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아이덴티티(University Identity) 디자인 요인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University Identity Design Factors: Focusing on Korea and Chin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3, 2022년, pp.390 - 400  

조옥룡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광고홍보학과) ,  김병대 (신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 아이덴티티(University Identity)는 대학의 정체성 확립과 하나의 고유한 이미지를 통합하여 학교가 지향하는 핵심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다수의 대학은 대학 아이덴티티를 새롭게 정의하거나 문화상품을 내놓는 등 적극적인 홍보 전략을 펼치고 있다. 최근 기존의 광고나 홈페이지는 물론 인스타 그램, 유튜브, 페이스북등의 SNS로 대학브랜드를 지속적으로 노출하며 차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21 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2021 QS ASIA University Rankings'의 한국과 중국의 상위 각 80개 대학 아이덴티티를 분석하여 디자인의 형태, 색상 수, 영어 표현에서 차이가 확인 된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 대학의 시각화된 대학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계량화와 교차분석을 통한 양국의 시각적 표현 차이분석과 데이터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Cohen's Kappa' 일치성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이고 불규칙형태를 나타내며 파랑색, 빨강색, 초록색의 사용이 많으며 대부분 2가지 이내 색상의 사용을 볼 수 있다. 또한 대학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워드마크와 추상적 형식의 표현이 확인된다. 본 연구는 향후 대학의 국제화, 차별화된 대학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창출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초자료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versity Identity can effectively convey the core values for which schools aim by establishing university identity and integrating one unique image. Therefore, most universities are actively implementing promotional strategies such as newly defining university identity or releasing cultural produc...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 아이덴티티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양국가의 대학 아이덴티티 분석 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 아이덴티티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 가능하며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론을 요약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1061414040814383 

  2.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19115&refA 

  3. https://www.chyxx.com/industry/202007/878890.html 

  4. 고경순, "대학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광고연구, 제45호, pp.105-124, 1999. 

  5. 권윤경, "국내 대학의 심볼 마크 디자인: 2000년대 UI(University Identity)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7호, pp.77-86, 2007. 

  6. 이진희, "컬러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기업 로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154-162, 2012. 

  7. 안근영, "대학 UI(University Identity)전용색상 분석 및 방향성 제안: 국내외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34권, 제1호, pp.34-45, 2020. 

  8. 김하영, 현은령, "서울 소재 종합사립대학 UI(University Identity) 디자인의 이미지와 색상 변화 특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 제25권, 제2호, pp.107-119, 2019. 

  9. 권윤경, "대학 UI에서 심벌마크와 슬로건 디자인과의 상관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101-108, 2013. 

  10. 구환영, 윤치호, "대학의 정체성을 효율적으로 알리기 위한 UI(University identity)연구: 아이덴티티 디자인 리뉴얼 된 대학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6권, 제2호, pp.173-186, 2008. 

  11. 정수진, 위지윤, "국제적 위상 제고를 위한 UBID (University Brand Identity Design) 강화전략," 디자인지식저널, 제32호, pp.129-140, 2014. 

  12. 제형건, 최인규, 백진경, "대학아이덴티티(UI; university identity)구축을 위한 웹스타일 가이드 디자인 요소분석 및 전략에 관한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pp.142-143, 2002. 

  13. Z. J. Huang, "Chinese and Korean Color Words and Their Cultural Connotations," Dongjiang Journal, Vol.25, No.4, pp.41-44, 2008. 

  14. 서영택, 심성욱, "한국과 중국의 문화에 따른 광고 차이에 관한 연구: 소구방식, 광고 및 표현전략, 문화패턴의 차이를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제10권, 제4호, pp.91-118, 2017. 

  15. https://www.moe.go.kr/boardCnts/fileDown.do?m020404&smoe&fileSeq6baed67dd99f317d91e710035f7a2032 

  16. https://www.moe.go.kr/boardCnts/fileDown.do?m0309&smoe&fileSeqeb9c5d72fb20cfc521f14f02601c3489 

  17. 박미선, 정병국, "중국과 해외대학교 심벌마크에 관한 조형분석,"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9권, 제2호, pp.43-56, 2011. 

  18. 전종우, 손서연, 유산산, "한국, 중국, 일본 기업 로고디자인에서의 문화적 반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129호, pp.5-28, 2021. 

  19. A, Wheeler, Designing brand identity: an essential guide for the whole branding team, Wiley, Hoboken, 2003. 

  20. 유인하, 지원배, "UI(University Identity) 관점에서 본 대학 심볼마크 디자인의 유형과 색상에 관한 의미 분석: 서울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40권, pp.89-102, 2012. 

  21. 김현정, 박창언,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평가자 간의 신뢰도 측정," Hanyang Medical Reviews, 제35권, 제1호, pp.44-49, 2015. 

  22. P. Edwards, M. Clarke, C. DiGuiseppi, S. Pratap, I. Roberts, and R. Wentz, "Identification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systematic reviews: accuracy and reliability of screening records," Stat Med, Vol.21, pp.1635-1640, 2002. 

  23. J. P. Higgins and J. J. Deek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chapter 7 Selecting Studies and Collecting Data, John Wiley & Sons Ltd, New York, pp.151-185, 2008. 

  24. J. Cohen,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20, pp.37-46, 1960. 

  25. D. Chicco, M. J. Warrens, and G. Jurman, "The Matthews correlation coefficient (MCC) is more informative than Cohen's Kappa and Brier score in binary classification assessment," IEEE Access, Vol.9, pp.78368-78381, 2021. 

  26. J. R. Landis and G. G. Koch,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No.1, pp.159-174, 1977. 

  27. Y. H. Lee and K. S. Ang, "Brand name suggestiv-eness: A Chinese language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Vol.20, pp.323-335, 2003. 

  28. J. W. Jun and H. Lee, "Cultural differences in brand designs and tagline appeals,"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Vol.24, No.4, pp.474-491, 2007. 

  29. 하성지, 김면, "중국 진출을 위한 떡볶이 브랜드 디자인 개성의 현지화에 관한 연구: 한중 소비자간 문화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제47호, pp.385-394,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