. Kim. (2020). The Implementation of a Patient Data Management System with Real-time Vital Signs Monitoring.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27(1), 314-317. DOI : 10.3745/PKIPS.y2020.m05a.314 

  12. C. M. Han, C. S. Yim & S. R. Lee. (2019). Forklift Weight Measurement System using Anchor Bolt Type Strain Gauge Sensor.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23(2), 200-206. DOI : 10.12673/jant.2019.23.2.200 

  13. C. Y. Lee & D. I. Gang. (2000). Finite Element Analysis of Nonlinear Behavior of a Column Type Sensing Element for Load Cell According to Design Parameters.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4(6), 1540-1546. DOI : 10.22634/KSME-A.2000.24.6.1540 

  14. H. J. Seo, H. S. Jung, G. J. Ryu & T. W. Ch. (2012). High Accurate Creep Compensation of the Loadcell using the Strain Gaug. Journal of IKEEE, 16(1), 34-44. DOI : 10.7471/ikeee.2012.16.1.034 

  15. J. C. Stull, A. Erenberg & R. D. Leff. (1988). Flow rate variability from electronic infusion devices. Crit Care Med, 16, 888-91. DOI : 10.1097/00003246-198809000-00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