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능 재난에 대한 방사선비상계획구역내 주민의식조사
A Study on the Residents Consciousness in Emergency Planning Zone for Radioactive Disaster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8 no.4 = no.58, 2022년, pp.729 - 745  

박남희 (U&E Inc.)

초록

연구목적: 본 논문은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 거주하는 주민의 방사능재난 발생시 대피방법과 대피시설 등에 대한 인식 현황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무작위표집으로 표집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주민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1:1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미니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은 첫째, 방사능재난에 대한 지자체 업무에 관해 비교적 낮으면서 부정적인 인지도를 나타냈다. 둘째, 주민안전교육 측면에서는 교육 경험이 적으나 필요하다고 느끼며 주민대피방법과 행동요령, 구호소 위치 등에 대한 교육을 원하였다. 셋째, 방사능재난 관련 구호소는 위치를 잘 모르고 있고 안내를 받은 적이 없으며 구호소 이용시 가족과 함께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구호소 시설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도가 낮은 편이었다. 넷째, 방사능재난에 대비하여 필요한 우선순위는 방사능재난에 대한 교육과 훈련, 시설 보완, 방호약품 보급 등을 지적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원전 주변 지역 주민은 방사능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정부나 지자체의 정책과 업무 내용을 비교적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만족도는 낮았다. 우선순위로 지적한 사항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는 방사능재난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정책 내용을 주민에게 홍보하고 교육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collects basic data on the awareness of evacuation methods and evacuation facilities in the event of a radiological disaster of residents living in the emergency planning zone. Method: The residents of emergency planning zone were sampled using a random sampling method. A 1:1 int...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 거주하는 주민의 방사능재난 발생시 대피방법과 대피시설 등에 대한 인식 현황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 K.Y., Moon, J.H. (2011). "Investigation of perception of nuclear power by the local residents adjacent to nuclear installations."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Vol. 9, No. 3, pp. 181-189. 

  2. Dong, A.-H., Lee, S.-H., Kang, J.-E. (2019). "Appropriateness of location of nuclear accident evacuation shelters based 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accessibility - The case of Busan Gijang-gun, Geumjeong-gu and Haeundaegu in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22, No. 4, pp. 131-145. 

  3. Eun, C.H. (2011). "Study of radiological emergency evacuation system - Based on NPP accident of Fukushima, Japan." Crisisonomy, Vol. 7, No. 5, pp. 55-78. 

  4. Gijang-Gun (2022). White Paper. Guijang-Gun, Korea. 

  5. Jeong, J.M., Oh, S.J., Kim, Y.K., Kim, W.J. (2019). "A study on the defense system of unmanned aircraft in the national critical facility: Atomic power plants." 2019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Seoul, Korea, pp. 89-90. 

  6. Khang, B.O. (2006). "Consider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ration disaster management meas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6, No. 4, pp. 15-26. 

  7. Kim, K., Lee, S., Park, Y. (2020).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underground nuclear shelter and required capabil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6, No. 10, pp. 15-22. 

  8. Lee, H.-Y. (2020). Developing an IoT-Based Integrated Smart Relief System Designed to Protect Residents in Response to Nuclear and Radiation Accidents. Masr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9. Lee, J., Kim, Y., Eom, Y.H. (2021). "Implications of emergency alert and resident evacuation in Japan during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Literature survey study."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7, No. 3, pp. 500-511. 

  10. Lee, J.T., Lee, G.Y., Khang, B.O., Oh, K.-H., Kim, C.-K. (2001). "Derivation of intervention levels for protection of the public in a radiological emergency in Korea."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Vol. 26, No. 4, pp. 357-365. 

  11. Lee, K., Moon, I., Kim, S., Cho, S., Her, S. (2014). "A prototype package for predicting and rapidly responding chemical and nuclear disasters."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0, No. 1, pp. 98-104. 

  12. Moon, J.H. (2020) Journan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Vol. 18, No. 2. pp. 195-206. 

  13. Na, S.-J., Sung, H.-Y., Choi, S.-H. (2019). "A study on the concept of operations and improvement of the design methodology for the physical protection system of the national infrastructure - Focused on nuclear power plants-." Korean Security Journal, Vol. 61, pp. 9-38. 

  14. Yoo, D.W., Lee, T. (2019). " The case and planning elements of an underground shelter for emergency disas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9, No. 2, pp. 137-14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