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격근무 환경에서 상사의 리더십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adership Competency in a Remote Work Environment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3 no.1, 2022년, pp.165 - 185  

감지연 (이화여자대학교) ,  조현정 (신안산대학교 사무비서행정과) ,  백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원격근무 환경에서 조직구성원의 업무수행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상사의 리더십 행동 및 원격근무 시 기대되는 상사의 역량을 구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력 1년 이상의 19명 사무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중요사건기술법(CIT)을 활용하여 인터뷰를 실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근무 시 조직구성원의 업무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사의 리더십 행동은 10개의 행동특성으로 분석되었고 관계중심적 행동, 과업중심적 행동, 변화중심적 행동 순으로 언급빈도수가 높았다. 둘째, 원격근무 시 조직구성원의 업무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사의 리더십 행동은 9개의 행동특성으로 분석되었고 관계중심적 행동, 과업중심적 행동, 변화중심적 행동 순으로 언급빈도수가 높았다. 셋째, 원격근무 시 상사에게 기대되는 역량은 1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eadership behaviors and expected competencies of supervisors that had a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employees in a remote work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19 office employees with more than one-year work experience were interviewed, a...

주제어

참고문헌 (71)

  1. 강용식, 권순동 (2014). 스마트워크 환경하의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14년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923-946. 

  2. 강진희 (2017). 스마트워크 환경과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법률비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3. 고은정, 이성진, 김상수 (2018).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9(2), 163-185. 

  4. 곽임근, 김종배, 이남용 (2011). 유연근무제 확대 및 스마트워크센터 이용 활성화 방안. 정보처리학회지, 18(2), 59-72. 

  5. 권용수, 박계관 (2010). 원격근무 효과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 19(4), 219-241. 

  6. 김승남, 주종웅 (2014). 원격근무의 정의, 현황, 그리고 전망. 정보화정책, 21(2), 88-110. 

  7. 김용영, 오상조, 이희진, 차경진 (2015). 스마트워크 사용자의 업무/비업무간 경계 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6(4), 133-155. 

  8. 김재생, 한광식 (2016). 스마트워크의 핵심 기술 요소와 국내외 동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4(1), 14-20. 

  9. 김재혁 (2013).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요구되는 행정 리더십의 역량에 관한 연구: 스마트워크 공무원과 일반공무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경기. 

  10. 남기범, 정윤수 (2011). 스마트워크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이슈와 과제. 한국정책학회지, 1, 17-30. 

  11. 문화선 (1999). 원격근무자(teleworker)의 직무 및 조직에 대한 태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2. 박경혜 (2011). 스마트워크 전략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9(4), 213-222. 

  13. 박범수 (2014). 중요사건기법(CIT)을 이용한 프로야구 관람객들의 관람경험 및 서비스 개선.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4. 박승권, 이주한 (2012). 스마트워크 추진체계 및 사례. 한국통신학회지, 29(12), 3-9. 

  15. 박영만 (2011). 시큐리티 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응집력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4), 378-388. 

  16. 박예리, 이정훈, 이영주 (2014). 스마트워크 근로자들의 직무만족과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스마트워크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9(3), 23-49. 

  17. 서기만, 장재현 (2011). 스마트 워크, 외부 효과에 주목해야. LG Business Insight, 17-26. 

  18. 손승희 (2013). 스마트워크 근무환경 특성이 개인의 정보보안 인식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율성과 이동성 그리고 책임중심으로. 경상논총, 31(4), 17-39. 

  19. 이경복, 박태형, 임종인 (2011). 스마트워크 환경 변화에 따른 보안위협과 대응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9(4), 29-40. 

  20. 이도훈, 양익석 (2011). 스마트워크 해외 추진 사례. 한국정보처리학회지, 18(2), 90-99. 

  21. 이상호, 김선진 (2011). 디지털 미디어 스마트 혁명. 서울: 미래를 소유한 사람들. 

  22. 이승희, 도현옥, 서경도 (2011).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경영관리 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9(4), 245-252. 

  23. 이주형, 김선배 (2012). 스마트워크 환경하에서의 바람직한 기업문화. 디지털정책연구, 10(11), 93-102. 

  24. 이진영, 이충기 (2019). 스마트워크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H 여행사 종사원을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21(1), 16-30. 

  25. 이형찬, 이정현, 손기욱 (2011). 스마트워크 보안 위협과 대책. 정보보호학회지, 21(3), 12-21. 

  26. 임경택 (1998). 정보화시대의 리더십. 사회과학연구, 13(1), 253-265. 

  27. 임광현 (2013). 스마트워크(재택근무) 실행가능성에 대한 공.사부문 종사자의 인식수준 차이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27(4), 103-132. 

  28. 장민제, 남은우, 이정우 (2021). 스마트워크 후 조직 문화변화 연구: 서비스 대기업 'H사' 사례. 지식경영연구, 22(1), 85-103. 

  29. 정철호, 문영주 (2011). 스마트워크 추진 현황 및 활성화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자상거래학회지, 12(2), 53-69. 

  30. 조병선 (2011). 스마트워킹의 효과적 실행 방향과 추진 동향. 한국정보기술학회지, 9(2), 17-23. 

  31. 최규현, 홍동헌 (2005). 지식정보화시대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십 방향. 세무회계연구, 16, 243-257. 

  32. 최항순 (2006). 신행정조직론. 서울: 대명출판사. 

  33. 현혜진 (2012). 원격근무가 조직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34. 홍순이 (2003). 원격근무와 조직효과성 관계에 있어서 상사신뢰와 공정성 지각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35. Baruch, Y. (2000). Teleworking: Benefits and pitfalls as perceived by professionals and managers. New Technology, Work and Employment, 15(1), 34-49. 

  36. Bass, B. M. (1990).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to share the vision. Organizational Dynamics, 18(3), 19-31. 

  37. Bernstein, E., Blunden, H., Brodsky, A., Sohn, W., & Waber, B. (2020). The implications of working without an office. Harvard Business Review, https://hbr.org/2020/07/the-implications-of-working-without-an-office 

  38. Bush, W. R. (1990). Telecommuting: The case of research software develop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37(3), 235-250. 

  39. Dienesch, R. M., & Liden, R. C. (1986). Leader-member exchange model of leadership: A critique and further develop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618-634. 

  40. Giovanis, E.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working, traffic and air pollution. 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 9(1), 1-14. 

  41. Golembiewski, R. T. (1995). Managing diversity in organizations. University of Alabama Press. 

  42. Goodrich, J. N. (1990). Telecommuting in America. Business Horizons, 33(4), 31-38. 

  43. Greengard, S. (1994). Making the virtual office a reality. Personnel Journal, 73(9), 66-79. 

  44. Handy, S. L., & Mokhtarian, P. L. (1995). Planning for telecommuting-measurement and policy issues.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1(1), 99-111. 

  45. Hartman, R. I., Stoner, C. R., & Arora, R. (1992). Developing successful organizational telecommuting arrangements: Worker perceptions and managerial prescriptions. SAM Advanced Management Journal, 57(3), 35. 

  46. Helling, A., & Mokhtarian, P. L. (2001). Worker telecommunication and mobility in transition: Consequences for planning.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15(4), 511-525. 

  47. Huws, U., Korte, W. B., & Robinson, S. (1990). Telework-towards then elusive office. New York: John Wiley&Sons. 

  48. Jacobs, R. L. (2019). Work analysis in the knowledge economy. London: Palgrave Macmillan. 

  49. Jago, A. G. (1982). Leadership: Perspectives in theory and research. Management Science, 28(3), 315-336. 

  50. Katz, D., & Kahn, R. L. (1978).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 New York: Wiley. 

  51. Manz, C. C.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52. Matthew, B., & Ross, L. (2010). Research methods. a practical guide for sciences. Italy: Rotolito Lombarda. 

  53. McAllister, D. J. (1995). Affect-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1), 24-59. 

  54. Mokhtarian, P. L., & Sato, K. (1994). A comparison of the polic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for telecommuting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12(4), 641-658. 

  55. Mokhtarian, P. L., Handy. S. L., & Salomon. I. (1995).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estimation of the travel, energy, and air quality impacts of telecommut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s, 29(4), 283-302. 

  56. Moos, M., & Skaburskis, A. (2010). Workplace restructuring and urban form: The changing national settlement patterns of the Canadian workforce. Journal of Urban Affairs, 32(1), 25-53. 

  57. Nanus, B. (1992). Visionary leadership: Creating a compelling sense of direction for your organiz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8. Nilles, J. M. (1998). Managing telework: Strategies for managing the virtual workforce. New York: John Wiley&Son. 

  59. Salomon, I. (1986). Telecommunication and travel relationships: A review.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General, 20(3), 223-238. 

  60. Singer-Velush, N., Sherman, K., & Anderson, E. (2020). Microsoft analyzed data on its newly remote workforce. Harvard Business Review, https://hbr.org/2020/07/microsoft-analyzed-data-on-its-newly-remote-workforce 

  61. Stogdill, R. M. (1974). Handbook of leadership: A survey of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Free Press. 

  62. Tolbert, P. S., & Simons, T. (1994). The impact of working at home on career outcomes of professional employees. New York: Cahrs 

  63. Van Fleet, D. D., & Yukl, G. A. (1986). Military leadership: An organizational behavior perspective. Stamford: Jai Press. 

  64. Yukl, G. A. (2008). How leaders influe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Leadership Quarterly, 19(6), 708-722. 

  65. Yukl, G. A., & Becker, W. S. (2006). Effective empowerment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 Management Journal, 3(3), 210-231. 

  66. KBS NEWS (2020).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005835&refA 

  67. 매일경제 (2011). https://www.mk.co.kr/news/it/view/2011/07/424512/ 

  68. 매일일보 (2020).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687855 

  69. 보안뉴스 (2011).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24561 

  70. 포쓰저널 (2020). http://4th.kr/View.aspx?No873309 

  71. 표준국어대사전 (2021).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53cb0b0ab75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