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전기차 충전수요를 고려한 급속충전소의 최적입지 선정 연구
A Study to Determine the Optimized Location for Fas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onsidering Charging Demand in Seoul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21 no.6, 2022년, pp.57 - 69  

김지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스마트시티학과) ,  이동민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스마트시티학과) ,  김수환 (서울시립대학교 스마트시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다양한 전기차 판매와 향상된 서비스는 전기차 이용량을 급격히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전기차 충전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차 충전소는 부족하고 충전서비스가 필요한 위치와 설치·운영되고 있는 충전소의 위치에 차이가 있어 충전서비스의 효율성이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충전수요를 고려한 전기차 급속충전소의 최적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충전수요를 고려할 수 있는 변수를 도출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AHP설문을 통해 각 변수의 가중치를 구하여 셀(cell)별로 가중평균된 입지잠재력점수를 산정하여 서울시 전역의 전기차 충전수요를 고려한 충전소의 최적입지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though demand to charge EV(electric vehicles) is increasing, there are some problems to construct EV charging stations and problems from deficient them. Typical problem of EV charging stations is discordance for EV charging station location with its demand. This study investigates methods to de...

주제어

참고문헌 (17)

  1.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CDI)(2008), A study to establish and apply the Location model for?the location selection of public facilities, pp.17-21.? 

  2. Csiszar, C., Csonka, B., Foldes, D., Wirth, E. and Lovas, T.(2019), "Urban public charging station?locat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based on land use approach", Journal of Transport?Geography, vol. 74, pp.173-180.? 

  3. Guo, F., Yang, J. and Lu, J.(2018),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location problem: Impact of users'?range anxiety and distance convenienc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vol. 114, pp.1-18.? 

  4. Guo, Z., Deride, J. and Fan, Y.(2016), "Infrastructure planning for fast charging stations in a?competitive marke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Emerging Technologies, vol. 68,?pp.215-227.? 

  5. Han, J.(2018), "A study of the Installation of a Charging Infrastructure considering Electric Vehicles?in Seoul-Analysis of the case of charging at the workplace", Seoul Studies, vol. 19, no. 3,?pp.131-147.? 

  6. He, F., Yin, Y. and Guan, Y.(2013), "Optimal deployment of public charging stations for plug-in?hybrid electric vehicl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vol. 47, pp.87-101.? 

  7. Ip, A., Fong, S. and Liu, E.(2010), "Optimization for allocating BEV recharging stations in urban?areas by using hierarchical clustering",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Information?Management and Service(IMS), pp.460-465.? 

  8. Kang, C. and Jeon, S.(2017), A study on establishment of proper installation criteria of electric?vehicle charging station in Gyeonggi-Do, Gyeonggi Research Institute, p.82.? 

  9. Kim, K. and Koo, Y.(2020), "Optimizing Fast EV Charging Infrastructure Location with Traffic flow?Data", Korea Society of Innovation, vol. 15, no. 4, pp.61-87.? 

  10. Kim, M., Kim, S. and Lee, M.(2013), "A Study on the Pedestria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Utilizing?Segment unit and Floor Area Ratio-Focused on the District Unit Planning in Jongro Area",?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8, no. 7, pp.23-36.? 

  11. Kim, Y. and Hur, J.(2019), "A Study on the Placement Determination of New EV Charging Stations?for EV Charging Demand Dispersion",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Installation Engineers, vol. 33, no. 4, pp.28-34.? 

  12. Korea Transport Institute(KOTI)(2009), Reviews on the Strategies of Recharging infrastructures for?Promoting Electric Vehicles, pp.23-53.? 

  13. Lee, Y. and Kwon, H.(2012), "The Estimation of Street-Parking Demand Model by Total Floor Area?of Building Occupancy: Focusing on Daegu", The 67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Transportation, pp.859-864.? 

  14. Ministry of Environment, http://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1&boardId645030&menuId286, 2021.01.19.? 

  15. Ministry of Environment, https://www.ev.or.kr/, 2021.01.19.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ttp://stat.molit.go.kr, 2021.01.19.? 

  17. Saaty, R. W.(1987),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What it is and how it is used", Mathematical?Modeling, vol. 9, no. 3-5, pp.161-17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