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를 위한 연구논문의 의미구조 기반 메타데이터 연구
A Study on the Metadata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Humanities Research Articles for Research Data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3 no.1, 2022년, pp.345 - 369  

안병군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고영만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와 연구논문을 연계할 수 있는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를 위한 연구논문 의미구조 기반 메타데이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문학 분야 연구자의 관심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 유형화를 진행하고 이를 일반적인 연구논문의 의미구조를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인문학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추가될 요소를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인문학 분야 연구논문의 의미구조 기반 메타데이터를 구성하였으며 해당 메타데이터가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의 메타데이터로서 적합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문학 분야 연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인문학 분야 연구논문의 의미구조를 기반으로 도출된 17개의 메타데이터 요소 중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 메타데이터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요소는 7개이며, 그 외 10개 요소는 사용 가능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를 위한 연구논문 의미구조기반 메타데이터를 구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etadata set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humanities field research articles for research data that can associate research data and research articles. To understand the interest of Humanities researchers, keywords of research articles were categorize...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7)

  1. Cho, J. & Park, J. D. (2019). A study on analysis of research data repository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2), 69-87.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9.30.2.069 

  2. Ko, Y. M. & Song, I. S. (2011). A study on the knowledge organizing system of research papers based on semantic rel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1), 145-170.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1.145 

  3. Ko, Y. M., Kim, B. Y., Min, H. R., Song, M. S., & Lee, S. J. (2016). Ontology Construction Based on Structural Academic Terminology. Seoul; KLA. 

  4. Shim, W. S., Ahn, H. Y., & Byun, J. Y. (2015).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collection and use of research data in the human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3), 155-183. http://dx.doi.org/10.4275/KSLIS.2015.49.3.155 

  5. Shin, Y. R. & Chung, Y. K.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data archiv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3), 93-115. 

  6. Song, M. S. & Ko, Y. M. (2015). A study on the metadata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Korean studies research articl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3), 277-299. http://dx.doi.org/10.16981/kliss.46.3.201509.277 

  7. Song, M. S. (2015).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in Korean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4), 125-157. http://dx.doi.org/10.4275/KSLIS.2015.49.4.125 

  8. Song, M. S., Ko, Y. M., & Lee, S. J. (2016). A study on developing a metadata search system based on the text structure of Korean studies research artic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155-176.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3.155 

  9. Yoo, S. R., Lee, H. W., & Song, I. S. (2009).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management framework of social science scholarly ontology for semantic information navig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2), 277-298. http://dx.doi.org/10.4275/kslis.2009.43.2.277 

  10. Burrows, T. (2011, December 12-14). Sharing humanities data for e-research: conceptual and technical issues. Sustainable data from digital research: Humanities perspectives on digital scholarship.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held at the University of Melbourne, 177-192. 

  11. de Waard, A., Breure, L., Kircz, J., & Oostendorp, H. (2006). Modeling Rhetoric in Scientific Public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disciplinary Information Sciences and Technologies, InSciT2006. 

  12. de Waarde, A. (2007). A Pragmatic Structure for Research Articles. In: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Pragmatic Web, October, 2007. Tilburg, Netherlands, 22-23. 

  13. Kando, N. (1997). Text-level structure of research papers: implications for text-bas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19th Annual BCS-IRSG Colloquium on IR Research, 68-81. 

  14. Kando, N. (1999). Text structure analysis as a tool to make retrieved documents sable.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Workshop on Information Retrieval with Asian Languages, 126-135. 

  15. Stigler, J. H. & Steiner, E. (2018). GAMS-eine infrastruktur zur langzeitarchivierung und publikation geisteswissenschaftlicher forschungsdaten. Mitteilungen der Vereinigung Osterreichischer Bibliothekarinnen und Bibliothekare, 71(1), 207-216. 

  16. Superceanu, R. (1998) The rhetoric of scientific articles: Agenere study. Timisoara, Rumania: Orizonturi Universitre. 

  17. van Dijk, T. A. (1980). Macrostructures: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Global Structures in Discourse, Interaction, and Cogn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