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행하는 자음의 여러 특성에 따른 영어 모음 길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glish vowel duration with respect 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following consonant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4 no.1, 2022년, pp.1 - 11  

유현빈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이석재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초록

본 연구는 영어에서 어말 자음의 유무성성에 따라 선행하는 모음의 길이에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이 어말 자음, (부분) 무성음화 정도, 폐쇄음의 파열 여부와 가지는 상관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 모음의 길이 차이에 대한 여러 설명 중 무성 자음 앞 모음보다 유성 자음 앞 모음을 더 길게 발화하여 어말 자음의 유무성성을 구별한다는 기능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영어 원어민 화자들을 대상으로 발화 실험을 진행하고 선행하는 모음의 길이, 어말 유성 자음의 (부분) 무성음화 정도, 어말 폐쇄음의 파열 유무를 측정하였다. 발화 실험 결과, 어말 자음의 유무성성에 따른 선행 모음 길이 차이의 비율은 어말 자음이 폐쇄음인지, 마찰음인지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다. 또한, 어말 유성 자음의 (부분) 무성음화 정도가 크게 나타날수록 어말 유성 자음 앞 모음의 길이가 길게 나타나며 기능적 관점에서 예측한 바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능적 관점에 따른 예측과는 다르게 선행 모음 길이 차이의 비율은 어말 폐쇄음이 파열 없이 발화되었을 때보다 파열하여 발화되었을 때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말 자음의 유무성성에 따른 선행 모음 발화 길이의 차이를 기능적 관점으로만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vowel duration due to the voicing of word-final consonants in English and its relation to the types of word-final consonants (stops vs. fricatives), (partial) devoicing, and stop releasing. Addtionally,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

주제어

참고문헌 (16)

  1. Boersma, P., & Weenink, D. (2021).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version 6.1.51) [Computer program]. Retrieved from http://www.praat.org/ 

  2. Chen, M. (1970). Vowel length variation as a function of the voicing of the consonant environment. Phonetica, 22(3), 129-159. 

  3. Cho, H. (2016). Variation in vowel duration depending on voicing in American, British, and New Zealand Englis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8(3), 11-20. 

  4. Durvasula, K., & Luo, Q. (2012). Voicing, aspiration, and vowel duration in Hindi.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32(3). 

  5. Gonet, W., & Swiecinski, R. (2012). More on the voicing of English obstruents: Voicing retention vs. voicing loss. Research in Language, 10(2), 183-199. 

  6. JASP Team (2021). JASP (version 0.16) [Computer software]. Amsterdam, Netherlands. Retrieved from https://jasp-stats.org/ 

  7. Keating, P. A. (1985). Universal phonetics and the organization of grammars. In V. A. Fromkin (Ed.), Phonetics linguistics: Essays in honor of Peter Ladefoged (pp. 115-132). Orlando, FL: Academic Press. 

  8. Kim, S. (2010). Devoicing of word-final /z/ in English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9. Ladefoged, P., & Disner, S. F. (2012). Vowels and consonants (3rd ed.). Malden, MO: Wiley-Blackwell. 

  10. Ladefoged, P., & Johnson, K. (2011). A course in phonetics (6th ed.). Boston, MA: Wadsworth. 

  11. Luce, P. A., & Charles-Luce, J. (1985). Contextual effects on vowel duration, closure duration, and the consonant/vowel ratio in speech productio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78(6), 1949-1957. 

  12. Oh, E. (2012). Further issues on the duration differences in vowels due to the voicing of the following stops in Englis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3), 85-92. 

  13. Peterson, G. E., & Lehiste, I. (1960). Duration of syllable nuclei in English.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32(6), 693-703. 

  14. Rhee, S. C., Kang, S., Park, J., & Hwang, S. (2003, October).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OA and voicing in relation to the release and nonrelease in the English word-final stops.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pp. 43-49). Seoul, Korea. 

  15. Sohn, H. S., & Lim, S. (2019). The effect of stop voicing on vowel duration in English and Korean CVCV structur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61(2), 139-160. 

  16. Yavas, M. (1997). The effects of vowel height and place of articulation in interlanguage final stop devoicing.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35(2),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