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계 응급 조사료 자원의 생육특성 및 조사료 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Potential of Summer Emergency Forage Crops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42 no.1, 2022년, pp.26 - 31  

박형수 (국립축산과학원) ,  최기춘 (국립축산과학원) ,  양승학 (국립축산과학원) ,  정종성 (국립축산과학원) ,  이배훈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름 사료작물 재배기간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뭄, 폭우 등 이상 기후에 대응한 여름철 응급 조사료 자원을 선발하고 잠재적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해 2020년 5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충청남도 천안시 소재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초지 조사료 시험포장에서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초종은 여름철 응급조사료 자원으로 유망한 사료용 피(Echinochloa species cv. Shirohie and Jeju native), 재래기장(Panicum miliaceum cv. Native), 진주조(Pennisetum glaucum cv. Feed milk 2), 클라인그라스(Panicum coloratum cv. Selection 75), 테프그라스(Eragrostis tef cv. Tiffany)를 수집하여 파종은 2020년에 5월 21일과 6월 23일에 각 각 파종하였으며 2021년에는 5월 21일과 6월 21일에 2회 파종하였다. 사료용 피와 클라인그라스의 출현소요일은 6~10일 정도로 파종 후 가장 늦게 출현되었고 재래기장과 진주조는 5~6일 소요되었으며 테프그라스는 3일로 가장 빨리 출현되었다. 파종부터 수확까지 재배기간은 사료용 피 만생종(84일 이내)을 제외하고 모든 초종이 60일 이내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파종시기별 건물수량은 5월 파종에서 사료용 피 만생종의 건물수량이 23,872 kg/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클라인그라스가 3,888 kg/ha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6월 파종은 사료용 피 만생종의 건물 수량이 17,032 kg/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재래기장, 테프그라스와 클라인그라스가 각각 5,468, 5,442 및 5,197 kg/ha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초종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사료용 피 조생종, 테프그라스, 클라인그라스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사료용 피 만생종이 5.7~5.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성세제불용성섬유소(NDF)와 산성세제불용성섬유소(ADF) 함량은 5월 파종은 초종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6월 파종은 클라인그라스가 나머지 초종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yield potential for warm season grass as emergency forage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block design (RBD) with three replications. Two barnyard millet (Echinochloa species cv. Shirohie and Jeju native), a pear...

주제어

참고문헌 (24)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Barbehenn, R.V., Chen, Z., Karowe, D.N. and Spickard, A. 2004. C 3 grasses have higher nutritional quality than C4 grasses under ambient and elevated atmospheric CO 2 . Global Change Biology. 10(9):1565-1575. 

  3. Field, C.B., Stocker, T.F., Barros, V.R., Qin, D., Ebi, K.L. and Midgley, P.M. 2011. IPCC special report on managing the risks of extreme events and disasters to advance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AGU Fall Meeting Abstracts. 2011:NH12A-02. 

  4. Holland, C., Kezar, W., Kautz, W.P., Lazowski, E.J., Mahanna, W.C. and Reinhart, R. 1990. The pioneer forage manual-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Des Moines, Iowa, USA. 

  5. Huxely, A. 1992.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lawns. Journal of Social History. 14(3). 

  6. Hwang, J.B., Park, H.K., Koo, B.I., Kim, H.S. and Cho, K.M. 2017. Comparison of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millet varieties in the reclaimed tidel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9(2):189-195. 

  7. Jung, N.J., Kim, J.K. and Park, T.S. 2014. Selection of the excellent barnyard millet variety and technical development for their weediness prevention in paddy rice. PJ008457. RDA. 

  8. Koch, W.D. and Paisley, S. 2002. Forages of all seasons-cereal crops: Management for supplemental and emergency forage. Can. J. Plant Sci. 32:121-128. 

  9. Kramer, F.D. and Johnson, K.D. 1986. Producing emergency or supplemental forage for livestock. AY-Purdue University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USA. 

  10. Lang, B. 2001. Millets forage management. University Extension, Iowa State University. Fact Sheet BL-55. 

  11. Lee, J.J., Kim, J.G., Sung, B.R., Song, T.H. and Park, T.S. 2013. Studies on growth,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dates of barnyard mill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3(4):245-251. 

  12. Masters, R.A., Mislevy, P., Moser, L.E. and Rivas-Pantoja, F. 2004. Stand estabilishment. In: L.E. Moser et al. (Eds.), Warm-season (C4) grasses. Agron. Monograph No. 45, ASA, CSSA, and SSSA. Madison. WI. p. 145-177. 

  13. McCartney, D., Fraser, J. and Ohama, A. 2009. Potential of warm-season annual forages and Brassica crops for grazing: A Canadian review. Canadian Journal of Animal Science. 89(4):431-440. 

  14. Newman, Y.C., Jennings, E.D., Vendramini, J. and Blount, A. 2010. Pearl millet (Pennisetum glaucum): Overview and management. EDIS. 2010(7). 

  15. NIMS. 2018. Climate Change over 100 Years on the Korean Peninsula. pp. 1-30. 

  16. Park, H.S., Choi, K.C., Kim, J.H., Lee, S.H. and Jung, J.S. 2015.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s of bermudagrass, teffgrass and kleingrass as annual forage crop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5(1):36-42. 

  17. Rasnake, M., Miksch, D. and Lacefield, G.D. 1981. Producing summer annual grasses for emergency or supplemental forage. University of Kentucky. College of Agriculture.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18. Reid, R.L., Jung, G.A. and Thayne, W.V. 1988. Relationships between nutritive quality and fiber components of cool season and warm season forages: A retrospective study. Journal of Animal Science. 66(5):1275-1291. 

  19. SAS. 2002. User's guide: Statistics. SAS Instute Inc. Cary. NC. 

  20. Shim, K.M., Kim, Y.S., Jung. M.P., Kim, J. W., Park, M.S., Hong, S.H. and Kang, K.K. 2018. Recent changes i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xtreme weather ev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461-470. 

  21. Song, H.M., Park, S.H. and Kim, H. 2021. Evaluation of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winter crops following rice harvest at paddy field.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41(2):128-133. 

  22. Undersander, D. 1992. Alternative forage crops. Agronomy Advice FC, 17. 

  23. Van Soest, P.J., Robertson, J.B. and Lewis, B.A. 1991. Methods for dietary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non-starch polysaccharides in relation to animal nutrition. Journal of Dairy Science. 74(10):3583-3597. 

  24. Woodruff, J.M. and Hancock, D.W. 2007. Warm season annual grasses for emergency forage production. University of Georgi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